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위논문
논제
시문
석사논문
석사
박사 학위 논문
글
스페셜
"
논문
"(으)로 총 2,283건 검색되었습니다.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분자화석으로 지구 역사를 재구성한 화학자, 지오프리 에글린턴
2016.12.12
있는 왁스를 집중적으로 연구했고 1967년 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한 14쪽에 이르는
논문
으로 정점을 찍었다. 에글린턴은 잎의 왁스 분석 경험을 바탕으로 ‘분자화석(molecular fossil)’이라는 개념을 제시했다. 즉 잎의 왁스를 이루는 성분처럼 안정한 분자는 오랜 세월을 견딜 수 있기 때문에 ... ...
그린란드 빙하, 완전히 녹아 사라졌던 시기 존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11
과연 빙하가 모두 녹는 사태가 벌어질까. 이 질문에 대해 이번 주 ‘네이처’는 두 편의
논문
을 통해 서로 다른 답변을 내놨다. 두 연구진 모두 과거 지구가 온난했을 때의 경험을 통해 미래를 예측하는 시도를 했다. 요르크 섀퍼 미국 컬럼비아대 교수는 그린란드 한가운데서 3㎞ 깊이의 얼음층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1] 잠과 꿈의 유전학 - 잠꾸러기 생쥐와 꿈 안 꾸는 생쥐
2016.12.05
결과다. 학술지 ‘네이처’ 10월 6일자에는 수면조절의 신경회로 연구 현황을 정리한 리뷰
논문
이 실리기도 했다. 이처럼 수면의 행동이나 뇌과학 연구는 상당한 진전이 있음에도 관련 유전자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상태였다. 그런데 ‘네이처’ 11월 17일자에 수면과 관련된 유전자 두 개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0] 발 냄새와 낫토와 청국장
2016.11.28
실린다) 9월 21일자 온라인판에는 며칠 전 필자의 경험과 일맥상통하는 연구결과를 담은
논문
이 실렸다. 프랑스 리용신경과학연구소와 캐나다 몬트리올신경학연구소의 공동연구자들은 냄새에 대한 지각과 생리반응에 미치는 문화와 정보의 영향을 알아보는 실험을 했다. 몬트리올이 속한 퀘벡 ... ...
[표지로 읽는 과학]생체리듬이 세포에 미치는 영향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1.28
심혈관연구소 연구원팀도 최근 10년 동안 발표된 면역 관련 생체리듬 연구를 모아 리뷰
논문
으로 발표했다. 정상적인 생체리듬이 과도한 면역 반응을 막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생체시계를 조절하는 것만으로 감염이나 면역성 질환을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 밖에 ... ...
뇌 속 면역 담당한 미세아교세포의 두 얼굴
2016.11.23
쓰이지 않는 용어이고 뇌에서 식작용을 하는 세포는 주로 미세아교세포였다. 그리고 리뷰
논문
들에 따르면 미세아교세포는 주로 시냅스를 먹어치운다. 따라서 메치니코프의 서술을 약간 바꿔 “뇌가 줄어드는 건 미세아교세포가 시냅스를 파괴하기 때문”이라고 쓰면 최신 연구결과를 요약한 글이 ... ...
美서 합법인 대마초, 뇌 보상시스템 망가뜨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1.20
성분인 ‘THC(tetrahydrocannabinol)’가 장기적으로 신경세포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리뷰
논문
을 발표했다. 미국의 일부 주, 유럽 일부 국가에선 대마초가 합법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이번 연구결과가 관련법 개정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지난 8일 미국에서는 대통령 선거와 함께 캘리포니아, ... ...
성인병의 주범? 소금에 대한 오해와 진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11.17
소금의 과잉섭취는 골다공증과 부종, 소화 장애 등의 원인이 된다. 특히 우리나라는 여러
논문
을 통해 비교해 봐도 다른 나라보다 나트륨 섭취량이 높은 만큼 이번 기회를 통해 너무 '짜게' 먹고 있는 것은 아닌지 식습관을 점검해 보는 건 어떨까. [TIP] 짠 입맛 바꾸기! 혀의 미각세포는 8~12일 ... ...
문학 바깥에도 문학이 있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11.17
문학적으로 상당한 수준에 와 있는 경우가 많다. 유명한 과학저널에 실리는 과학
논문
들도 문학적인 에세이 형식으로 발표되는 경우가 많다. 구조주의 철학의 장을 연 책의 하나로 손꼽히는 레비스트로스의 <슬픈 열대>는 일종의 문화기술지 학술서인데도 한때 노벨문학상 후보로 거론된 적이 ... ...
보노보도 노안은 못 피해!
2016.11.14
비슷한 시기에 노안이 찾아온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 학교 박사과정인 류흥진 씨가
논문
의 제1저자이자 교신저자다.) 연구자들은 보노보의 털 고르기 장면을 촬영해 이런 사실을 밝혀냈다. 털 고르기는 유인원의 삶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데, 다른 개체의 털에 붙어 있는 비듬이나 벼룩을 ... ...
이전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