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기"(으)로 총 5,818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자를 사로잡은 악마의 코드, 소수수학동아 l2013년 08호
- 소수는 초등학생들도 쉽게 알 수 있는 개념이기 때문이다.소수란 2, 3, 5, 7, 11…처럼 1과 자기 자신으로만 나눠떨어지는 1보다 큰 양의 정수다. 1부터 10까지에서는 그 정의만 알면 누구나 쉽게 소수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소수는 자연수를 이루는 기초다. 소수들을 곱하면 모든 자연수를 만들어 낼 수 ... ...
- 마찰력은 제로, 속도는 무한대과학동아 l2013년 08호
- 2년 사이에 일반 놀이기구처럼 모터나 도르래를 이용하는 시설이 등장했다”며 “튜브를 자기부상열차 원리로 띄우거나 슬라이드에 컨베이어 벨트를 붙이기도 한다”고 말했다.300m길이의 거대한 빨간 뱀 같은 터널을 2인용 튜브를 타고 즐기는 오션월드의 ‘마스터 블라스터’는 상승과 하강을 ... ...
- 빠수니 탈출 백서과학동아 l2013년 08호
- 결국 이 때 배웠던 것들은 대학교에 와서 잘 써먹었다.아이돌을 역할 모델로 삼아 자기 발전을 추구하기도 한다. 사실 내가 정신을 차린 이유는 부모님의 열 마디보다 내 아이돌이 팬미팅에서 들려준 한마디였다. ‘저희는 여러분의 인생을 책임지지 않습니다’. 세상에 그 한 마디가 그렇게 클 ... ...
- 우주기지 만드는 빅 엔지니어링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쓰이는 것은 아니다. 이미 우리가 편리하게 사용하고 있는 통신위성, 위성항법장치(GPS), 자기공명영상(MRI), 선글라스, 무선 전기드릴은 우주탐사 또는 우주 비행을 위해 개발된 것이었다. ISERI가 연구 중인 루나 콘크리트(Lunar Concrete)와 3D 프린팅 기술은 개발 도상국에서 현지 자원을 활용해 집을 싸게 ... ...
- UNIST의 힘은 세계 최고의 교수진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외국인 교수와 학부생을 전체 정원의 20%까지 늘릴 계획이다.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자기주도적 첨단 교육시스템도 가동 중이다. 학생들은 스마트폰과 태블릿PC 등을 이용해 스스로 선행학습을 한 뒤 강의실에서 교수와 함께 열띤 토론을 펼친다. 다양한 분야를 섭렵할 수 있도록 융합연구 프로그램도 ... ...
- 답정너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인터넷에는 이른바 ‘답정너 퇴치법’도 두루두루 소개되고 있습니다. 비논리적인 자기비하를 더 이상 견디기 어려운 사람들이 이런 상황을 헤쳐 나가는 방법을 공유하는 것이지요. 답정너 퇴치법은 의외로 간단합니다. 모범답안에 반대되는 대답을 하는 것이죠. 이를 테면 ‘어. 나도 네가 수지 ... ...
- 베컴과 조던의 공통점은?과학동아 l2013년 08호
- 것처럼 소수는 수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소수는 2, 3, 5, 7, 11, 13, … 과 같이 1과 자기 자신으로만 나누어 떨어지는 수로, 자연수를 만드는 기본 재료가 된다. 소수만 있으면 소수의 곱으로 자연수부터 정수, 유리수, 실수, 복소수까지 만들 수 있다. 이렇듯 소수가 수학의 토대라는 점에서 ... ...
- 회색 도시 속, 녹색 숲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이 할망구는 꼭 한 마디가 더 많단 말이야. 지구방위 그랜파는 혀를 차며 투덜대다가 갑자기 혀를 깨물었다. 뽀르르 달려 나가 나무 뒤에쏙 숨은 닥터 그랜마가 수줍게 얼굴을 내밀었기 때문이다.“컥, 으악! 대체 뭐 하는 게야!”“아니, 그게 말이야. 있지~. 내가 숨은 나무가 대체 무슨 나무야?그 ... ...
- [가상 인터뷰] 꿈의 소재, 그래핀에는 수학이 있다!수학동아 l2013년 07호
- 효과가 반정수($\frac{정수}{2}$)꼴로 나타나요. 좀 더 설명하자면, 특정 조건에서 전자에 자기장을 걸어 주면 전류가 휘어요. 즉 똑바로 가는 방향과 수직 방향인 전기가 생기는데, 이때 전기는 띄엄띄엄 생기지요. 이 현상을 ‘양자홀 효과’라고 불러요. 대개 이 값은 정수나 분수로 나타나죠. 그런데 ... ...
- 투명한 뇌, 우울증 신경을 찾다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어디에 어떤 모습으로 있는지 알아야 치료할 수 있는데, 최근에야 가능해졌다. MRI(자기공명영상)로 뇌를 촬영하고, 컴퓨터 소프트웨어로 가공하면 뇌 속 신경다발을 볼 수 있다.세계에서 가장 자세하게 뇌신경을 볼 수 있는 기술을 가천의대 뇌과학연구소에서 새로 개발했다. 이전의 신경다발 ... ...
이전2012022032042052062072082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