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수"(으)로 총 837건 검색되었습니다.
- 모두가 즐겁고 편안한 파티가 되려면 몇 명을 초대해야 할까?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위의 문제는 1947년 헝가리 수학자 팔 에르되시와 죄르지 세케레시가 이를 만족하는 최소 정수 N을 ‘램지 수’라 부르며 R(s,t)=N으로 정의해 널리 알려졌으며, ‘램지 수 문제’ 또는 ‘파티 문제’라고 불립니다.램지 수 문제는 무엇인가램지 수 문제의 이해를 돕기 위해 쉬운 경우들을 생각해 ... ...
- 국제수학올림피아드에 도전한 AI, 결과는?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보조점들을 그어 해결해야 해 인간의 창의력이 더욱 요구된다”며 “대수, 조합, 기하, 정수 중 기하 문제를 잘 푸는 알파지오메트리는 정말 신기하다”고 놀라움을표했다.스스로 증명을 배우는 AI 등장연구팀은 네이처에 게재된 논문에서 “기하 분야는 수학적 증 명을 컴퓨터가 이해하는 언어로 ... ...
- 소수 통해 수학의 중요성 깨달아수학동아 l2024년 02호
- 괜히 반갑고, 또 숫자 하나에 대해 곰곰이 생각해보는 것이 즐겁다”라고 설명했다. 정수론 연구의 시작은 이렇게 수의 성질에 호기심을 가지는 행동이다. 정시우 학생은 “100만 번째 소수가 어떤 수인지 바로 알 수 없는 것처럼 소수는 불규칙한 점이 매력”이라면서, “소수를 더 공부하다가 이 ... ...
- 리만 가설의 단초 제공한 오일러수학동아 l2024년 02호
- 것이 아닐까 하는 이야기가 나왔고, 여전히 그 비밀은 풀리지 않고 있다. 이 식은 정수론에서 또 다른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자연수로 이뤄진 식과 소수와 1로만 이뤄진 식이 공식에서 같아진다. 즉 자연수를 알기 위해 소수를 잘 알아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소수만 알면 수의 성질을 ... ...
- 편견을 넘는 수학자 이탕 장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이곳에서 미적분 수업을 진행하며 학생들에게 인기를 끌었고, 시간이 날 때마다 정수론 연구에 매진했다. 2010년부터 쌍둥이 소수 추측에 집중하다가 2012년 친구 집에서 머물던 중 문득 문제를 풀 수 있는 아이디어를 생각해냈고, 정리해 2013년 학술지 에 발표한 것이다. 쌍둥이 소수 ... ...
- 소수교가 소수를 즐기는 방법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생각했다”라고 말했다. 영재학교에서는 정수론 과목을 수업 시간에 가르친다. 정수론 수업에서 ‘소수는 왜 아름다운지 조사하시오’, ‘우리 주변에서 찾을 수 있는 소수는 무엇인가’처럼 소수에 관한 과제가 종종 주어진다. 소수를 사랑하기 위한 기반을 학교에서 이미 다진 셈이다. 수학 ... ...
- 소수가 나오는 범위에 집중한 가우스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좌우대칭인 분포)’를 발견한 것도 가우스다. 1801년에는 저서 를 써서 정수론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기도 했다. 1792년 겨우 15세였던 가우스는 매일 15분씩 투자해 어떤 수가 소수인지 따졌다. 가우스는 수를 1000씩 나눠 끈질기게 세었다. 결국 1부터 100만 개 정도까지 조사하면서 중요한 ... ...
- 편지에서 시작된 난제 골드바흐의 추측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오일러는 1을 소수로 보지 않았다. 그리고 골드바흐의 추측에서 정수를 홀수와 짝수로 나누면 짝수의 경우에는 두 소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어 그의 추측을 수정한 것이다. 현재 수학자들은 두 번째 명제만을 ‘골드바흐 추측’이라고 부르고, 첫 번째 명제는 ‘약한 ... ...
- 쌍둥이 소수 추측으로 필즈상 수상한 제임스 메이나드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밝히는 것이다. 즉 실수를 유리수로 근사시킬 때의 오차에 관한 정리다. 이런 업적으로 정수론계의 유망주로 떠오른 메이나드 교수는 2022년 필즈상을 거머쥐었다. 필즈상 수상 이후 그는 대중 강연에서 종종 모습을 드러내는데, 그때마다 소수의 아름다움에 대해 연설한다. 메이나드 교수는 202 ... ...
- 여성 수학자의 열정 담기다, 소피 제르맹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페르마는 한 책 귀퉁이에 ‘n이 3 이상의 정수일 때, xn+yn = zn을 만족하는 양의 정수 x, y, z는 존재하지 않는다. 여백이 부족해 증명 방법은 적을 수 없다’라고 적었다. 이 추측이 바로 여러 수학자가 증명을 해내려 머리를 싸맸던 난제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다.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는 350년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