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지막
종결
결말
최후
대단원
끝판
첨단
d라이브러리
"
끝
"(으)로 총 5,64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핵융합의 장점과 발전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03g 연료로 한반도
끝
까지 간다태양에서는 무수하게 많은 수소 핵융합 반응이 일어난다. 이런 수소 핵융합은 별에서나 가능한 초고온, 초고밀도 환경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지구에서 구현하기는 쉽지 않다. 하지만 수소의 동위원소인 중수소와 삼중수소로 눈을 돌려보면 사정이 달라진다. 이들은 ... ...
INTRO. 스페이스 임파서블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전해졌다. 로제타 우주선은 유럽우주국이 2004년 발사한 혜성탐사선이다. 10년의 대장정
끝
에 작은 혜성 표면에 최초로 탐사선을 내려 보내는 데 성공한 로제타의 이야기를 1파트에서 소개한다. 태양계 초기 생성조건을 밝히고, 물과 생명의 기원을 알아내기 위해 인류는 불가능해 보이는 작전들을 ... ...
PART1. 혜성과의 짧았던 첫키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동동 굴렀어요.그래도 추리가 필래를 아예 내칠 생각은 없었나 봐요. 두 번을 튕긴
끝
에 필래가 다리에 있는 드릴 하나로 땅을 움켜쥐었거든요. 우주미아가 되는 일은 다행히 피했지만, 원래 계획처럼 드릴 세 개와 작살 두 개로 단단히 땅에 고정하는 건 실패했어요. 절벽 근처 음지에 비상착륙해 ... ...
[잘 가르치는 대학이 뜬다 1] 숭실대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3위를 시작으로 2009년, 2011년, 2013년에 3차례나 우승을 기록했다. 여기서
끝
이 아니다. 시대와 기술은 계속해서 변하고, 사회가 대학에 바라는 인재상도 계속 바뀐다. 숭실대가 다음으로 준비하고 있는 상품은 ‘사물인터넷’과 ‘빅데이터’다.나만의 라즈베리 파이로 사물인터넷 전문가 ... ...
먹는 걸로 장난치면 예술!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검은색 볼펜을 손에 쥐고 사물을 보고 생각나는 대로 그려서 여러 그림을 한 데 모으면
끝
! 참 쉽죠? 친구들도 지금 바로 빅토르 누네스처럼 독특하고 창의적인 그림을 그려 보세요 ... ...
내 몸은 탈수 중 물 마시기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질병이 생길 수 있단다. 물이 온 몸 구석구석 가지 않는 곳이 없으니 머리카락부터 발
끝
까지 영향이 안 미치는 곳이 없다고!우리 몸을 지배하는 물너희가 태어나기 전, 엄마의 난자와 아빠의 정자가 만나 만들어진 수정란일때부터 물은 아주 중요했어! 수정란은 97%인 물과 3%의 단백질로 이뤄져 ... ...
PART 3. 생리의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모두가 함께 웃었다. 스발바르섬은 백야 기간이라 밤이 찾아오지 않았다. 우리의 토론도
끝
을 모르고 이어졌다. 결국 이날 워크샵 참석자 중 세 명이 노벨상을 받게 된 것이다. 정보가 어떻게 쓰이는지는 아직 미지수 나는 영국 옥스퍼드대에서 학부 전공으로 수학을 공부했다. 대학원에 가서 ... ...
PART 2.Y가 사라진 세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어마어마했다. 인권 논란도 컸다. 그러나 인류 생존이 더 급했다. 수천 년에 걸친 시도
끝
에 결국 인류는 무사히 존속했다. 지금도 과학자들은 인류의 성비에 온갖 촉각을 세우고 있다. Y가 완전히 사라진 이상 언제 어디서 어떤 문제가 터질지 모르는 일이다. 시한폭탄 같은 하나의 성(性) 수백만 ... ...
[career] 기숙사에서 매일 열리는 ‘비정상회담’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적극성을 본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 학생들은 수업 시간에 모르는 게 생기면
끝
나고 조교에게 물어보거나 따로 공부를 한다. 하지만 외국 학생들은 그 자리에서 바로 손을 든다.“수업시간에 그렇게 질문하면 보통 ‘나댄다’고 고깝게 보잖아요. 그렇지 않나요?”“천만에요. 다들 아는 ... ...
종이학부터 변신로봇까지 오리가미의 진화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박스를 만든 뒤 이 안에 나노 짐을 싣는 데 성공했다. 연구자들은 짐이 달라붙을 수 있게
끝
이 튀어나온 스테이플 가닥 12개가 박스 내부에 놓이게 DNA 오리가미를 설계했다. 그리고 여기에 나노 입자를 붙이는 데 성공했다. 연구자들은 이를 ‘나노로봇’이라고 부르고, 앞으로 세포의 행동을 ... ...
이전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