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d라이브러리
"
100
"(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소프트웨어] π를 부탁해!
수학동아
l
2016년 09호
근삿값은 얼마인가요? 공을 많이 던질수록 정확한 π값을 구할 수 있어요. 그런데 공을
100
개,
100
0개 구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에요. 또 많은 공을 일일이 헤아리는 것도 쉽지 않고요. 이처럼 실제로 실험하기에는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어 어려울 때 ‘몬테카를로 방법’을 써요. 무작위로 발생하는 ... ...
[News & Issue] 이산화탄소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현장에서 바로 검증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춘 것이 우리 팀의 장점”이라며 “2020년까지
100
t 규모로 확대해 상용화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연구팀이 생각하는 다음 목표는 광합성 속도다. 미세조류가 식물보다는 월등히 빠르지만 상용화에 이르기에는 아직 충분하지 못하다. 심 교수는 “더 ... ...
PART 2. 거대 도시 이룩한 메가스트럭처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큰 댐은 브라질과 파라과이의 국경에 있는 이타이푸 댐이다(오른쪽 사진). 이타이푸 댐은
100
m 폭의 수문이 네 개 있는데, 이 문이 모두 열리면 1초 동안 축구장 9개에 물을 1m 높이로 채울 수 있는 양인 6만2000m3의 물이 시속 140km 속도로 흘러나온다. 이 엄청난 양의 물은 이타이푸 댐 호수에 저장돼 ... ...
[Career] 연구자의 꿈을 이뤄주는 ‘슈퍼’ 도우미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적절히 활용할 수 있게 도울 수 있다”고 말했다. 강 실장은 “내년에 지금보다
100
배 빠른 시스템을 구축하면 더 많은 연구자들을 도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Career]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가 돼 보실래요?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스스로 복구할 수 있는 고신뢰 시스템이 필요하다. “과학자가 아무리 노력해도 신뢰도
100
% 시스템은 없습니다. 윤리적으로 고민해야 될 문제가 생길 수 있죠. 때문에 사이버물리시스템이 우리 삶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과학자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적인 고민이 필요합니다” ... ...
PART 2. 제2의 게놈 효과 과연 어디까지일까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종 등 분류가 다른 미생물들이 무수히 존재할 수 있다. 헤네지 교수는 이를 ‘새장에 새
100
마리와 달팽이 25마리가 있는 상황’과, ‘수족관에 물고기 8마리와 오징어 2마리가 있는 상황’을 동일하게 보는 것에 비유했다. 두 경우 모두 척추동물이 연체동물보다 4배 많다. 하지만 새장과 수족관의 ... ...
[Knowledge] 협력자 끼리끼리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유유상종이다. 이런 배열(정적 배열)에서는 협력자가 협력자를 만날 가능성(그림에선
100
%)이 협력자가 개체군에서 차지하는 평균 빈도(그림에선 50%)보다 더 높다.‘협력자 끼리끼리’는 협력이 진화하는 열쇠다. 위에서 보았듯이 협력의 진화를 가로막는 가장 큰 장애물은 무임승차자가 정당한 ... ...
[Tech & Fun] 휴대전화를 썼는데… 길이 생겼다!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운행이 시작된 이후 비판이 끊이지 않는다. 계속된 적자를 메우기 위해 지자체가 매년
100
억~
100
0억 원씩 예산을 투입하고 있기 때문이다. 고속도로도 마찬가지다. 2014년까지 전국 고속도로 28개 노선에서 건설투자비로 회수한 비율은 29%에 불과했다.이런 적자의 가장 큰 원인은 잘못된 수요예측에 ... ...
[과학뉴스] 바닷물이 저절로 맹물로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8호
모세관을 이용하기 때문에 전기가 없어도 정수를 할 수 있고, 하루 동안 1L의 소금물에서
100
mL의 맹물을 얻을 수 있지요.김성재 교수는 “이 기술은 먹을 물이 부족한 국가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어요 ... ...
[과학뉴스] 사드 전자파(전자기파)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미군이 괌에 배치한 사드의 환경영향을 측정해 작년 6월에 발표한 보고서에서
100
m 밖에서는 건강 안전상의 문제가 예측되지 않는다고 밝혔다는 거죠. 또, 레이더를 최대한 낮췄을 때(지표면과 이루는 각도 5°) 일반인 출입 한계인 3.6km에서 전자파가 지면으로부터 315m 위를 지나가므로 전자파를 직접 ... ...
이전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