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람"(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두 눈 크게 뜨고 찾아봐~! 앗! 여기에도 직각삼각형이?!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1호
- 이봐, 유령들! 계속 그렇게 억울해 할 거야? 먼 옛날 우리가 직각삼각형에 숨은 비밀을 발견한 덕분에 지금 사람들의 생활이 얼마나 풍요로워졌는지 보라고. 직각삼각형의 저주가 아니라 축복이야~! ...
- [이슈] 수학으로 찰칵찰칵! 엘사와 우디 얼굴로 바뀌는 비결은?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1호
- 생기를 불어넣을 차례예요. 이마가 나온 사람, 광대뼈가 튀어나온 사람, 눈이 들어간 사람 등 눈, 코, 입의 모양을 비롯한 다양한 얼굴의 특징이 있어요. 그걸 컴퓨터에게 알려주기 위해 찍은 점을 선으로 이어 그물망 모양으로 그려요. 이 그물망에는 어디가 튀어나왔고 훅 들어갔는지 등의 입체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23화. 수학과 졸업하면 뭐할까?수학동아 l2021년 11호
- 비극이지만, 멀리서 보면 희극인 것 같아요! 가까이서도 멀리서도 수학을 잘 활용하는 사람이 될 거예요. 저희 셋이 뽑은 수학 관련 전공자의 가장 큰 장점은 ‘논리와 구조를 바탕으로 생각하는 힘’이 있다는 거예요. 순수 수학만으로는 직업을 선택하거나 진로를 결정할 때 어려울 수 있지만, ... ...
- 실험실에서 만든 푸아그라, 정말 먹어도 괜찮을까과학동아 l2021년 11호
- 못해 배양육은 외부 노출 없이 연구자에 의해 완전히 통제된 환경에서 생산되기 떄문에 사람들은 더 깨끗한 음식이라는 인상을 받는다. 가축의 경우 사육하면서 구제역 등 바이러스에 노출될 수 있고 도축 시에도 대장균 및 살모넬라균에 오염될 위험이 있다. 반면 배양육은 외부 환경에 노출되지 ... ...
- [기획] 노벨물리학상, 기후와 물질 속 혼돈에서 질서를 발견해내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많은 과학자가 지구과학 분야의 중요성을 인정해 준 게 아닌가 싶다. 이를 계기로 많은 사람이 지구과학, 그중에서도 기후과학 연구에 관심을 갖길 바란다. ※ 필자소개박종연.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에서 학사와 석사 학위를, 독일 막스플랑크 기상연구소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독일 ... ...
- 여성과 남성 백신 영향 차이날까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연구에서도 부작용과 항체 형성의 연관성은 발견되지 않았다. mRNA 백신을 2회 접종한 사람은 증상과 상관없이 모두 면역글로불린G(IgG) 항체가 생성됐으며, 스파이크 단백질에 대해 강력한 항체 반응을 보였다. 데베스 연구원은 “연구 결과는 백신 접종 후 증상이 나타나지 않거나, 바이러스에 ... ...
- [야생동물이 사람을 두 번 만났을 때]유리 한 장에 갈린 생과 사, 솔부엉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야생동물이 사람을 두 번 만났을 때’ 기사에는 유난히 조류가 많이 등장한다. 구조센터에서 생과 사를 달리하는 동물 중 조류가 가장 많기 때문 ... 봉사활동을 했다. 앞으로 더 많은 배움을 통해 야생동물, 나아가 지구에 도움이 되는 사람이 되고 싶다는 소망을 갖고 있다. krh1339@naver ... ...
- [막내기자의 과학실험실] 떨어져라 운명의 붉은 실 커플 브레이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운명처럼 이끌리는 한 쌍을 떼어놓는 실험을 준비했습니다. 우선 양팔을 벌리고 있는 사람 모양의 메모꽂이를 두 개 준비했습니다. 각각 철수와 영희라고 이름 붙이겠습니다. 철수의 손(?)에 자석을 고정합니다. 영희에겐 바늘을 꿰어 둔 실을 묶어줍니다. 그러면 바늘이 자석에 붙으면서 철수와 ... ...
- [과동키즈] 선수의 건강을 책임집니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중 관련 질환을 호소하는 사람도 늘고 있다. 평균 수명이 늘고 취미로 스포츠를 즐기는 사람도 많아졌고, 반복적인 일을 하는 직업군에서도 만성손상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일례로 무거운 냄비를 다루는 요리사는 테니스 선수에게 주로 나타나는 부상 중 하나인 ‘외측상과염(테니스엘보우)’이 ... ...
- [수학뉴스] 수학으로 기후변화 분석한 물리학자들 노벨 물리학상 수상수학동아 l2021년 11호
- 1901년에 처음 시작해 올해로 딱 120주년을 맞았답니다. 올해는 기후를 수학으로 분석한 사람들이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바로 클라우스 하셀만 독일 막스플랑크 기상연구소 창립자, 슈쿠로 마나베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교수, 조르조 파리시 이탈리아 로마 사피엔자대학교 ... ...
이전2012022032042052062072082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