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지금이 ‘인류세’라고?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해요. 자연스러운 멸종 속도라면 800~1만 년이 걸려 사라졌을 동물들이 사람들 탓에 100년 동안 빠르게 사라졌다는 거예요. 그래서 네덜란드 화학자 크뤼천은 지난 2000년에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시대를 ‘인류세’라고 분류하자는 의견을 내기도 했어요. 석탄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지층을 보고 그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수청이와 제비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수청이의 합창!5월 4일 서울 강서 지역에서 수원청개구리 현장교육이 시작됐어요. 100여 명이 모인 이날, 무엇보다 개성 넘치는 각종 장화들이 눈에 띄었어요. 무릎 장화는 물론 허벅지까지 길게 올라오는 물장화, 상체까지 완전 무장한 멜빵바지 장화 등 다양한 장화를 보는 재미가 쏠쏠했지요. ... ...
- INTRO. 소중한 나를 지키는 수학 안전 수첩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지난 9월 경주에서 시작된 지진! 지진은 이웃나라 일본에서나 일어나는 거라고 여겼지만, 연일 한반도가 흔들리면서 불안감이 어느 때보다도 높아지고 있어요. 지진만 위험한 게 아니에요. 얼마 전 남부 지방을 강타한 태풍과 홍수 같은 자연재해는 물론 자주 타는 자전거, 매일 들고 다니는 스마트 ... ...
- Part 1. 쇼핑몰에서 지진이 났다면?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막힐 확률이 더 높아진 거예요. 우측통행하는 사람이 90%일 때는 길이 막힐 확률이 무려 100%였어요. 신기하게도, 길을 아무렇게나 걷는 무법자가 적당히 있어야 길이 막히지 않았어요.대체 왜 이런 일이 생기는 걸까요? 사람이 붐비면 반대 방향으로 걸어가는 우측통행자끼리 부딪히는 일이 발생하기 ... ...
- Part 3. 안전모를 쓰지 않으면?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여느 때와 같이 친구들이랑 자전거를 타고 공원으로 가고 있었어요. 집에서 공원까지는 자전거 도로가 있어서 잔소리 많은 엄마도 크게 걱정하지 않으셨어요.자전거를 탈 때면 ‘차 조심해라’, ‘안전 장비 착용해라’ 잔소리가 많은데, 공원 간다고 하면 별 말 안 하셨거든요.그런데 그날은 정말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으로 만나는 우리 고장의 근대역사수학동아 l2016년 11호
- 골목이 있습니다. 단순한 골목이 아닙니다. 도시의 역사를 재발견한 골목입니다. 그중 100년 이상의 역사를 담은 근대문화골목을 수학의 옷을 입은 매스 투어 코스로 바꿔 보았습니다.우리나라 근대 역사와 문화가 이곳에학교 가는 길이나 도서관 가는 길에 골목길을 지나본 적이 있을 겁니다. ... ...
- [News & Issue] 우주의 비밀에 가장 가까이 선 사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수 있는 다양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미래형원형충돌기(Future Circular Collider) 연구에서는 100TeV(테라전자볼트)의 에너지를 내는 양성자 충돌장치의 가능성을 탐구하고 있고, 전자-양전자 충돌로 힉스입자를 생산하는 장치도 연구하고 있다. 또 3TeV의 에너지로 작동하는 고에너지 선형충돌기 기술도 ... ...
- Part 4. 동물의 삶이 궁금해? 직접 살아 봐!과학동아 l2016년 11호
- ). 그 결과, 폴리에스터로 만든 바지를 입힌 쥐는 성적인 행동이 현저하게 줄어든 반면 면 100%나 양털 100%로 만든 옷을 입은 쥐는 정상 반응을 보였다. 샤픽 교수는 “폴리에스터 옷감에서 생긴 정전기에 쥐가 영향을 받은 것 같다”고 추측했다. 그는 올해 생식(reproduction) 분야 이그노벨상을 받았다 ... ...
- [News & Issue] 동물카페 동물들이 사는 법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찾은 서울의 한 라쿤 카페는 시끌시끌한 시장 골목을 방불케 했다. 카페 안에는 이미 100여 명의 사람들이 여러 마리의 라쿤, 개들과 섞여 있었다. 20분을 기다린 끝에 입장할 수 있었다. 손이 발달한 라쿤에게 빼앗길만한 모든 소지품을 사물함에 넣고 신발은 슬리퍼로 갈아 신었다.좁은 공간에 이렇게 ... ...
- [Knowledge] 누가 이타성 문제를 처음 해결했는가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내리려 한다는 의구심을 평생 지우지 못했다. 공개적으로 항의하면 해밀턴의 권리를 100% 인정한다며 물러섰다가, 어느새 다시 심기를 건드린다고 분노했다. 다음 회에 살펴볼 오해도 마찬가지다 ... ...
이전1971981992002012022032042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