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번역"(으)로 총 2,572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자를 사로잡은 악마의 코드, 소수수학동아 l2013년 08호
- 아~, 리만가설이라는 녀석은 정말 모르겠어. 나, 존 내쉬가 수년째 매달렸는데도 이거 풀다가 돌아버릴 지경이라구. 하지만 절대 포기 할 수 없어! 이것만 증명하면 소수의 비밀을 모두 파헤칠 수 있거든. 악마여! 리만가설을 증명하게 해 준다면 기꺼이 내 영혼을 내놓을 테니, 제게 증명의 기쁨을 ... ...
- 이영돈 PD의 수학 먹거리 X파일수학동아 l2013년 08호
- 사실 이 문제는 수학에서 말하는 진짜 역설은 아니다. ‘역설’이란 패러독스를 번역한 말로, 그리스어인 Para(반대)와 Doxa(상식적인 견해)의 합성어다. 즉, 역설은 참된 명제와 논증에서 모순된 주장을 나타내는 표현을 말한다. 잘 알려진 역설로 ‘크레타섬의 거짓말쟁이’가 있다.감자역설은 진짜 ... ...
- 4월, 더 독해진 황사에 대처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8호
- 황사의 옛날 이름은 흙비삼국사기를 보면 ‘우토’가 내렸다는 기록이 나와요. 우토는 흙비를 말하는데, 바람에 날려 올라갔던 모래흙이 비처럼 떨어지는 현상을 말하지요. 또한 조선시대 명종 5년 3월 22일 기록에도 ‘한양에 흙비가 내렸다. 전라도 전주와 남원에는 비가 내린 뒤에 연기 같은 안개 ... ...
- [체험] 디지털건축연구실 탐방 건축, 예술 작품이 되다!수학동아 l2013년 08호
- 건축가는 수학자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어떠한 형태도 기하학으로 표현하고, 실제로 짓기 위해 모든 값을 수치로 나타내기 때문이다. 그런데 단순한 계산을 넘어서 수학을 활용해 건축 디자인을 하는 사람이 있으니, 바로 디지털건축연구실 국형걸 교수다. 게다가 그의 디자인은 미술관에 전시 ... ...
- 미토콘드리아 시계가 흔들리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시계가 돼버린 셈입니다.중립설이 부딪힌 더 큰 비판은 따로 있었습니다. 중립설은 비번역 DNA부분의 돌연변이가 개체에 어떠한 영향도 주지 않는다는 가설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돌연변이가 개체의 삶과 번식(재생산)에 영향을 끼친다는 연구 결과가 속속 나온 것입니다. 이전에는 전체 게놈 ... ...
- [매스미디어] 너의 목소리가 들려 죄수의 딜레마로 범인을 밝혀라!수학동아 l2013년 08호
- “당신이 틀리고, 검사가 맞았어. 검사의 말대로 쌍둥이 형제가 서로 계획하고 저지른 살인이 맞아.”쌍둥이 형제의 첫 번째 재판을 마치고 돌아오는 길, 장혜성 변호사는 수하로부터 이 사건의 진실을 듣게 된다. 진실을 알게 된 장혜성 변호사는 쌍둥이 형제의 유죄를 밝히기 위해 방법을 찾게 되 ... ...
- 우리의 이름은 별보다 많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명함은 절대로 줄어들지 않는다. 명함을 정리하고 솎아내는 게 내일이건만 줄어들기는커녕 꾸준히 늘어난다.고향 항성계에서는 명함을 ... SF 창작 강의도 병행하고 있다.소설 ‘파수’, ‘세라페이온’, ‘발푸르기스의 밤’과 번역작으로는 ‘영원의 끝’ 외 다수가 있다.sohardplanet@hotmail ... ...
- [life & Tech] 물과 불과 시간이 만든 돌의 정원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미국에서 가장 유명한 자연경관을 묻는다면 많은 이들이 그랜드 캐니언을 꼽을 것이다. 하지만 이곳 애리조나 주에 가서 그랜드 캐니언만 보고 돌아온다면 반드시 후회의 눈물을 흘릴것 ... 박사과정을 밟고 있다.고양이와 함께 살고 있으며, SF를 좋아해 몇 권의 책을 번역하기도 했다 ... ...
- 조선초기 호랑이는 물가에 살았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 편집자 주 - 고증에 따르면, 조선시대 호랑이 사냥은 주로 겨울에 이뤄졌으며 몰이사냥을 했다. 창을 쓸 경우는 3명이 한 조를 이뤄 사냥했다. 그림과 같이 잎이 무성한 한여름 농절기 사냥은 대호환이 발생한 경우 등 대단히 예외적인 경우였다. 그림은 급박한 대호환을 묘사했다. 오늘날에는 ... ...
- 여름 햇살 뒤흔드는 매미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나방도 울고 갈 위장의 귀재, 털매미온몸이 털로 덮여 있어 털매미라는 이름이 붙었다. 몸 길이는 20mm다. 매미 중 가장 보호색이 발달한 종이다. 몸통은 물론 날개까지 나무줄기 색과 같아 바로 눈 앞에서도 찾기 어렵다. 2008년 7월에 모 방송국 어린이 과학프로그램에서 매미를 다룰 예정이니 도와달 ... ...
이전1941951961971981992002012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