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기"(으)로 총 5,818건 검색되었습니다.
- 보이저 1호, 혜성의 고향까지 갈까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임박했음을 시사했다.그러나 아직까지 태양권 탈출 여부를 판단하는 조건 중 하나인 ‘자기장 변화’가 관측되지 않아 과학자들은 보이저 1호가 태양권계면을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그 언저리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NASA의 연구자들은 보이저 1호가 태양권계면을 완전히 벗어나는데 ... ...
- 배터리 닳는 속도가 LTE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코일 쌍을 이용한다. 전력을 전송하는 송신코일에 교류전기를 흘려보내 특정 주파수의 자기장을 만들면 멀리 떨어진 수신코일이 이에 공명해 전류가 흐르는 원리다. 애플, 인텔, 삼성, LG 등 여러 기업이 관련 기술 개발에 뛰어들고 있다. 차세대 고용량 배터리가 나오기 전까진 이따금씩 ... ...
- 현존하는 20세기 최고의 수학자, 장 피에르 세르수학동아 l2013년 09호
- 토론하는 것이 힘든 시대가 되었다. 조금만 전공분야가 달라도 아예 대화를 포기한다. 자기의 이름을 감추고 벌이는 학술활동이란 더더욱 힘들다. 부르바키는 아직도 존재하지만, 이전의 역동성은 찾아볼 수 없다.어쩌면 세르같은 수학자가 드물어졌기 때문일까? 부르바키가 입증했던 익명성과 ... ...
- Part 1. 출항 : 우주보다 복잡한 지도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용액에서 뇌를 꺼낸 뒤 기포를 제거하고 특수 유리병에 담아 1.5테슬라(T)의 의료용 MRI(자기공명영상)로 촬영했다.5년 전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됐다. 뇌에 파라핀 왁스를 입힌 뒤 얇게 저며 두께가 20μm(마이크로미터, 1000분의 1mm)인 얇은 판 모양의 시료 7404장을 만들었다. 이를 광학현미경으로 100 ... ...
- [과학뉴스] 길고양이, ‘내시’ 만들지 마세요~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세균을 옮기기도 한다. 또 수고양이 자신의 영역에 다른 수컷을 못 들어오게 막으면서 자기 구역의 암고양이를 임신시켜 개체수를 늘린다.이를 막기 위해 보통 길고양이를 포획해 정소를 아예 제거하는 중성화 수술(TNR)을 한다. 문제는 개체수 억제 효과는 있지만, 수술을 받은 수고양이가 성호르몬 ... ...
- Part 2. 항해 : 뇌지도를 만들기 위한 4가지 전략과학동아 l2013년 09호
- MRI로 찍은 영상이었다.MRI는 자기장이 셀수록 세밀하게 뇌 내부를 관찰할 수 있다. 자기장 단위가 테슬라다. 7T MRI는 국내엔 유일하게 가천의대에만 있고, 세계적으로도 40대 정도밖에 없는 첨단 장비다. 여기에 PET 영상을 추가로 찍은 뒤 두 영상을 합쳐 보다 세밀하게 뇌의 구조와 기능을 알아낼 수 ... ...
- 생면으로 요리한 봉골레 파스타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달라붙지 않게 하려면 우선 파스타 무게의 10배가 넘는 물에서 끓여야 해요. 파스타는 자기 무게의 1.6~1.8배나 되는 수분을 흡수하면서 익거든요. 파스타를 넣은 뒤 굵은 소금과 올리브유를 한 숟가락씩 넣어요. 굵은 소금은 면에 짭짤하게 간을 낼 뿐 아니라, 전분이 엉겨 붙는 현상을 막아주지요 ... ...
- [화보] 여름잠 자는 동물들의 수학적인 생존 비결수학동아 l2013년 08호
- 가시가 부딪히는 소리가 나는데, ‘딱딱딱’ 하는 소리부터 초음파까지 조절이 가능해 자기들끼리 다양한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적이 나타났을 때도 의사소통용 가시를 이용해 주변 친구들에게 위협을 알린다. 로랜드줄무늬텐렉은 가시의 마찰음으로 소통하는 유일한 포유류다.사막달팽이의 ... ...
- 수학과 세상의 경계를 넘나든 수학자 스티븐 스메일수학동아 l2013년 08호
- 유추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다룬다. 쉽게 말하자면 ‘큰 풍선 위를 기어가는 개미가 자기 주변에서 폐곡선을 그린 후에 줄여나가서 점으로 줄일 수 있음을 관찰한다면, 전체 풍선의 모양이 구와 같다’고 말할 수 있는데 이를 일반화할 수 있는지를 묻고 있는 것이다.만약 이 풍선이 도넛 ... ...
- 수학자를 사로잡은 악마의 코드, 소수수학동아 l2013년 08호
- 소수는 초등학생들도 쉽게 알 수 있는 개념이기 때문이다.소수란 2, 3, 5, 7, 11…처럼 1과 자기 자신으로만 나눠떨어지는 1보다 큰 양의 정수다. 1부터 10까지에서는 그 정의만 알면 누구나 쉽게 소수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소수는 자연수를 이루는 기초다. 소수들을 곱하면 모든 자연수를 만들어 낼 수 ... ...
이전2002012022032042052062072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