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위논문
논제
시문
석사논문
석사
박사 학위 논문
글
스페셜
"
논문
"(으)로 총 2,283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카 바이러스와 소두증
2016.01.25
2011년 학술지 ‘신종감염질환’에 모기 매개 질환의 사람 간 감염의 첫 사례를 보고한
논문
이 실렸다. 바로 지카바이러스다. 2008년 의학곤충학자 브라이언 포이(오른쪽)은 말라리아 연구를 위해 세네갈을 찾았다가 지카바이러스에 감염됐다. 그 뒤 귀국한지 얼마되지 않아 아내도 ... ...
암 발생의 ‘불운’ 가설 반박하는
논문
나와
2016.01.11
전략이라는 말이다. 귀가 몹시 얇은 필자는 지난해
논문
을 보면서 무릎을 쳤지만 이번
논문
을 읽으며 ‘이게 훨씬 더 설득력이 있네…’라며 고개를 끄덕였다. 사실 암 발생에서 불운이 차지하는 요인이 50%이건 10%이건 예방노력을 게을리 하지 말아야겠다는 생각이 문득 든다. 진인사대천명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8)홀로 연구해 노벨상까지 탄 ‘리처드 헤크’
2016.01.08
된다. 1968년 저명한 학술지인 ‘미국화학회저널(JACS)’에 헤크 단독저자의
논문
일곱 편이 줄줄이 실리면서 화학계가 깜짝 놀랐고(‘도대체 헤크가 누구야?’) 덕분에 1971년 헤크는 델라웨어대로 자리를 옮겼다. 헤크 교수는 이 업적으로 2010년 노벨화학상 수상자로 선정됐는데, 한 인터뷰에서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6)16세에
논문
을 발표한 ‘에릭 데이비슨’
2016.01.06
유전자 조절 네트워크라는 새로운 분야를 개척했다. 두 사람이 1969년과 1971년 발표한
논문
두 편은 이 분야의 고전으로 남아있다. 1980년대 개발된 DNA재조합기술과 1990년대 등장한 고성능 염기서열분석법을 이용해 데이비슨은 해양생물인 성게의 발생과정을 분자차원에서 규명하는 연구를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2)대멸종설을 주장한 고생물학자 ‘데이비드 라우프’
2016.01.02
6600만 년 전 충돌한 소행성의 흔적으로 공룡 대멸종의 결정적인 원인으로 추정되면서
논문
은 많은 관심을 끌었다. 심지어 몇몇 천문학자들은 주기적인 대멸종이 태양의 짝별 때문이라고 제안하기도 했다. 즉 심한 타원 궤도를 지닌 짝별(적색왜성 또는 갈색왜성)이 장주기혜성의 근원지인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1)끈이론 확립에 기여한 물리학자 ‘남부 요이치로’
2016.01.01
결과로 이를 바탕으로 피터 힉스 등 물리학자 여섯 명이 1964년 힉스 메커니즘을 제안하는
논문
을 발표했다. 이때 나오는 힉스입자는 전기약력의 대칭성 깨짐의 결과다. 힉스입자의 존재는 2012년 유럽입자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가속기실험으로 확인됐고, 힉스와 프랑수아 앙글레르는 2013년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9)게임이론으로 노벨상 받은 수학자 존 내쉬
2015.12.30
내쉬 평형을 적용하는 건 대단히 복잡하고 어려운 일이지만 큰 도움이 된다고 한다.
논문
을 정리해 박사학위를 받은 내쉬는 1951년 23세에 MIT 교수가 됐고 앨리샤라는 물리학도와 결혼도 했다. 그런데 1959년 한 학회에서 리만가설에 대한 강의를 할 때 이상조짐이 포착됐고 결국 피해망상 정신분열증 ... ...
일반상대성이론 100주년, 인류의 삶이 달라졌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5.12.29
아닌 모든 기준계에도 동일한 물리법칙을 적용활 수 있게 됐다. 1915년에 발표한 이
논문
은 특정 상태가 아닌 비관성좌표계를 포함한 모든 상태에 적용된다는 의미에서 '일반상대성이론'이라 불렸다. 상대성 이론으로 인류의 지식이 도약하다 일반상대성이론은 10개의 텐서 방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8)왼손잡이 DNA 존재를 밝힌 생물학자 알렉산더 리치
2015.12.29
들어가 5년 동안 머무르며 X선 결정학을 익혔다. 그러나 아쉽게도 폴링과 공저로 쓴
논문
이 한 편도 없다. 이에 대해 폴링은 “이 친구가 한 일은 별로 없지만 많이 배웠을 것”이라고 촌평했다. 미 국립정신건강연구소(NIMH) 물리화학분과에 취직한 리치는 1955년 영국 캐번디시연구소로 건너가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7)공룡발굴에 헌신한 조피아 카일란-자우오로우스카
2015.12.28
Deinocheirus)의 실체를 밝힌 것이다. 이 박사팀은 지난해 학술지 ‘네이처’에
논문
을 실었고 이 박사는 이 업적으로 ‘올해의 과학자상’을 받기도 했다. 데이노케이루스는 거대한 타조공룡류로 지금까지 발견된 이족보행을 하는 공룡 가운데 가장 큰 팔을 지니고 있다. 1965년 폴란드-몽골 ... ...
이전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