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람"(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수학자가 무한을 그리는 방법수학동아 l2021년 11호
- 방으로 이동하세요”라고 말합니다. 그러면 1번 방에 있던 사람은 2번 방, 2번 방에 있던 사람은 4번 방으로 옮기게 되죠. 그럼 결과적으로 1, 3, 5, 7, 9, 번의 홀수 방은 빈방이 됩니다. 홀수 역시 무한할 테니 새로 온 무한한 손님을 받을 수 있지요. 만약 짝수 방을 비우고 싶다면, “자신의 방 번호에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23화. 수학과 졸업하면 뭐할까?수학동아 l2021년 11호
- 비극이지만, 멀리서 보면 희극인 것 같아요! 가까이서도 멀리서도 수학을 잘 활용하는 사람이 될 거예요. 저희 셋이 뽑은 수학 관련 전공자의 가장 큰 장점은 ‘논리와 구조를 바탕으로 생각하는 힘’이 있다는 거예요. 순수 수학만으로는 직업을 선택하거나 진로를 결정할 때 어려울 수 있지만, ... ...
- 식물, 공장에서 키웁니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조명을 쓴다. 원적색광의 파장대는 700~760nm로, 적색광과 적외선 파장대 사이에 있어 사람의 눈으로 쉽게 인식할 수 없다. 식물의 세포분열과 생장, 형태 형성에 도움을 준다.이식 이후 9일이 지나면 이제 식물이 많이 자라 공간이 비좁아진다. 정식을 할 차례다. 판 하나에 구멍이 25개 뚫린 곳으로 ... ...
- 엔지니어의 손 끝, 누리호 심장을 빚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밝히는 등 우주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김 차장은 “과거 우주가 일부 관심 있는 사람들에게만 조명된 분야였다면 누리호 프로젝트로 이제 전국민의 관심을 받고 있다”며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사명감을 갖고 국내 대표 우주 기업으로 성장해 국민들의 기대에 부흥할 수 있기를 ... ...
- [기획] 노벨생리의학상, ‘당연한 감각’ 이면의 비밀을 밝히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있던 필자는 무척추동물의 생체 내에서 피에조의 역할을 증명하기로 결심했다. 피에조는 사람부터 점균류까지 많은 생명체에서 발견되는데, 척추동물에서는 두 개의 유전자(피에조1, 피에조2)로 존재하는 반면, 초파리와 예쁜꼬마선충 등 무척추동물에서는 한 개의 유전자로 존재했다. 2012년 필자는 ... ...
- 일상 회복은 백신+마스크와 함께과학동아 l2021년 11호
- 백신 접종자와 미접종자의 확진율이 거의 유사하다”며 “한국도 점차 백신을 접종한 사람들의 확진율이 늘어나는 추세인 만큼 백신을 맞고 주기적으로 항체 검사를 해 (백신에 의한 방어 효과를) 분석해야 한다”라고 말했다.무엇보다 마스크 착용 등 기존의 기본적인 방역 조치를 철저히 이행하는 ... ...
- [인터뷰] "나에게 상처주지 않길" 황유경 GC녹십자랩셀 세포치료연구소장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세포치료연구소는 환자의 세포를 사용하는 ‘자가세포치료제’가 아닌 다른 사람의 세포를 사용하는 ‘동종세포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동종세포는 자가세포보다 부작용을 일으킬 위험이 높기 때문에 치료제 개발이 더 어렵다. 현재는 면역세포인 자연살해(NK)세포의 동종세포로 약 형태의 ... ...
- [특집] 막 잡다가 텅 빈 바다 된다? 물고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특집] 막 잡다가 텅 빈 바다 된다? 물고기Part1. [특집] 물고기를 잡아도 너무 잡아!Part2. [특집] 물고기 잡으려다 바다를 망치네!Part3. [특집] 고기잡이 문제, 어떻게 해결할까?Part4. [특집] 물고기를 살리려 바다로 뛰어든 사람들! ...
- [가상 인터뷰] 야생 당나귀와 말, 외래침입종에서 구세주로 신분상승!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이 친구는 말이야. 말은 6000년 전부터 사람과 함께 지낸 동물이야. 자동차가 없던 시절, 사람들은 말을 타고 먼 거리를 이동했지. 말의 긴 목과 쭉 뻗은 다리는 빨리 달리는 데 적합했거든. 근육질 뒷다리를 힘차게 뻗어 최대 시속 70km의 속도로 달릴 수 있지. 키는 약 2m에, 평균 몸무게는 350~700kg ... ...
- [현장취재] 세상을 구하는 착한 화학을 아시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관리가 가능한 질병이 됐어요. 하지만 개발도상국에선 에이즈에 걸렸는지도 모르고 다른 사람을 감염시키는 일이 계속되고 있죠. 신 교수님은 “환자를 찾아내는 것이 치료의 시작”이라며, “지금은 질병을 진단하는 데 값비싼 비용이 들지만, 저렴하고 간단하게 건강을 체크할 수 있는 종이 진단 ... ...
이전1992002012022032042052062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