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끝"(으)로 총 5,647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 tvN 월화드라마 라이어게임 극한심리추적극 필승법은 수학이다!수학동아 l2014년 12호
- 달려드는 사람들을 보고 생각했어요. 우리가 대체 왜 이래야만 하는 걸까? 누가 끝까지 살아남건 똑같이 상금을 나누기로 약속한다면 굳이 싸울 이유도 없고 빚질 일도 없고 다들 행복해지는 거 아니에요?"라이어게임의 1라운드는 일대일 경기로 펼쳐지는 ‘5억 게임’이다. 규칙은 간단하다. ... ...
- PART5. 핵융합의 난관과학동아 l2014년 12호
- 플라스마 난류는 마치 야생마처럼 어렵고 복잡하며 통제하기 힘들다. 하지만 오랜 연구 끝에 핵융합 과학자들은 우리의 승리가 멀지 않다고 확신하고 있다.재료 문제 역시 풀어야마침내 플라스마 가둠시간을 4초 이상으로 만들었다고 생각해 보자. 핵융합발전소를 건설하는 단계다. 이때부터는 ... ...
- BRIDGE. 로제타, 실패해도 괜찮아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않았다. 아폴로 13호는 달의 중력도움을 받고, 수동조종으로 궤도수정을 해가며 천신만고 끝에 지구로 돌아오게 된다.영화로도 만들어진 아폴로 13호의 실패담은 우주 탐사선의 수많은 실패사례 중 하나일 뿐이다. 궤도를 이탈해 우주미아가 된 탐사선, 행성착륙에 실패해 폭발한 탐사선, 아예 ... ...
- PART 2. 소행성 ‘보쌈’해 지구 구한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완전히 정지하는 데까지 약 42분이 걸린다. 가만히 기다리기만 하면 소행성 포획 끝! 이제 붙잡은 소행성을 안전한 곳으로 옮겨 놓으면 된다. 지구와 달 사이에는 라그랑주점이라는 곳이 있다. 지구와 달의 중력이 평형을 이뤄 어느 쪽으로도 쏠리지 않는 안정된 곳이다. 창고처럼 소행성을 보관해 ... ...
- 바닥에서 요동치지 않는 샤워기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샤워기를 내려놨을 때, 수압 때문에 샤워기가 요동치는 게 너무 불편했어요. 고민 끝에, 샤워기 손잡이를 벽에 붙은 걸이에 고정하는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샤워기에 씌우는 헤드를 고안하게 됐습니다.”그가 개발한 제품은 샤워기 머리가 쏙 들어가는 실리콘 덮개다. 이 덮개를 세수대야 가장자리에 ... ...
- [생활] 상식을 뒤집어 생각을 전환하라! 무한의 발견 ∞수학동아 l2014년 12호
- 가장 마지막 글자인 오메가 ‘ω’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 이는 오메가가 흔히 ‘끝’을 상징하는 알파벳으로 사용되고, ∞와도 그 모습이 닮아서다. 무한의 개념을 수학적으로 증명한 칸토어기호 ∞가 쓰이기 시작한 건 17세기였지만, 이때까지도 무한이라는 개념은 수학적으로 엄밀하지 않은 ... ...
- [체험] 스튜디오 지브리 입체조형전 전시관에 숨겨진 비밀을 파헤치다!수학동아 l2014년 12호
- 흘러내리는 빗줄기와 시원하게 울려 퍼지는 소리, 은은한 조명, 움직이는 조형물, 손끝에 닿는 나무 느낌, 아주 오래 된 듯 보이는 낡은 바닥…. 토토로와 주인공이 나란히 우산을 들고 버스정류장에 서 있는 장면은 의 명장면이다.스튜디오 지브리는 시각뿐만 아니라 청각, 촉각까지 ... ...
- PART4. 핵융합 실현 기술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선의 양 끝에서 에너지 손실이 일어나는 현상을 피할 수 없었다. 이 문제를 양 끝을 서로 잇는 방법으로 해결한 것이 도넛 모양의 토러스 장치였다. 토러스 장치에는 두 가지 형태가 있었다. 하나는 1951년 미국의 라이먼 슈피처가 고안한 스텔러레이터이고, 다른 하나는 이듬해 러시아의 탐과 ... ...
- [fun] 신선한 우리 작가로 승부한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분야를 함께 개척해 간다는 건 신생 출판사 MID에게는 더없이 의미 있는 일이다.인터뷰가 끝나갈 무렵, 최 대표는 꼭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며 한자가 적힌 종이를 꺼내 들었다. ‘지천년견오백(紙千年絹五百)’이라는 한문이 적혀 있었다. 비단은 500년을 가고 종이는 1000년을 간다는 뜻이다. 최 대표는 ... ...
- [knowledge] 지도를 4가지 색만으로 칠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831~1901년)가 각각 증명을 내놓았다. 한 동안 합당한 것으로 여겨졌는데, 둘 다 11년 천하로 끝나고 말았다. 켐프의 증명은 1890년에, 테이트의 증명은 1891년에 잘못됐다는 게 밝혀졌기 때문이다.그러나 실패라고 볼 수는 없었다. 켐프의 증명에 오류가 있다는 것을 밝힌 퍼시 히우드(1861~1955년)는 검증 ... ...
이전1881891901911921931941951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