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표"(으)로 총 7,19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인공지능도 역설을 이해할까?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추론 과정을 거쳐도 자기 모순적인 결론에 봉착한다. ‘이 문장은 거짓이다’는 대표적인 이율배반 역설이다. 이 역설을 논리식으로 바꿔 구현한 프로그램을 인공지능에게 입력하면 아래와 같은 결과가 나온다. 자기 모순에 빠진 인공지능은 프로그램을 무한히 실행한다. 보통 프로그램이 ... ...
- 영국의 중심에서 수학을 외치다!수학동아 l2017년 03호
- 갖게 되지요. 지금 건물은 1928년 완공됐고, 그때부터 줄곧 세계인이 사랑하는 런던의 대표 관광지 중 하나로 꼽히고 있어요.Q 이전에도 수학갤러리가 있었나요?네, 수학갤러리는 1975년부터 있었어요. 그런데 인기가 없었죠. 수학에 관심이 많은 관람객들이 수학갤러리를 재단장해서 다시 문을 ... ...
- [Issue] 반려앵무새, 사이테스 신고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야생동물’을 보면, 영국 가정에서 키우는 파충류의 75%가 1년 이내에 사망한다.전 대표는 “판매 중인 파충류는 1m 이상 자라는 경우도 있다”며 “성체의 크기를 잘 모르고 어린 개체를 입양하는 것은 사육을 포기하게 되는 중요한 이유 중 하나”라고 밝혔다. 많은 업체가 택배를 통해 동물을 ... ...
- [Origin] 강아지 고민상담소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얘기를 마음껏 털어놔도 되는 이 시대의 동반자는 반려동물이다, 동의하시나요? 한국의 대표 반려동물, 강아지 때문에 울고 웃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소개합니다.Q 내겐 너무 영악한 너!첫 번째 사연입니다. 저희 집에는 다섯 살 된 시츄견 ‘호심이’가 있는데요. 호기심이 많아서 붙인 이름이에요.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오로라의 대활약!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건물이 무너질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된답니다.공명 현상은 생활에서 유용하게 쓰여요. 대표적인 예가 ‘라디오’랍니다. 우리가 라디오의 다이얼을 돌리는 건 라디오 전파의 진동수를 바꾸는 거예요. 한편, 방송국들은 각자 특정한 진동수의 전파에 소리를 담아전국에 퍼뜨리지요. 우리가 라디오에서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스타인버그의 추측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색의 수를 더 줄일 수는 없을까요? 많은 수학자가 이 물음에 대해 연구해 왔습니다. 그 대표적인 예가 1959년 독일 수학자 헤르베르트 그뢰치가 발표한 ‘그뢰치의 정리’입니다. 삼각형이 없는 평면그래프는 3색으로도 칠할 수 있다고 밝힌 겁니다.4색 정리는 증명 과정이 너무 길어서 다 읽고 확인한 ... ...
- [매스미디어] 포켓몬 트레이너 L씨의 피카츄 사냥수학동아 l2017년 03호
- 포켓스탑을 돌며 몬스터볼을 두둑히 모으는 것. 최적의 경로는 어떻게 구할까.이는 대표적인 난제 ‘여행하는 외판원 문제’와같다. 외판원이 n개 도시를 도는 가장 빠른 길을 찾는 문제다. 이것이 어려운 이유는 비교해야 할 경로의 수가 매우 많아서다. 포켓스탑이 3개라면 경로의 수는 ... ...
- [Issue] 쓸모없다 해서 미안했다 충수의 재발견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벌어진 일이다.맹장염의 정확한 이름은 급성 충수염쓸모없어 보이는데 골치는 아팠다. 대표적인 게 맹장염, 정확하게는 ‘급성 충수염’이다. 맹장은 대장과 소장이 연결된 부위 아래쪽으로 오동통하게 부풀어 오른 대장의 일부로, 맹장에 붙어 있는 새끼손가락만 한 돌기인 ‘충수’가 막혀서 생긴 ... ...
- [Origin] 겨울잠과 잠을 동시에 자는 여우원숭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춥고 먹이가 부족한 겨울이 되면 많은 동물이 겨울잠을 잔다. 곰, 다람쥐, 박쥐 등이 대표적이다. 그런데 놀랍게도 인류의 사촌인 영장류 중에도 겨울잠을 자는 종이 있다.바로 마다가스카르 섬에 사는 여우원숭이다.일년 365일 영장류 생각만 하는 필자 같은 학자들도 접할 때마다 놀라는 사실이 ... ...
- [Career] 꿈의 연구실에서 만든 꿈의 다이오드과학동아 l2017년 03호
- 표면에 금속막을 증착해 만드는 금속/반도체 접합 다이오드는 역사적으로 가장 오래되고 대표적인 반도체 소자다. 그런데 접합면에서 두 물질의 원자가 뒤섞여 전류 누설이 늘어나는 현상을 피할 수 없어 이상적인 다이오드 제작이 어려웠다. 교수팀은 금속과 반도체 접합면에 탄소 원자 한 층으로 ... ...
이전1992002012022032042052062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