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해밀턴 회로가 있을까? 가운데층 문제수학동아 l2016년 12호
- 간단한 경우부터 생각해 봅시다. 여기 꼭짓점 6개가 있습니다. 각각의 이름은 001, 010, 100처럼 1이 하나고 0이 두 개인 문자열이거나 011, 101, 110처럼 1이 두 개고 0이 하나인 문자열입니다. 만일 어떤 꼭짓점 A의 이름에 적힌 세 숫자 중 하나를 골라 0은 1로, 1은 0으로 바꿔서 다른 꼭짓점 B의 이름이 ... ...
- [소프트웨어] 스마트폰으로 즐기는 프라모델 놀이터 셈스게임즈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2014년 실험을 했다. 버즈레이싱에서 유저가 만든 경주용 자동차를 100개 한정 수량으로 3D프린터로 출력해서 보내주는 서비스를 실시한 것이다. 결과는 대성공! 하지만 곧바로 서비스하기에는 문제점이 있었다. 프라모델을 일일이 3D프린터로 출력해서 보내주기가 쉽지 않았다. ... ...
- Intro. 백두산 폭발 대해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1000년 전 지구 전체에 기후변화를 가져올 정도의 큰 분출을 일으켰고, 폭발 주기가 약 100년이라는 사실을 알게 됐다. 백두산의 마지막 분화는 1903년.어쩌면 임박했을지 모르는 다음 폭발에 대비해 지금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백두산 폭발 대해부Part 1. ... ...
- Part 2. 백두산 최신 연구 업데이트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연구 결과가 나와 있다.B 화쇄류온도가 수백 ℃인 화쇄류는 흘러내리는 속도가 최고 시속 100km에 달하는 가장 위협적인 화산재해다. 백두산에 화산폭발지수가 7인 분화가 일어날 경우 화쇄류가 최고 23.4km 거리까지 도달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C 라하화쇄류가 천지의 물이나 주변 강물과 ... ...
- [Career] 나노물질과 인체의 ‘궁합’ 봅니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널리 쓰이는 양자점 소재 중 하나로, 인 교수팀은 2~3nm 크기의 균일한 크기를 가진 황화납 100mL를 만들었다. 독성평가를 하려면 비슷한 상황을 여러 차례 반복해서 재현하면서 실험해야 하는데, 이때 균일한 크기의 샘플을 사용하는 게 중요하다. 크기가 다르면 세포에 미치는 영향도 달라질 수 있기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나라 덴마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위권을 차지했습니다. 또 무상 진료, 무상 교육을 위해 월 22만 원~100만 원 가량을 청소년에게 지원하고 있었습니다.이런 덴마크를 보고 풍부한 자원 덕분에 손쉽게 복지가 발달했다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그러나 꼭 그런 것은 아닙니다. 지금의 덴마크 사회는 19세기에 ... ...
- [재미] 기하학의 아버지? 수학의 아버지!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역설적인 문제예요. 같은 시간 동안 이동한 거리를 생각해야지요. 10초 동안 아킬레스가 100m 이동할 때 거북은 10m 앞서나가고 있겠지요. 이 10m는 아킬레스가 1초 만에 따라잡을 수 있어요. 그동안 거북은 1m 다시 앞서겠네요. 그리고 아킬레스가 0.1초 만에 다시 1m를 따라잡을 수 있고, 거북은 10cm ... ...
- [과학뉴스] 사람의 뇌 흉내 낸 최초의 기계장치!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연구팀이 인간의 뇌를 모방해 명령을 내릴 수 있는 나노미터(100만 분의 1mm)크기의 인공시스템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영국 사우스햄튼대 전자컴퓨터과학과 알렉스 서브 교수팀은 뇌의 복잡하고 정교한 네트워크를 흉내 내는 데 금속산화물 ‘멤리스터’를 이용했다. 멤리스터는 ‘메모리(memory)’와 ... ...
- [포커스 뉴스] 4세대 방사광가속기과학동아 l2016년 11호
- 3세대보다도 1억 배나 밝고, 햇빛보다도 100경 배 밝다. 파장의 폭도 짧아서 나노미터 단위(100만분의 1mm)로 작은 물질을 펨토초 단위(1000조분의 1초)로 분석할 수 있다. 말하자면 생체 내에서 일어나는 분자나 원자가 움직이는 현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나뭇잎에서 광합성이 일어나는 ... ...
- [교과연계수업] 멸종위기 생물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해요. 자연스러운 멸종 속도라면 800~1만 년이 걸려 사라졌을 동물들이 사람들 탓에 100년 동안 빠르게 사라졌다는 거예요. 그래서 네덜란드 화학자 크뤼천은 지난 2000년에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시대를 ‘인류세’라고 분류하자는 의견을 내기도 했어요. 석탄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지층을 보고 그 ... ...
이전1961971981992002012022032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