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위논문
논제
시문
석사논문
석사
박사 학위 논문
글
스페셜
"
논문
"(으)로 총 2,283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305] 범고래 암컷이 나이 마흔에 폐경기를 겪는 이유
2017.01.17
모른다는 말이다. 캔트와 존스톤은 2010년 학술지 ‘영국왕립학회회보B’에 발표한
논문
에서 이런 무리의 구조에서도 번식투쟁이 적용된다는 사실을 수학모형을 세워 입증했다. 즉 암컷이 나이가 들수록 무리 내 수컷들과의 평균 혈연도가 올라가므로 젊은 암컷은 자기 새끼만 챙긴다는 것이다. 갓 ... ...
수소 원자, 어디에 있는지 정확하게 찾을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1.15
영향력을 생각하면 앞으로 활용한 가능성이 큰 기술”이라고 주장했다. ※ 관련
논문
L. Palatinus et al. (2017), Hydrogen positions in single nano ocrystals revealed by electron diffraction, Science, 355(6321), 166-169. ☞ DOI: 10.1126/science.aak9652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4] 노트북도 이제 배터리로 승부?
2017.01.10
)과 CNT로 이루어진 나노구조 음극을 만드는데 성공했다는 싱가포르 난양이공대 연구팀의
논문
이 실렸다. 몰리브덴황화물 음극은 흑연 음극에 비해 용량이 세 배나 되지만 구조가 불안정해 수명이 짧고 충전속도도 느리다. 연구팀은 교묘한 화학반응을 통해 CNT와 MoS2로 이뤄진 이중 원통 ... ...
IBS 5년간 땀과 노력, 한 권으로 집대성
동아사이언스
l
2017.01.06
대상으로 하며, 연구분야(22개 표준분야)와 출판년도가 같은
논문
중 인용수 기준 상위 1%
논문
의 비율 또한 IBS는 기초과학분야 글로벌 지표로 권위를 인정받고 있는 네이처 인덱스에서 큰 상승폭을 이어가고 있다. 2012년 국내 대학·연구기관 중 71위로 출발한 IBS는 5년 만에 7위까지 수직 상승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3] 현대인들에게 수탉의 울음이 필요한 이유
2017.01.04
시차로 생체시계가 교란된 생활을 지속하면 몸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특집에 실린 리뷰
논문
들에 따르면 다양한 문제들이 생기고 이는 오늘날 만연한 질병들로 나타난다. 먼저 인체생리에 미치는 영향을 보자. 예를 들어 비만이나 당뇨는 단순히 칼로리나 당분의 과잉섭취가 원인이 아니라는 증거가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9) 화학의 두 문화를 통합한 존 로버츠
2017.01.03
실험실에서 대학원 생활을 했는데 실험은 자유방임형이었지만
논문
에는 까다로워
논문
을 써 가져가면 빨간 펜으로 도배를 해 돌려주고 이런 과정이 반복돼 끝나지 않을 것 같았다고 회상하고 있다. 훗날 그는 로버츠에게는 오로지 ‘질(quality)’이 중요했다는 걸 깨달았다고 덧붙였다. 한편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8) 샤프론 단백질 분야를 개척한 수전 린드퀴스트
2017.01.02
학부생이 지도를 받았다. 린드퀴스트는 특히 언어를 중요시해 실험을 잘하는 것만큼이나
논문
을 잘 쓰는 것도 중요하게 여겼다. 즉 최대한 많은 사람들이 읽을 수 있도록 명쾌하면서도 쉽게 글을 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7) 과학자들의 키다리아저씨 조셉 버만
2017.01.01
군이론을 적용해 결정의 상전이와 빛산란 예측 등 이론고체물리학 분야에서 탁월한
논문
들을 발표했다. 중견 과학자로 자리를 잡은 버만은 핍박받는 과학자들을 돕는 데로 관심을 돌렸다. 1970년대 소련과학원의 초청으로 소련을 방문하게 된 버만은 그곳 과학자들의 열악한 실상에 깊은 충격을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4) 생명과학에 보는 재미를 더해 준 로저 첸
2016.12.29
개발의 대가다. 세포 내 칼슘 이온을 형상화하는 형광센서 푸라2(fura-2)를 소개한 1985년
논문
은 2014년 인용 순위 42위(1만9561회 인용)에 올랐고 2년이 지난 2016년 현재 2만906회 인용됐다. 많은 사람들이 이 업적으로 그가 노벨상도 탈 것으로 예상했지만 정작 그는 다양한 색상의 형광단백질을 만든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3) 11년 만에 지구에서 천연두를 추방한 의사 도널드 헨더슨
2016.12.28
역학(epidemiology)에 흥미를 느꼈던 헨더슨은 ‘1832년 뉴욕 콜레라 역병’을 주제로
논문
을 써 입상하기도 했다. 1955년 미 질병예방통제센터(CDC)에 들어간 헨더슨은 저명한 역학자 알렌산더 랭뮤어 밑에서 배우며 그가 만든 역학전문요원(EIS) 프로그램에 참여해 훗날 책임자 자리까지 올랐다. 1960년대 ... ...
이전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