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위
인조
가공
가상
시뮬레이션
모조
사이버
스페셜
"
인공
"(으)로 총 2,020건 검색되었습니다.
“100조원대 단백질 의약품 시장은 우리 것”
동아사이언스
l
2012.02.13
대체해 단백질 신약 시장에서 큰 인기를 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그는 “
인공
항체 단백질 설계 기술은 진단이나 분석용 연구에도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현재 미국과 유럽 등 국내외 특허 출원을 마쳤으며 세포 수준에서 입증된 패혈증과 관절염 치료 ... ...
“사람에게 목적 맞춘 바이오 연구 필요해”
동아사이언스
l
2011.11.28
1998년~현재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교실 교수 2003년~현재 고려대학교 연구소 한국
인공
장기센터 소장 2007년~2009년 고려대의료원 의무기획처장 2009년~2010년 보건복지부 HT포럼 공동대표 2009년~현재 대한민국의학한림원 정회원 2010년~현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R&D진흥본부 본부장 2011년~현재 ... ...
한 자리에 모인 주요 제약社 연구소장, “한국 바이오는…”
동아사이언스
l
2011.04.05
추정하고 있다. 가령 바이오연료나 합성생물학(synthetic biology·새로운 기능의 생명체를
인공
합성하는 분야) 등을 들 수 있다. 한국 벤처기업들을 보면 대부분 제약에만 몰려 있다. 국가적인 바이오 R&D 정책에서도 지금보다 폭넓고 다양한 시각을 가질 필요가 있다. ●“학계-산업계 부담 없는 소통의 ... ...
“해외 식물 10만종 모으는 게 목표”
동아사이언스
l
2010.07.28
연구하고 싶은, 평범한 연구원이 꿈”이던 그는 다시 연구원으로 돌아가고 싶다고 했다.
인공
씨감자로 유명세를 타면서 사업단을 맡게 됐지만 잠시 손을 놓았던 본래의 모습, ‘감자 박사’로 돌아가겠다는 것이다. 정 단장은 “씨감자 연구로 감자농사의 녹색혁명을 일으키는 게 목표”라고 했다. ... ...
합성세포 창조한 비결… “황당한 주제 당연하게 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10.06.21
일이 쉽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렇다면 깁슨 박사 연구팀은 이제 자유자재로
인공
생명체를 만드는 기술을 확보한 걸까. 그렇지는 않다. 이제 시작 단계라는 것이다. 깁슨 박사는 “아직 생명체의 게놈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일단 기존의 게놈을 그대로 복제한 ... ...
“국내 바이오 기업은 30점, CEO 욕심 버려야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0.04.28
없어요.” 권 과장의 말은 거침이 없었다. 그는 “바이오산업이 시작된 건 1980년대 초반
인공
인슐린을 상업적으로 생산하게 되면서부터였다”며 “이제야 시작하니 외국에 뒤떨어진 게 당연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가 외국에 뒤진 이유로 세 가지를 꼽았다. 먼저 R&D 수준이 떨어지고 ... ...
“육종센터, 전경이 24시간 지키는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10.02.23
수산 자원을 육종하기 때문에 신경 써야 할 일이 많다. 식품안전은 물론 겉보기에
인공
적인 요소가 들어가면 색안경을 끼고 보는 경우가 많아 가능한 자연 그대로의 교배를 시키고 키운다. 무조건 빨리 키우거나 새로운 형질을 만드는 것이 능사는 아니라는 의미다. 임 원장은 “장기적으로 봤을 때 ... ...
“농업, 첨단 산업으로 진화중”
동아사이언스
l
2010.01.14
올해 연구 성과는 일반의 인식을 뛰어 넘는다. 누에고치에서 뽑아낸 실크단백질로 만든
인공
고막용 실크막은 세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면역거부반응을 일으키는 유전자(알파갈)를 제거한 복제 미니돼지 ‘제노(Xeno)’는 돼지 장기를 사람에게 이식하는 이종(異種) 장기이식의 길을 열었다. ... ...
“오창-오송에는 공장보다 연구소가 들어와야”
동아사이언스
l
2009.11.24
미래형 동물자원센터는 단순히 동물 개체 수를 유지하는 노력만으로는 만들기 어렵다.
인공
장기나 신약 개발에 활용될 미니돼지는 병원균에 절대 감염되지 않은 깨끗한 상태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절대 미니돼지를 센터 밖으로 갖고 나가서 실험할 수 없으며 한번 나간 돼지는 다시 ... ...
“융합형 뇌 연구는 시대의 흐름…대형 연구소 세워야”
동아사이언스
l
2009.03.25
아직 규명되지 않아 뇌를 모방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인공
지능을 구현하려면 여러 장치들이 병렬로 연결된 신경컴퓨터를 사용해야 한다. 뇌 일부가 손상돼도 계속 활동하는 사람의 뇌처럼 컴퓨터 일부가 고장 나도 계속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문제는 뇌 연구가 ... ...
이전
198
199
200
201
202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