d라이브러리
"가지"(으)로 총 12,166건 검색되었습니다.
- [ICHEP2018] 한 단계 도약할 韓 입자물리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사하로프는 ‘우주 생성 당시 물질과 반물질이 같은 양으로 만들어 졌더라도 몇 가지 조건(그중 하나가 CP 대칭성 깨짐)만 맞으면 점차 반물질이 없어지고 물질만 남을 수 있다’는 논문을 1967년 발표했다. CP 대칭성 깨짐을 설명할 수 있다면 물질과 반물질이 비대칭을 이루는 이유에 대해서도 ... ...
- Part 4. 게임의 미래 책임질 인공지능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뭔가인텔리전스랩스에서 일하는 개발자들은 대부분 컴퓨터공학을 전공했다. 나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데이터 분석 전문가 중에는 통계학 전공자가 많고, 사용자경험(UX)을 분석하는 전문가 중에는 심리학과 인지심리학을 전공한 사람도 있다. 분야에 따라 요구되는 지식이 다르기 때문에 ... ...
- [Tech] 모델명 ASUS ROG Centurion 7.1, 게이밍 헤드셋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환경을 의미합니다. ASUS ROG Centurion 7.1에는 프론트, 서브우퍼, 사이드, 센터, 리어 등 총 5가지 드라이브 유닛이 있어 이것이 기울어진 각도, 겹쳐진 정도를 조절해 7.1채널의 음향 특성을 만들어낼 수 있다고 합니다.이런 입체감은 소리를 듣고 빠른 판단을 해야 하는 1인칭 슈팅게임(FPS)에서 특히 ... ...
- [Future] 줄었다 늘었다 자유자재, 이런 컵 슬리브는 처음이야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야기하지 않는다는 장점도 있다.‘스마트 파라솔’이 절반의 성공에 그친 이유는 세 가지다. 우선, 벌어지는 힘이 약해 살 위에 천을 붙인 경우에는 펴다 만 형태가 된다는 점이다. 또, 펴진 파라솔이 스스로 접히게 하기도 쉽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헤어드라이어가 소재에 가하는 온도는 대략 90도, ... ...
- [Issue] 한국 출산율 하락, 숨겨진 원인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클 수밖에 없다. 취업난, 출산율 더 떨어뜨려 이 두려움에 맞서 한국 여성들은 크게 두 가지의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다. 첫 번째 대응은 다소 학업 기간이 길어지더라도 좋은 직장을 찾는 방식이다. 즉 출산과 양육 이후 다시 복귀할 수 있는 직장, 예를 들어 공기업 직원이나 공무원이 될 수 있는 ... ...
- [인터뷰] 조성관 전남과학고 입학관리부장 “자기주도형 인재 기다린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말했다. 3D 프린터, VR 장치…무한상상실 운영전남과학고 또한 다른 과학고와 마찬가지로 의대·치대·한의대·약대 지망 학생에게 불이익을 준다. 전남과학고 학생들은 교내에서 의예·치의예·한의예과·약학과 지원을 위한 추천서를 받을 수 없으며, 관련 학과 진학 시 학교 추천으로 받은 ... ...
- [이투스교육] 경이로운 생명 시스템과학동아 l2018년 07호
- A, G, T, C로 총 4가지이다. 그리고 DNA가 가진 정보를 통해서 번역 돼야 하는 아미노산은 20가지다. 이때, 염기 1개가 아미노산 1개를 지정한다면 어떻게 될까? 4가지 아미노산에 대한 정보밖에 갖지 못할 것이다. 만약 염기 2개의 조합이 아미노산 1개를 지정한다면 총 16개의 아미노산을 지정할 수 있다. . ...
- Part 5. 수학으로 새 옷 입은 초고층건물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자유로운 모양으로 새롭게 설계하는 것이 더 어려울 수밖에 없다. 그런데 최근 한 가지 방법이 생겼다. 바로 단국대 초고층빌딩 글로벌 R&BD 센터에서 개발한 ‘스트라우토’라는 소프트웨어를 통해서다. 스트라우토는 파라메트릭 디자인 기법을 이용해 만든 구조 설계 자동화 소프트웨어다. 정 ... ...
- [과학뉴스] 강철보다 강한 거미줄의 비밀 풀렸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분석했다. 그 결과, 말단 부분이 불규칙적인 코일 형태와 폴리프롤린Ⅱ형 나선 등 두 가지 패턴으로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특히 나선형 말단은 용액 형태의 단백질을 신속하게 굳히고 거미줄의 인장력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동안은 단백질이 너무 빨리 고화돼 이러한 사실을 ... ...
- [Issue] 양서류 흑사병 발원지가 한국?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것이다. 항아리곰팡이에 감염되고도 죽지 않은 외국의 개구리도 동일한 면역 수용체를 가지고 있었다.월드만 교수는 세계적인 양서류 전문가로, 미국 하버드대 교수를 역임하고 2009년부터 서울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그가 이번 연구의 배경과 의미를 뒷장에 직접 설명했다. [영어로 읽어보세요 ... ...
이전2022032042052062072082092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