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위
인조
가공
가상
시뮬레이션
모조
사이버
스페셜
"
인공
"(으)로 총 2,020건 검색되었습니다.
ETRI, 한·일 자동통역 시범서비스 실시
동아사이언스
l
2013.05.07
환경설정에서 통역언어를 일본어로 변경하고 사용하면 된다. 박상규 ETRI 자동통역
인공
지능연구센터장은 “국민의 참여가 자동통역 성능개선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면서 “2014년 인천아시안 게임에는 ㈜CSLI 등 ETRI 기술을 이전 받아 사업화를 진행하고 있는 국내 자동통역 서비스 업체와 함께 ... ...
우주 과학을 탄생시킨 사상 최대의 기술이전
KOITA
l
2013.05.06
쓸모가 없어졌다. 스푸트니크를 쏘아올린 R-7의 선조격인 소련의 R-1과 R-2, 미국 최초의
인공
위성, 익스플로러를 발사한 미국의 레드스톤 로켓은 V2의 파생발전형에 불과할 정도였다. 특히 R-7은 최초의 대륙간탄도탄으로서 보스토크 우주선을 쏘아올리는데도 사용하고 지금은 가장 안전한 ... ...
나노입자 기반의 신개념 슈퍼렌즈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 메타물질 : 자연에서 찾을 수 없는
인공
적인 구조로 특수한 성질을 갖도록 제작된
인공
물질) 연구팀은 빛의 위상을 조절함으로써 나노입자를 통과한 산란광을 정밀하게 조정하여 초고해상도 초점을 형성할 수 있는 산란 슈퍼렌즈(scattering super-lens)에 대한 개념을 제안하고, 실험적으로 ... ...
“융합형 뇌 연구는 시대의 흐름…대형 연구소 세워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아직 규명되지 않아 뇌를 모방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인공
지능을 구현하려면 여러 장치들이 병렬로 연결된 신경컴퓨터를 사용해야 한다. 뇌 일부가 손상돼도 계속 활동하는 사람의 뇌처럼 컴퓨터 일부가 고장 나도 계속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문제는 뇌 연구가 ... ...
동일본 대지진의 위력, 우주에서도 감지
채널A
l
2013.04.25
도호쿠 해안에 규모 9.1의 강진이 발생합니다. 그로부터 30분 뒤. 지구 상공 255㎞를 돌던
인공
위성 ‘고스(GOCE)’가 지진의 여파로 발생한 음파를 포착합니다. 최근 유럽 과학자들은 고스 위성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년 전 동일본 대지진의 여파로 생긴 음파가 위성에 포착된 사실을 확인했다고 ... ...
광합성의 양자생물학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광합성계보다 훨씬 간단한 분자에서 양자 결맞음이 일어난다는 게 확인됨에 따라 앞으로
인공
광합성 연구는 ‘양자도약(quantum jump)’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매큐언의 소소설 속 비운의 물리학자 알두스의 꿈이 현실이 될 날도 머지않았다는 말이다 ... ...
독감 걸리는 사람 완전히 사라지는 날 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있는 단백질 조각을 디자인해 실제로 바이러스 표면에 달라붙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인공
항체인 셈이다. 세계 곳곳에서 진행되고 있는 연구들을 보면 언젠가는 독감예방접종을 맞는 연례행사가 추억이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물론 독감 바이러스가 이런 사람들의 대응책을 무너뜨릴 는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②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8월 23일자)에 실리기도 했다. 크로는 젊었을 때 정자를 보관해 뒀다가 자식이 필요할 때
인공
수정을 하는 해결책을 내놓기도 했다. 한편 크로는 비올라 연주 실력이 직업 연주자 수준이어서 45년 동안이나 매디슨심포니오케스트라의 단원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세계적인 바이올린 연주자 예후디 ... ...
식물의 광합성 단백질 모사해
인공
안테나 단백질 합성
동아사이언스
l
2013.04.24
온 광합성 시스템의 효율을 이기는 것은 쉬운 도전이 아니지만, 이번 연구결과는
인공
광합성 안테나의 대량생산을 위한 연구의 토대를 마련한 것”이라고 밝혔다. 문의 : 기초연구진흥과 최도영 과장(02-2110-2370) 김기태 서기관(02-2110-2371) 광주과학기술원 기초교육학부 서지원 교수(062-715-3 ... ...
“미래창조과학부 핵심은 ICT아닌 BMT돼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2.25
더 많이 만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새로운 가능성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가령
인공
망막을 개발하려면 기계공학자뿐 아니라 안과의사도 필요하다. 이들의 만남은 거꾸로 카메라를 개발하는 데도 응용될 수 있다. 그는 이런 새로운 가능성 ‘공학과 생명과학’ 혹은 생명과학과 다른 영역의 ... ...
이전
197
198
199
200
201
2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