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논문"(으)로 총 2,283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4)레이저를 발명한 물리학자 ‘찰스 타운스’2015.12.24
- 년 아서 숄로와 함께 가시광선을 사용한 메이저, 즉 레이저(laser)를 만드는 방법을 제안한 논문을 발표했다. 2년 뒤 휴즈연구소의 물리학자 시어도어 메이먼이 루비 결정을 써서 레이저를 구현하는데 성공했다. 타운스는 메이저-레이저 원리를 개발한 공로로 러시아의 물리학자 니콜라이 바소프, ...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3)대뇌피질뉴런 구조를 밝힌 뇌과학자 ‘버논 마운트캐슬’ 2015.12.23
- 이런 국소적인 회로의 반복단위로 이뤄져 있다고 주장했다. 이런 사실을 담은 그의 1957년 논문은 뇌과학의 기념비적 업적으로 평가된다. 한편 존스홉킨스대의 동료 연구자였던 데이비드 허블과 토르스트 위젤은 고양이와 원숭이의 일차시각피질에서도 피질기둥구조가 존재함을 확인했다. 이들은 ... ...
- 북태평양 연구프론티어의 플랫폼, PICES2015.12.17
- 참여하였고, 12개의 워킹그룹회의와 8개의 학술발표세션, 6개의 과학위원회 회의 및 논문발표 등 다양한 학술활동이 이루어졌다. 우리나라는 73명이 참가하였는데 그 중 33명은 과학위원회, 워킹그룹, 과학평의회, 집행이사회, 재정행정위원회의 한국대표로 참여하였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주세종 ... ...
- [영화 ‘하트 오브 더 씨’를 보고] 고래 잠수 능력의 비밀은… 2015.12.14
- 포유류 근육세포에서 미오글로빈이 고농도로 존재할 수 있게 된 또 다른 요인을 밝힌 논문이 실렸다. 아포글로빈(apoglobin), 즉 산소분자가 달라붙는 부분인 헴(heme)과 결합하지 않은 상태인 미오글로빈의 안정성 역시 주요한 요인이라는 것. 미오글로빈 유전자가 발현되고 번역이 일어나면 먼저 ... ...
- 노화치료시대 열린다2015.12.07
- 확신하고 있는데, 근거가 없지도 않다. 즉 지난해 학술지 ‘당뇨, 비만, 대사’에는 실린 논문에 따르면 메트포르민을 꾸준히 복용한 당뇨병환자들의 사망률이 다른 약물을 복용한 환자는 물론 대조군(당뇨병이 없는 사람)보다도 낮았다. 당뇨병환자의 기대수명이 수년 짧은 것을 감안하면 놀라운 ... ...
- 파이(π)와 함께 춤을...2015.11.23
- 방정식으로 전환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 두 사람은 이 연구결과를 세 쪽짜리 논문으로 정리해 ‘수리물리학저널’에 보냈고 다음날 게재확정통보를 받았다고 한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 ... ...
- '사교위상수학과 플로어 상동성' 분야의 기본 교과서 출간IBS l2015.11.17
- 공부할 때 많은 애로점이 있었습니다. 체계적으로 설명해주는 '소스(source)'가 없어서, 논문 자체를 읽고 스스로 터득해야 했기 때문이죠. 이 분야를 연구한 지 20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이 분야에 입문하는 학생들은 공부하기 어렵지요." 이번에 책을 집필하고 출판한 계기도 오 단장의 경험과 ... ...
- “내시 중에 대머리 없었다”...남성호르몬 역설을 아시나요?2015.11.16
- 실제 효과는 복용군이 21.6% 더 풍성해 보이고 대조군은 24.5% 더 빈약해 보인다. 한 논문에 실린 일란성쌍둥이 사진을 보면 대조군이었던 사람의 정수리가 훨씬 훤하다. 그럼에도 피나스테라이드에 대해서는 거부감이 꽤 있는데 바로 남성호르몬을 억제하는 약물이기 때문이다. 그 결과 성기능에 ... ...
- [HISTORY] 우리나라 전기공학의 선구자, 한만춘KISTI l2015.11.14
- 당시 우리나라 전기전자공학 수준을 높이는 데 일조했다. 또 그 제작과정과 기술이 논문을 통해 전수됨으로써 컴퓨터 기술 개발의 토대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기도 하다. 연세 101 아날로그 전자계산기는 그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문화재청 등록문화재 제557호로 등록됐다. ■ ... ...
- 하루 소주 몇 잔이 몸에 이로운 까닭2015.11.09
- 건강뉴스를 보도해 화제가 됐다. 서울대 배희준 교수팀이 학술지 ‘신경학’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하루에 소주를 몇 잔 마신 남성들이 그렇지 않은 남성들에 비해 뇌졸중 위험성이 더 낮았다. 즉 하루 한 잔(알코올 10g)은 62%, 두 잔은 55%, 서너 잔은 46% 더 낮았다. 반면 여성은 하루 한두 잔까지만 ... ...
이전1961971981992002012022032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