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뉴스
"
세포
"(으)로 총 7,338건 검색되었습니다.
[잠깐과학] 스스로 땅속을 파고드는 씨앗 운반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3.18
세포
가 바깥쪽
세포
보다 더 많이 팽창해 감긴 줄기가 풀려요. 반대로 건조해지면 안쪽
세포
가 더 빨리 수축하면서 풀렸던 줄기가 다시 감기지요. 연구팀은 화학적 세척을 통해 나무 꼬리가 풀리고 감기는 정도가 크도록 설계했습니다. 연구팀은 줄기의 끝에 꼬리가 하나 달린 국화쥐손이와 달리 ... ...
유전자가위로 선천성 망막질환 치료 가능성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23.03.17
환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유전자 돌연변이만 100가지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시각
세포
내 빛을 전기신호로 전환하는 과정에 관여하는 유전자 결함이 원인인 경우가 많다. 연구팀은 크리스퍼(CRISPR) 유전자가위를 활용해 망막색소변성증을 일으키는 유전자 돌연변이 'PDE6β'를 표적으로 하는 ... ...
암
세포
죽이는 단백질 늘린다...면역항암제 효능 '업'
동아사이언스
l
2023.03.17
‘UPPRIS’란 이름을 붙였다. UPPRIS는 아이슬랜드 언어로 ‘부활’이란 의미를 갖고 있다.
세포
내에 잘못 만들어진 단백질을 분해하는 경로를 극대화한 기술인 ‘표적단백질 분해 기술(PROTAC)’과 반대되는 개념이다. 연구팀은 “이 기술로 기존 면역항암제의 효능이 개선된 것을 동물 모델에서 ... ...
7만명 분석해 3개 희귀 유전질환 원인 유전자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17
나타났다. 이 유전자는 적혈모
세포
의 변화와 관련됐다. 흉부 대동맥류 발병은 정상
세포
의 성장을 자극하는 유전자 'PMEPA1'와, 선천성 난청의 발병은 각 신체기관의 정상적인 기능에 변이를 일으키는 유전자 'GPR156'과 각각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연구를 이끈 투로 교수는 "이번 연구는 ... ...
[과기원은 지금] KAIST, AI로 코로나19 치료제 팍스로비드와 기존 약물 반응 분석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3.17
에 게재했다고 16일 밝혔다. GPCR은 냄새, 빛, 온도, 신경전달물질, 호르몬 등
세포
외부 신호를 받아들여 활성화되며 약품들 절반 정도가 GPCR을 목표로 한다고 알려질 정도로 수많은 생체활동에 사용되는 수용체다. 연구팀은 활성 GPCR과 활성 G단백질 간 실시간 소통관계를 밝혀 향후 연관된 질환 및 ... ...
코로나19 등 모든 바이러스 치료하는 '항바이러스제' 필요성 커져
동아사이언스
l
2023.03.16
"살아있는 생명체는 즉각적인 실험이 가능하지만 바이러스는 실험을 위해 이를 배양하는
세포
를 별도로 키워내야 한다"고 설명했다. 범용 항바이러스제 개발이 학계의 도전과제로 떠오른 가운데 연구자들은 이미 범용 항바이러스제 개발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시보 장 중국 푸단대 교수 ... ...
미세먼지로 대기 질 나빠질수록 치매 위험 커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16
저하와 알츠하이머 치매로 이어진다는 근거는 없었다. 대뇌피질은 대뇌 표면에 신경
세포
가 모여 있는 곳으로 기억과 학습 능력 등 여러 뇌 인지기능을 담당한다. 대뇌피질의 변화는 알츠하이머 치매 등 뇌 질환과 연관이 깊다. 실제로 건강한 일반인의 대뇌피질 두께는 평균 2.5mm지만 알츠하이머 ... ...
꿈의 암 치료법 '중입자 치료' 효과 방해하는 물질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16
암
세포
파괴를 복구하는 과정을 재현하는 데도 성공했다. 연구팀은 “POLQ 단백질이 암
세포
복구를 돕는 것을 확인했다”며 “POLQ 단백질이 중입자 치료 효과를 저해하는 원인 물질이라는 점을 입증한 것”이라 밝혔다. 케이이치 연구위원은 “향후 원인물질을 억제하는 항암제의 개발로 더 높은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연구진 "노화로 뇌막에 당 쌓인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3.16
교수 연구팀은 노화 때문에 당이 뇌를 감싼 뇌막에 축적된다는 연구를 국제학술지
세포
노화에 지난달 28일 공개했다고 15일 밝혔다. 뇌막 자체에 초점을 둬 당 축적에 따른 뇌막 변성·기능 장애를 확인한 것은 이번 연구가 처음이다. ■ 양지웅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에너지공학과 교수 ... ...
인공감미료 수크랄로스, 면역반응 약화…자가면역질환 치료 단서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3.16
연구팀은 "잘못되거나 과도한 면역반응으로 일어나는 자가면역질환 치료와 관련해 면역
세포
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수크랄로스의 기능에 주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수크랄로스의 면역반응 약화 작용이 사람에게도 동일하게 나타난다면 향후 새로운 치료법에 참고할 수 있을 것"이라고 ... ...
이전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