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지"(으)로 총 12,166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슈뢰딩거의 고양이’로 만드는 양자컴퓨터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상태가 깨지기 때문입니다. 이를 결맞음 풀림 현상이라고 합니다. 또한 비트가 0과 1 두 가지 뿐인 기존 컴퓨터와 달리, 양자컴퓨터는 큐비트가 셀 수 없이 많아 오류가 생길 수 있는 경우의 수도 매우 많아집니다. 이렇게 양자컴퓨터가 탄생하려면 다수의 큐비트를 자유자재로 제어할 수 있어야 할 ...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교내 R&E 활동, 어떻게 해야 할까?과학동아 l2018년 09호
- 학술 검색 등 사이트를 참고하면 좋습니다. 주제를 정할 때 가장 주의해야할 점은 두 가지입니다. 먼저 기존 연구와 겹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물론 완전히 새로운 연구를 창조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환경이나 변인만 바꿔도 새로운 연구가 될 수 있습니다. 실현 가능성도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 ...
- [좋은 학교생활기록부 만들기 9] 면접과 구술고사 대비 전략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시험이든 기출문제가 중요하다는 이야기를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 면접도 마찬가지다. 면접을 준비하기 위해서는 면접 기출문제를 분석하고 활용해야 한다. 대학 입학처 홈페이지에는 매년 선행학습 영향평가 결과 보고서가 공지되는데, 이곳에 면접 기출문제와 출제의도, 평가 기준 등이 자세히 ... ...
- Part 2. ICM 관전 포인트 넷수학동아 l2018년 08호
- 오히려 20대가 돼서 흥미와 호기심을 잃어버리면 잘해야 할 때 지칠 수 있으니까 여유를 가지고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지내도 수학 연구를 할 수 있다고 조언해줬습니다. ▶진로가이드 수학자가 꿈이에요! Q. 변승혁 군과 김태완 군의 꿈은 수학자! 그런데 세부 분야를 뭐로 정해야 할지 고민이 ... ...
- 숫자로 보는 2018 러시아 월드컵수학동아 l2018년 08호
- 지난 월드컵 우승국은 조별 예선에서 탈락한다는 ‘우승국 징크스’를 독일도 피해가지 못했습니다. 2010년 이탈리아, 2014년 스페인에 이어 3회 연속으로 ‘우승국 징크스’가 발생했지요.5번의 월드컵 중 무려 4번이나 아르헨티나 국가대표팀과 같은 조에 편성돼 번번이 한 점차로 졌던 나이지리아 ... ...
- 콧대 높은 여왕들의 신경전, n-퀸즈 게임과 퍼즐수학동아 l2018년 08호
- 총 11×8=88가지 방법을 찾을 수 있습니다. 번은 다른 방법이 총 3가지 있으니까 결국 92가지의 서로 다른 방법이 있습니다. 여러분도 열심히 연구해서 n>27인 경우엔 얼마나 많은 방법이 있는지 찾아보세요! 김종락 서강대학교 수학과 교수는 포스텍 수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에서 석사 학위, ... ...
- [Culture] ‘승리 요정’ 되려면 강속구로 승부하라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추세를 분석하고 평균적인 움직임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모든 사람들이 다른 생김새를 가지고 있고 성격이 다르듯, 빅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요소들의 다양성을 무시해서는 안 된다. 빅데이터가 알려주는 것은 상관관계(correlation)일뿐, 이를 인과관계(causality)로 오해해서는 안 된다. 인과관계를 ... ...
- [피부, 머리카락 붙이기] 당신 머리카락을 쓸어 주고파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생성했다. 생성된 피부 오가노이드에는 표피세포와 진피세포는 물론 모낭세포까지 5~6가지의 세포가 있었다. 모낭은 털을 만드는 피부기관이다. 물론 실제 피부는 이보다 훨씬 더 다양한 20가지 이상의 세포로 구성된다. 그러나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털이 자라는 과정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 ...
- [Issue] 난민에 관한 과학적 팩트 4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정의하는 박해에는 인종과 종교, 국적, 특정사회집단 구성원, 정치적 의견 등 다섯 가지가 포함된다. 하지만 1980년대 이후 ‘기후 난민’도 주목을 받고 있다. 기후 난민은 일반적인 난민과는 차이가 있지만, 자신의 거주지가 위협받고 결과적으로 자국에서 살 수 없어 타국으로 이동한다는 공통점이 ... ...
- [과학동아 X KRISS] 볼츠만 상수로 더 완벽해진 켈빈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온도에서 정의한다는 점도 문제였다. 아주 낮은 온도를 측정할 때든 그 반대든, 이 한 가지 온도를 기준으로 열역학적 방정식을 이용해 구현하거나 측정해야 했다. 극저온, 극고온에서 불확도가 클 수밖에 없었다.이에 표준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볼츠만 상수(k)’ 를 측정한 뒤 그 값(1.380 649 ×10-2 ... ...
이전1981992002012022032042052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