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뉴스
"
세포
"(으)로 총 7,338건 검색되었습니다.
김빛내리, 암 치료 위한 RNA 유전자 치료제 새 가능성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3
miRNA를 이용해 질병을 일으키는 유전자를 억제하는 기술이다. GYM 서열을 적용하면
세포
내에서 miRNA를 다량 생산할 수 있어 유전자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특정 암이나 유전질환을 일으키는 유전자 발현에 관여하는 miRNA를 인공적으로 만들어내 유전자 발현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 ...
M두창, 에이즈 환자에게 더 치명적…사망률 최대 5배 높아
동아사이언스
l
2023.02.22
M두창으로 사망한 27명의 환자는 CD4
세포
가 200개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CD4
세포
개수가 100개 미만인 사람의 경우 사망률이 30%로 높았다. HIV 감염자의 M두창으로 인한 증상도 현저하게 달랐다. M두창에 감염된 대부분의 사람들은 노출된 부위에 병변을 보였는데 HIV 환자들은 M두창에 ... ...
어린이 시기, 여아 뇌가 더 성숙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2
분석했다. 회백질은 대뇌와 소뇌의 겉층을 이루는 부위다. 신경
세포
체, 수상돌기, 신경 교
세포
가 모인 곳으로 우리 몸에서 생각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백질은 회백질과 회백질 사이를 연결하는 조직이다. 지각신경과 운동신경과 연관이 있는 유수 신경섬유(말이집 신경섬유)가 모여 있는 곳이다. ... ...
벌거숭이두더지쥐가 번식력을 유지하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3.02.21
암컷들과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여왕이 된 벌거숭이두더지쥐의 난자전구
세포
가 분열을 시작하는 것을 확인했다. 미구엘 브리뇨-엔리케스 교수는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간 수명이 연장됐지만 폐경기는 여전히 같은 나이에 접어든다”며 “벌거숭이두더지쥐의 생물학적 시스템에 대한 향후 ... ...
척수 전기 자극으로 뇌졸중 환자 팔과 손 움직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1
논문의 공동 저자인 더글러스 웨버 카네기멜론대 기계공학과 교수는 "전류로 감각 신경
세포
를 자극해 뇌졸중으로 약해진 근육 활동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며 "무엇보다 자극이 보조적이라 환자가 움직이려고 시도할 때만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전류를 흘리면 무조건 팔과 손이 ... ...
"알츠하이머 원인은 바이러스"…힘 키우는 '감염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0
알츠하이머병에 대해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감염원 침입으로 형성된 플라크를 면역
세포
가 제거하지만 노화 과정을 거치며 이런 시스템이 망가지면 남아있는 플라크가 해를 끼치게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감염이 알츠하이머병을 유발하는 주된 원인이라면 아밀로이드 베타를 표적으로 하는 ... ...
[박정연의 닥터스] "'싱글셀' 유전자분석으로 가장 정밀한 암 치료전략 세워"
동아사이언스
l
2023.02.20
암
세포
가 어떤 변이를 어떻게 일으키고 있는지 확인한다. 종양미세환경에 존재하는 면역
세포
도 함께 분석한다. 이렇게 도출된 검사 결과를 기존에 축적된 수많은 환자의 유전체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한다. 진단을 받은 환자와 가장 비슷한 상태였던 환자의 정보를 바탕으로 최고의 효과를 누릴 ... ...
혈관내피
세포
염증반응 제어 유전자 발견…동맥경화 치료 실마리
동아사이언스
l
2023.02.20
병변도 급격하게 늘어났다. 연구팀은 PTP4A1 유전자가 혈관내피
세포
와 면역
세포
의 결합을 유도하는 단백질의 신호전달 메커니즘을 조절해 이같은 과정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했다. 박종길 책임연구원은 “동맥경화증과 급성 혈관염증 반응에서 PTP4A1 유전자가 신호전달 조절인자 역할을 한다는 ... ...
암 유발 DNA와 작용하는 '인간 고유 미니단백질'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3.02.20
미칠 수 있다는 의미다. 연구팀은 미니단백질의 이같은 독특한 발달 양상이 다양한
세포
기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암시한다고 설명했다. ● 가장 작은 크기의 단백질도 발견...오랜 학계 수수께끼도 풀려 이번 연구에서는 인간에게서만 존재하는 단백질 중 가장 작은 크기의 단백질도 ... ...
항암제 무력화 DNA, 뜻밖의 곳에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3.02.19
대한 내성이 생기는 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앞선 연구에서는 인간
세포
에 있는 염색체가 암의 치료를 방해하는 항암제 내성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 추정됐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폴 미첼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는 “가장 공격적인 형태의 암과 관련한 유전자가 우리가 생각했던 ... ...
이전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