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 [기획] 소 트림을 감시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8호
- 트림을 하던 소가 깜짝 놀랐어요. 하늘에 떠 있는 인공위성에 트림하는 걸 들켰기 때문이죠. 소의 트림을 감시하는 위성이라니, 어떻게 된 일일까요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소 트림을 감시하라Part1. 메테인, 전 세계가 감시한다!Part2. 메테인, 어디서 나올까?Part3. 메테인, 줄이고, 활용하자! ...
- [기획] 메테인, 전 세계가 감시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8호
- 인공위성 기업인 나라스페이스테크놀로지가 참여했죠. 나라스페이스테크놀로지 박재필 대표는 “우리나라에서 만드는 위성은 메테인샛보다 크기가 작아 제작 시간이 짧고 대량 생산에 용이하다”며 “위성 여러 개를 발사해 메테인 배출 위치를 실시간으로 더 자세히 살필 수 있다”고 설명했어요 ... ...
- [특별한 수학] 독자들, 내 동료가 돼라! 둘,셋! 수학돌 어수동즈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8호
- 쉽지 않은 아이돌 되기, 내가 쉽게 EASY! 안녕? 우리는 어린이 수학 아이돌 ‘어수동즈’야. 아이돌이 궁금하다고? 우리가 수학으로 쉽게 알려줄게!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둘,셋! 수학돌 어수동즈Part1. 메테인, 전 세계가 감시한다!Part2. 메테인, 어디서 나올까?Part3. 메테인, 줄이고, 활용하 ... ...
- [기획] 메테인, 어디서 나올까?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8호
- 농축산업에서 나오는 메테인은 가축을 키우거나 농사를 지을 때 발생합니다. 대표적으로 소와 같은 가축이 풀이나 사료를 먹고 소화하는 과정에서 내뿜는 트림과 방귀, 똥에서 메테인이 나와요. 소가 풀을 먹으면 위에 사는 세균이 음식을 발효시키며 분해하는데, 이 과정에서 메테인이 생겨요.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 신재생 에너지의 꿈 코오롱에 같다 오다기사 l20250726
- 변하는겁니다.그래서 언제 석유가 고갈될지 모르죠.그래서 사람들은 신재생 에너지를 발견하기 위해 애를 쓰기 시작합니다.그래서 그 대표적인 기업이 코오롱인거죠. 저는 두번째로 코오롱에 있는 여러 신재생에너지를 느낄수(?)있는 놀이 체험을 했습니다.거기에서는 풍력에너지 태양 어너지 등 여러가지 에너지를 놀이로 한층더 가깝게 느낄수 있는 체험을 했습니 ...
- 코오롱 “에코 큐브 롱롱” 현장 미션에 다녀왔어요!기사 l20250725
- 자연에서 지속적으로 재생 가능한 자원으로부터 얻는 에너지를 말하며, 크게 3가지로 나뉩니다. 송하율연구원님께서 알려주신 대표적인 재생에너지의 종류 3가지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1. 태양에너지태양에너지는 크게 태양광 에너지와 태양열 에너지 두가지로 나뉩니다.태양광 발전: 태양광 셀을 이용해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바뀝니다.태양열 이용: 태양의 ...
- 최상현 연구원님! KAI가 뭐에요? (우주 기자단 아홉 번째 현장 미션)기사 l20250722
- 이 덕분에 우주 기술은 눈부시게 성장했습니다. 마지막으로, 현재입니다. 지금 현재는 정부 주도에서 민간 주도로 바뀐 상태입니다. 대표적인 민간기업은 스페이스 X가 있습니다. 또, 하나의 산업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3. 인공위성이란? 이제 본격적으로 인공위성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일단, 인공위성은 궤도에 따라 3가지로 나뉩니다. 1. 저궤도 ...
- 인공위성에 대해 배운 귀한시간- 한국항공우주산업 KAI기사 l20250720
- 한국항공우주산업 KAI는 지난 40년간 항공우주산업을 끌었던 대한민국 대표 항공우주산업 기업으로 KT-1 T-50, 기동헬기, 무인기 등 개발하고 아울러 인공위성도 만드는 하늘과 우주는 나는 물체들을 만드는 거를 주력으로 하고 있는 회사라고 보면 된다고 합니다. 200 ...
- 미래를 밝힐 인공태양, KSTAR를 방문하다: 핵융합 에너지의 신비기사 l20250720
- 느꼈습니다.특히, 우리나라뿐 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가 힘을 모아 인공태양을 개발하고 있다는 사실도 매우 인상 깊었습니다. 그 대표적인 예가 바로 국제핵융합실험로 ITER(이터)입니다.ITER는 프랑스 남부 카다라슈에 건설 중인 세계 최대의 핵융합 장치로, 한국, 미국, 유럽연합, 일본, 중국, 러시아, 인도 등 7개국이 공동으로 참여하고 있습니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