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뉴스
"
세포
"(으)로 총 7,338건 검색되었습니다.
작은 로봇을 자기장으로 제어해 뇌 신경망과 연결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02
조직을 기능적으로 연결할 수 있음을 검증했다”며 “개발된 기술이 향후 신경질환 및
세포
치료제 분야에서 표적 정밀 치료의 검증을 위한 도구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
[인사] 연세대의료원
동아사이언스
l
2023.03.02
부소장 김광준 △뇌종양센터 소장 강석구 △골연부조직암센터 소장 김승현 △
세포
치료센터 소장 김신영 △인체유래물은행장 김세훈 △임상연구보호센터 소장 김세주 △염증성장질환센터 소장 천재희 △세브란스헬스체크업의원 방사선안전관리의사 황상현 △VRE병동 책임관리의사 정수진 ... ...
근육재생 개선 단서, 쉽게 노화하지 않는 눈 근육에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02
활성화시키는 부위에서 추출한 화합물을 약화된 근육에 주입하자 근육줄기
세포
가 증식하고 근육이 증가했다. 신체 테스트에서도 근력과 지구력이 향상되는 것이 확인됐다. 이번 연구를 이끈 타길레티 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근육이 약화되는 병을 치료하기 위한 약물을 개발하는 첫 단서가 될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항생제 내성균은 세균이 진화하는 증거
2023.02.28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세균(박테리아)에 의한 감염병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의 대두 유사 이래 사람과 세균(박테리아)은 함 ... 『내 몸을 찾아 떠나는 의학사 여행』, 『이어령의 교과서 넘나들기: 의학편』, 『줄기
세포
로 나를 다시 만든다고?』, 『지못미 의예과』 등이 있다 ... ...
뇌 신경 모방한 다진법 구현 반도체 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2.28
활용해 여러 개의 단위 소자로 이루어진 병렬 구조로 제작했다. 인간 뇌의 여러 개의
세포
가 서로 이어져 있는 뉴런-시냅스 구조를 모방한 것이다. 뉴런의 스파이크 신호가 다양한 연결 강도를 갖는 시냅스를 통해 다른 뉴런으로 신호를 전달하듯 병렬 구조의 이산화바나듐에서 열, 전기 등 ... ...
[오늘과학] '제로슈거' 식품에 사용되는 첨가제, 심혈관 질환 위험 높여
동아사이언스
l
2023.02.28
혈액과 혈소판 샘플을 통해 실험을 실시했다. 혈소판은 피를 응고시키는 역할을 하는
세포
조각이다. 혈액과 혈소판에 에리스리톨을 첨가하고 변화를 관찰한 결과 에리스리톨은 혈소판을 활성화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혈소판이 활성화되면 혈관 속에서 피가 굳은 혈전이 형성되기 ... ...
[오늘과학] 생쥐는 성욕과 식욕 중 어떤 욕구 앞설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2.24
게티이미지뱅크 식욕과 성욕 둘 중 어떤 욕구가 앞설까. 타티아나 코로트코프 독일 쾰른대 신경과학과 교수 연구팀은 생쥐가 식욕보다 ... 교수는 “렙틴이 식욕 억제 뿐 아니라 사회적 활동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며 “
세포
단위 기전을 밝히기 위한 추가 연구를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 ...
[일상 속 뇌과학] 아는 음식 맛 참기 어려운 과학적 이유
2023.02.24
DGIST) 뇌인지과학전공 겸임교수다. 현재 생쥐 모델을 활용해 학습과 기억을 조절하는
세포
간 상호작용의 분자 기전을 연구하고 있으며, 뇌 속 기억 형성 및 변화에 대한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일반인들에게 소개하는 저술 작업도 같이하고 있다 ... ...
[기후위기와 산림] 염분 많은 간척지에서도 나무가 자란다
2023.02.23
만들어진 2년생 포플러는 리그닌이 최대 29%가 감소했고 당화 효율은 25% 증가했다. 나무
세포
에 포함되어 있는 리그닌 양에 따라 염색의 정도가 달라지는데, 대조구에 비해 생물공학 기술이 접목된 포플러에서 상대적으로 염색이 적게(리그닌 함량 감소 확인) 됨을 확인할 수 있음. 우려되었던 것은 ... ...
뇌종양 연구 선구자 최승홍 서울대 교수 '한림원 생리의학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3.02.23
발표하는 등의 연구성과를 냈다. 가성진행은 종양의 실제 진행과 구별이 어려운 뇌교모
세포
종 특유의 치료반응을 뜻한다. 최 교수는 또 자기공명영상(MRI) 영상에서 철 나노입자를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해 목적에 따라 종양의 신호 강도를 바꿀 수 있는 나노입자 최적화 연구를 수행해 종양의 치료 ... ...
이전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