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지"(으)로 총 12,166건 검색되었습니다.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교내 R&E 활동, 어떻게 해야 할까?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자신에게 의미가 있었던 활동이라면, 자기소개서나 면접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자신의 성과를 충분히 드러낼 수 있습니다. 과학에 대한 열정을 드러내고 싶은 학생이라면 R&E에 도전해 보세요 ...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8] 인류의 역사를 바꾼 화학반응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반응에 참여하지 않으므로 수산화나트륨을 넣어주는 만큼 이온의 수가 증가한다. 마찬가지로 염화 이온(Cl-)도 반응에 참여하지 않으므로 그 수가 처음만큼 일정하게 유지된다. 산과 염기가 반응하는 중화반응에서 중화점을 찾는 방법은 다양하다. 지시약을 이용할 경우 지시약의 색깔이 갑자기 ... ...
- [실전! 반려동물] 혼자 남겨진 뭉치가 자꾸 말썽을 부려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오래 두면 외로움을 느낄 수 있지요. 분리불안의 증상은? 개의 분리불안 증상은 여러 가지예요. 휴지를 마구 풀어 놓거나 가구를 씹는 것은 물론, 끊임없이 짖거나 안절부절 못하는 등 다양한 증상이 있지요. 또 증상이 심한 개는 침을 과도하게 흘리고, 구토나 설사를 하기도 한답니다. 이처럼 ... ...
- [국립과학관 공동특별전] 수학나라의 앨리스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사람처럼 시계를 보고 혼잣말을 하는 토끼가 지나갔어요. 이대로 토끼를 놓치면 왜 따라가지 않았냐며 친구들이 나무랄 거예요. 말하는 사이 토끼가 온갖 수학 기호와 도형이 빨려들어가는 굴로 들어가 버렸네요. 서둘러 쫓아가 보자고요! [제 1장] 수학나라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동화 속 ... ...
- 백신 맞아도 걸리는 ‘돌파 감염’ 우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환자 6명 모두 과거 홍역 예방 접종을 한 것으로 확인됐다. 홍역바이러스는 지역마다 몇 가지 다른 형태로 존재하기는 하지만, 독감 바이러스처럼 돌연변이가 심하게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예방 접종 이후 일단 면역세포(T세포)에 항원에 대한 기억이 생기면 감염이 쉽게 일어나지 않는다. 하지만 ... ...
- [Issue] ‘제주 보육교사 살인 사건’의 진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13도였다. 이는 천막 안 온도인 9.2도 보다 현저히 높았다. 수사팀은 그 원인을 크게 두 가지로 분석했다. 첫 번째는 사체가 착용한 의류다. 피부가 태양광에 직접 노출되는 시간을 제외하면, 무스탕 안쪽 피부 온도는 노출된 피부보다 항상 높다. 두꺼운 의류 때문에 체온이 오래 유지된 것이다. 또 ... ...
- [Culture] 신호를 보내~ 시그널 보내~ ‘하트시그널’의 심리학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마음을 잘 들여다보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누군가를 좋아하는 마음이 생겨도, 여러 가지 조건과 자기방어가 그 마음을 들여다보는 것을 방해한다. 하지만 시그널하우스에서는 자신의 마음을 계속 관찰하고, 솔직할 수 있는 시간이 주어진다. 입주자 모두 그것에 충실했고, 마음의 소리에 따라 용기 ... ...
- Part 2. 알고리즘이 만든 가상 생태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필드를 100~125로 정하면 갈대가 물길을 따라 호숫가 주변에서만 자란다.무생물도 마찬가지다. 듀랑고 개발팀은 산 정상에서 지상으로 내려올수록 바위의 크기가 점점 작아지고 돌멩이가 많아진다는 사실을 적용했다. 산꼭대기로부터 디스턴스 필드를 지정하면 정상에서 거리가 멀어질수록 작은 돌이 ... ...
- [Tech] 모델명 ASUS ROG Centurion 7.1, 게이밍 헤드셋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환경을 의미합니다. ASUS ROG Centurion 7.1에는 프론트, 서브우퍼, 사이드, 센터, 리어 등 총 5가지 드라이브 유닛이 있어 이것이 기울어진 각도, 겹쳐진 정도를 조절해 7.1채널의 음향 특성을 만들어낼 수 있다고 합니다.이런 입체감은 소리를 듣고 빠른 판단을 해야 하는 1인칭 슈팅게임(FPS)에서 특히 ... ...
- [과학동아 X KRISS] 아보가드로 상수로 더 명확해진 몰(Mol)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연구 끝에 2015년 아보가드로 상수를 NA=6.022 140 76×1023 mol-1이라고 발표했다. 여기서 한 가지 재밌는 사실은, 처음에 실리콘의 동위원소 농축작업은 아보가드로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지 않은 러시아에서 맡았다는 점이다.러시아는 핵폭탄의 주원료인 우라늄-235를 농축하는 고도의 원심분리 기술을 ... ...
이전2012022032042052062072082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