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기"(으)로 총 5,818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 미디어] 돌고래는 수학 천재? 돌핀수학동아 l2013년 04호
- 돌고래가 내는 소리와 비교해서 적응 정도를 파악할 예정이다.영화 속 주인공 다니엘은 자기 힘으로 꿈을 찾아 떠나가지만, 제돌이는 사람들의 도움을 받아 자연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과연 다니엘은 꿈을 찾을 수 있을까? 또 제돌이는 거친 바다에서 잘 적응할 수 있을까? 4월에는 돌고래 이야기에 ... ...
- ➍ 서갑양 기계항공공학부 교수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전기적 인력)이 있어요. 나노 돌기 하나하나 사이의 인력은 아주 작지만 힘이 더해지면 자기 몸무게의 몇 배를 들 수 있죠. 이런 것을 저희가 가진 나노 기술을 이용해서 모사합니다. 이것을 이용하면 피부에 붙이는 패치를 만들 수도 있어요. 자연모사는 자연을 관찰하고 그 속에서 유용한 것을 ... ...
- 밴 앨런 대, 알고보니 세 겹이네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왔지만, 이번에 둘 사이에 또 하나의 고에너지 자기장대가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이 자기장대는 일시적인 것으로, 밴 앨런 대 탐사선은 발사 6일 뒤에 이 지역을 처음 발견했으며, 약 한 달 뒤 사라졌다. 연구팀은 8월31일 발생한 태양의 거대한 프로미넌스(홍염)가 강한 충격파를 발생시켜서 입자를 ... ...
- 비행, 레이더, 동면 - 진화의 꽃 박쥐의 모든 것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체온이 일정해야 몸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먹을 것도 없고 추운 한겨울에 갑자기 체온이 오르니 에너지 소모가 늘고, 당신은 그대로 죽을 수밖에요. 일부 종은 그 지역에서 거의 멸종에 이를 정도로 피해가 심각합니다.혹자는 미운 마음에, 당신 따위 죽어도 그만이라고 생각할지도 ... ...
- 사랑의 묘약, 있다? 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안드레아스 바텔스 박사팀은 엄마 20명에게 아기와 남편 사진을 보여 주고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을 통해 뇌의 반응을 살폈다. 그 결과 두 경우 모두 같은 부위가 반응했다. 뇌가 반응한 부위는 옥시토신에 민감한 뇌 세포가 모여 있는 곳이었다. 이 연구 결과는 2004년 2월 13일 과학전문지 ... ...
- 도로시의 카오스 여행기 혼돈에 빠진 오즈를 구하라!수학동아 l2013년 04호
- 끝없이 되풀이 되는 구조를 말한다. 즉, 부분과 전체가 똑같은 모양을 하고 있는 ‘자기 닮음’이 특징이다. 해안선의 일정 부분을 확대해 보면 전체 해안선과 똑같은 배열이 나타나는 것이 대표적인 예다.로렌츠 끌개의 두 날개를 살펴보자. 수많은 날개들은 각각 비슷한 형태가 무수히 반복되며 ... ...
- 꽃 호르몬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3년 04호
- 11종의 개화지연 돌연변이체를 학계에 발표했고, 식물학자들은 이 돌연변이체를 이용해 자기가 먼저 개화 유전자를 클로닝하기 위해 경쟁했다. 대표적인 과학자가 영국의 캐롤라인 딘, 독일의 조지 쿠플랜드, 호주의 엘리자베스 데니스와 필자의 지도교수였던 미국의 리차드 아마시노였다. 1993년, ... ...
- 공명 이용한 저전력 정보처리의 길 열려과학동아 l2013년 04호
- 발생시키고 증폭하는 기술 확보가 관건이었다.연구팀은 위상차가 일정한 서로 다른 자기펄스를 연속적으로 가해 공명현상을 일으켜 작은 전력으로 스핀소용돌이 핵의 회전운동을 일으키고 신호를 증폭시켰다. 이를 X-선 현미경을 이용해 관찰한 결과 스핀소용돌이 핵의 회전운동 진폭이 약 4배 ... ...
- 엄마! 수학 잘하게 형 낳아 주세요과학동아 l2013년 04호
- 반가운 것은 가희였다. 반대로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자율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자기주도적 학습전략을 세워 공부하는 것이 더 좋다는 것이다.열심히 공부하려고 그룹 스터디도 주도해 만든 과동이가 이런 사실을 알아야 한다는 생각에 가희는 큰 맘먹고 과동이에게 알려줬다. 과동이는 ... ...
- 생각의 힘으로 우주를 바꾼다?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의도가 컴퓨터 안에서 흐르는 전자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라 설명했다.그렇다면 자기계발서에 나온 내용처럼 좋은 생각을 하면 좋은 미래가 찾아온다는 주장도 설명할 수 있을까. 노에틱 사이언스 연구자들은 양자역학의 ‘비국소성’으로 이를 해석하려 시도한다. 양자얽힘 현상때문에 ... ...
이전205206207208209210211212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