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끝"(으)로 총 5,647건 검색되었습니다.
- 뜨개질과 수학의 크로스수학동아 l2015년 01호
- 학문 분야다. 보통 매듭은 긴 줄을 꼬아 묶은 것이지만, 수학에서의 매듭은 이 줄의 양 끝을 이어 붙인 닫힌 곡선을 의미한다.위상수학을 연구하는 사라 마리 박사는 직접 뜨개질을 직접 하며 토러스 매듭 알고리즘을 고안했다. 토러스 매듭은 도넛 모양을 이루며 매듭이 연결돼 있는 것이다. 가운데 ... ...
- 그들이 말했다, "빛이 있으라!"수학동아 l2015년 01호
- 설치하고, 두 곳 모두 동그란 구멍을 뚫었어요. 그리고 이 두 구멍을 차례로 통과해 벽 끝까지 팽팽한 줄로 연결했어요. 날이 밝자 빛이 구멍으로 연결한 줄과 평행하게 들어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나는 이 실험으로 빛이 직진한다는 것을 확신했어요. 그 뒤에 등불 실험을 통해 태양빛이나 ... ...
- PART4. 일반상대성이론 완성한 집단지성의 힘과학동아 l2015년 01호
- 길을 가야할지 확실하지 않습니다. 내가 루카스 교수 취임 연설에서 ‘이론물리학의 끝’에 관해 언급할 때 내 마음 속에 있던 건 초중력이론이었습니다만, 초중력은 이제 빛이 바랬습니다. 우주상수와 암흑에너지, 중력파와 인플레이션 등 아직도 우리가 이해하고 설명해야할 문제는 산더미 ... ...
- [과학뉴스] 가거초의 해양생물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위에서 주로 생활하는데 우리나라 남해안과 일본 중부해역에서만 볼 수 있다.서남해의 끝 가거도 앞바다 수심 7.8m 지점에는 대형 수중암초인 가거초가 있다. 서해 냉수와 남해 온수가 섞이는 이곳에는 연산호와 갯민숭달팽이 등 다채로운 해양생물이 서식하고 있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은 가거초에 ... ...
- [Hot Issue] 남극탐험가 섀클턴의 위대한 실패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녹여 먹고, 파도에 요동을 치는 보트에 의지한 채 버텼다. 나흘 넘게 파도 위를 헤맨 끝에, 일행은 작은 섬 하나에 상륙했다. 기적적으로, 아무도 크게 다치지 않았고 죽지도 않았다. 이 섬은 엘리펀트 섬이라고 불리는 무인도였다. 섀클턴의 위대한 탐험 덕분에 인류에 알려지게 됐고, 2014년 구글의 ... ...
- [Life & Tech] 두꺼운 패딩 벗어야 겨울 추위 이긴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두껍게 옷을 입은 사람이 추위에 더 약해지는 역설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실제 손가락 끝의 혈관 확장을 통해 추위를 참는 능력을 검사하는 한랭혈관확장반응(CIVD) 검사에서 현재 한국 젊은이들이 과거에 비해 추위를 잘 못 참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검사에서 낮은 점수를 받은 학생들은 모두 ... ...
- [지식] 첫 번째 요리_영양 가득 오일러 공식수학동아 l2015년 01호
- 영양가를 머릿속에 쏙쏙 채울 수 있답니다. 0과 1은 보이지 않는다고요? 아직 요리가 끝난 게 아닙니다. θ자리에 π를 넣고 비벼야만 오일러 공식의 맛을 제대로 느낄 수 있답니다.원주율 π는 각도로 치면 180°와 같습니다. 삼각함수 공식에 따르면 sin180° 는 0이고, cos180°는 -1입니다. 공식은 다음과 ... ...
- [생활] 낮에는 선생님, 밤에는 작가 수학 교사 미술가 김주희 작가수학동아 l2015년 01호
- 11일, 미술관이 옹기종기 모여 있는 삼청동을 찾았다. 골목 끝에 있는 한 아담한 미술관에 들어서자 마침 작품 앞에 서 있던 사람이 기자를 반겼다. 지난해 8월 이곳에서 개인 전시회를 열었던 김주희 작가다. 영락없이 화가로 보이는 김 작가의 또 다른 직업은 특이하게도 수학 교사다. 수학과 ... ...
- 명예기자가 되는 비법!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2015년부터는 정기구독자라면 지금 바로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으로활동할 수 있어. 동아사이언스 주니어 홈페이지에 가입만 하면 끝~! 가입한 뒤에는어떻게 하냐고? 친절한 섭섭박사가 꼼꼼하게 알려 줄게! ...
- [과학뉴스] 인류 최초의 ‘낙서’는 50만 년 전에?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이 화석 안에는 뾰족한 물건으로 그은 듯한 길이 1cm의 미세한 선이 있었는데, 마치 톱니 끝처럼 지그재그 휘어 있었다(위 사진). 또 방향이 바뀔 때도 도구를 뗀 흔적이 없었다. 연구팀은 “우연히 이런 흔적이 만들어지긴 어렵다”며 “의도를 갖고 그린 일종의 낙서”라고 결론지었다. 직접 도구를 ... ...
이전184185186187188189190191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