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d라이브러리
"
공학
"(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우주방사선을 극복하라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아닌 신소재를 이용하려는 움직임도 있다. NASA 고다드 우주 비행 센터의 우주방사선
공학
자 조나단 펠리쉬 연구원은 “방사선 입자를 막는 가장 좋은 방법은 비슷한 크기의 고에너지 입자를 우주선(혹은 거주지)에 씌우는 것”이라고 말했다. ‘눈에는 눈, 이에는 이’ 전략이다.양성자, 중성자와 ... ...
[Tech & Fun] 로봇 의수의 혁신 ‘아이림’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시작했다. 돈이 되는 분야가 아니므로 사업을 유지하기 쉽지 않았다. 하지만 많은 생체
공학
자들이 그렇듯, 이들도 돈보다는 장애인이나 환자 돕기를 택했다. 40여 년 뒤, 이들은 축적된 기술을 이용해 ‘아이림(i-LIMB)’이라는 이름의 세계 최초의 판매용 전자 의수를 내놨다. 2007년의 일이다 ... ...
[Tech & Fun] 센서스 코무니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유명하지요. 저는 ‘뉴로폴리틱스’라는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기로 마음먹었습니다. 뇌
공학
과 현실정치를 연결하는 겁니다. 어느 정도 구상이 구체화됐을 때 박사과정을 그만두고 한국으로 돌아왔습니다. 논문으로 발표할 내용은 아니었거든요.”“전화 설문조사 대신 뇌파를 측정하는 겁니까 ... ...
[매스미디어] 무한대를 본 남자, 라마누잔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연구한 정수론은 현대 응용수학 분야에 많은 영향을 줬다. 암호나 통신은 물론
공학
에도 활발히 쓰이고 있다. 그래서 라마누잔의 업적은 오히려 죽은 뒤에 더 높게 가치를 인정받기 시작했다. 라마누잔이 발견한 수학적 사실이 블랙홀의 엔트로피 계산과 같은 분야에도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 ... ...
Part 3. 안전모를 쓰지 않으면?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에어백이 터져 머리와 목을 보호하는 안전모도 있어요. 지난 10월 미국 스탠퍼드대 생체
공학
과 연구팀은 에어백 안전모가 기존 안전모보다 머리 보호 기능이 3배나 좋다고 발표했어요. 이 에어백 안전모는 스웨덴의 디자인회사 회브딩이 2013년 개발한 것으로, 사고가 나면 에어백이 머리에서 목까지 ... ...
[과학뉴스] 국내 연구팀이 거의 완벽하게 밝힌 ‘한국인 표준 유전체’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서울대 의대 유전체의학연구소 서정선 교수와 국내 생명
공학
벤처기업 마크로젠 공동연구팀은 독자적인 기술을 이용해 한국인의 유전체를 거의 완벽하게 해독해 냈다.유전체란 세포에 들어 있는 모든 유전 정보다. 생김새와 체질, 재능, 특정 질병에 걸릴 가능성 등 생존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모든 ... ...
[과학뉴스] ‘마술종이’로 감쪽같이 사라지는 전자소자 만든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내용을 확인하면 자동으로 사라지는 전자장치를 만들 수 있게 됐다. 최성진 국민대 전자
공학
부 교수팀은 잔해조차 남기지 않고 분해되는 반도체용 트랜지스터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나노리서치’ 9월 26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이 주목한 소재는 니트로셀룰로스로 마술사가 불을 붙였을 때 재를 ... ...
[Knowledge] 암세포 ‘원샷 원킬’ 작은 RNA가 뜬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전혀 새로운 방식으로 전달체를 만든 연구도 있다. 안형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의
공학
연구소 책임연구원팀은 효율과 독성 면에서 기존보다 뛰어난 전달체를 개발하고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2015년 8월 6일자에 발표했다(doi:10.1038/ncomms8930). 안 연구원팀은 특정 물질로 전달체를 만드는 ... ...
INTRO. 구부러진 세상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나는 지금 도시 한가운데 서 있다. 하늘 위로 쭉쭉 뻗은 아파트와 고층 건물에서 알 수 없는 무뚝뚝함이 묻어난다. 직선이 주는 날카로움 때문일까. 어어…. 그런데 갑자기 세상이 구부러져 보인다. 모든 것이 굽어보이기 시작했다. 눈을 비비고 다시 쳐다봐도 마찬가지다. 뭐라고? 세상은 사실 모두 ... ...
Part 2. 세상은 구부러졌다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수학을 공부하다 보면 가장 짧은 길이의 선을 구하는 문제를 종종 접하게 된다. 이는 최단 거리를 구하는 문제이기도 하다. 중간에 어떠한 장애물도 없을때 집에서 학교까지 갈 수 있는 가장 빠른 길은 어떤 모양일지 구하는 문제가 그 예다. 답은 누구나 쉽게 생각할 수 있듯이 곧은 선이다.최단 거 ... ...
이전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