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정수 남매의 수학 용어 사전수학동아 l2017년 05호
- 수는 피보나치 수열을 이루는 각각의 수로, 처음 두 항을 0과 1 혹은 1과 1로 정한 뒤 다음 수는 바로 앞의 두 개항을 더해 만들어요.1, 1, 2, 3, 5, 8, …피보나치 수만큼 수학자의 사랑을 듬뿍 받은 수도 없을 텐데요. 그 이유는 재미있는 성질이 많기 때문입니다. 먼저 연속하는 피보나치 수 10개의 합은 ... ...
- 고등학생이 수학자와 저글링을 연구한 사연수학동아 l2017년 05호
- 개수를 세기로 했다. 우선 공이 3개인 경우, 나올 수 있는 모든 패턴을 카드로 표현했다. 다음으로 주기에 따라 나눴다. 주기는 똑같지 않은 패턴이 나오는 횟수를 뜻한다. 만약 주기가 10이라면 공이 10번 이동할 때까지 같은 패턴이 나오지 않고, 11번째부터 다시 첫 번째와 같은 패턴으로 공이 ... ...
- [Career] 사람에게 가장 편안하고 편리한 사물을 고민하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연구했다. 곡률이 서로 다른 모형 스크린을 만들어 거기에 프로젝트로 영상을 띄운 다음, 사람의 눈에 가장 편안한 곡률을 찾은 것이다. 모니터의 크기는 모두 같고(길이 1220mm×높이 382mm) 곡률반지름은 1200mm, 600mm, 400mm로 달랐다. 각 모니터에 텍스트를 띄운 뒤 실험에 참가한 사람들에게 약 50cm ... ...
- Part 6. 미래를 꿈꾸는 우주 도시 설계대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나면 피가 나요. 얼른 굳어서 나쁜 세균들이 들어오지 못하게 일단 막기 위해서지요. 그 다음에 서서히 새로운 피부가 돋아난답니다.우주 공간에도 사람의 피와 같이 나오면 바로 굳는 특수한 액체가 있어요. 우주 정착선의 외벽 바로 아래에 이 액체를 흐르게 하면, 우주 정착선에 상처가 났을 때 ... ...
- 오선지에 숨은 비밀수학동아 l2017년 05호
- 알파벳을 나열했을 때 20번째, 15번째 알파벳이라는 뜻이에요. 이렇게 풀어낸 암호는 다음과 같군요.본래 암호는 정보를 감추기 위해 사용합니다. 그래서 보이지 않는 잉크를 쓰기도 했고, 모스 부호처럼 다른 기호로 바꿔 정보를 숨기기도 했습니다. 글자나 숫자를 임의로 조합하거나 글자 순서를 ... ...
- 과학실험과 코딩을 동시에! 액션코딩 아이팝콘수학동아 l2017년 05호
- 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 마세요. 아이팝콘과 함께라면 어디서든지 할 수 있답니다! 다음 호에는 아이팝콘에 달린 온도 센서를 활용해 온도계와 화재경보기를 만들어 볼게요. 기대해 주세요~ ...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바꿀까, 안 바꿀까 그것이 문제로다!수학동아 l2017년 05호
- 것이다. 그러니 사라가 상자를 바꿀 기회를 준다면 원래 선택을 바꾸는 게 현명하다. 다음 이야기알라딘은 우연히 얻은 램프를 살짝 문질러 램프의 요정 지니를 불러냈습니다. 연기처럼 나타난 지니는 알라딘을 ‘주인님’이라 불렀습니다.“주인님, 소원을 말씀해보세요. 제가 모두 이뤄드릴게요 ... ...
- Part 3. [세 번째 실험] 가마가 생기지 않게 고양이 털 빗기수학동아 l2017년 05호
- 고양이의 오일러 지표를 구해볼까요? 먼저 고양이의 표면 전체를 삼각형 여러 개로 덮은 다음, 오일러 지표를 구해 봐요. 표면을 덮는 데 삼각형을 몇 개 쓰든 항상 2가 나옵니다. 이 고양이는 가마가 생길 수밖에 없겠군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고무고무 박사의 위상수학 실험실Part 1. ... ...
- [Future] 위조할 수 없고 빼돌릴 수도 없는 양자지폐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딴 양자암호방식, BB84 프로토콜을 만들었다”고 말했다.양자정보를 이해하기 위해 다음을 생각해보자. 어떤 사람이 길을 가는데 남자는 출입하지 못하게 하는 검문소와 여자의 출입을 막는 검문소가 차례로 늘어서 있다. 여기에 나이를 제한하는 검문소를 중간에 넣으면, 통과할 수 있는 사람이 ... ...
- Part 1. 기대수명 90세는 통계의 환상?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가정해보자. 같은 90점이지만 성장 폭은 60점 받던 아이가 크다. 이 성장세를 고려해 다음 시험에 두 아이가 받을 점수를 예측한다면, 당연히 60점이던 아이의 점수가 더 높게 나올 것이다. 기대수명 역시 마찬가지다. 통계의 맹점이라고 할 수 있다.”정 선임연구위원은 시대적 상황에 따른 급격한 ... ...
이전1981992002012022032042052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