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학"(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구마모토 지진의 원인은 활성단층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땅이 1m나 움직였다고?구마모토가 있는 큐슈에는 북동-남서에 걸쳐 비스듬하게 ‘단층대’가 있어요. 땅이 갈라진 단층들이 모여 있는 것을 단층대라고 하지요. 특히 이 지역에는 약 285만 년 전부터 시작된 신생대 제4기에 들어서 활동을 했거나, 앞으로 활동할 가능성이 높은 ‘활성단층’들이 많 ... ...
- [핫이슈] 지진 대비! 집을 지키는 수학!수학동아 l2016년 10호
- 때 지진으로 무너진 건물에 깔려서 목숨을 잃는 경우도 많습니다. 영국 브리스톨대지진공학연구센터 아담 크루 박사는 “지진이 언제 일어날지 예측하는 기술에만 의존하는 것보다 지진에 잘 버티는 건물, 설령 무너지더라도 안전하게 무너지는 건물을 짓는 것이 훨씬 중요하다”고 말했어요 ... ...
- [지식] 우리 집에 수학이 있다수학동아 l2016년 10호
- 그런데 개미들은 초콜릿 주변에 모였지만 섣불리 움직이지 않아요. 지난 7월 MIT 전기공학 및 컴퓨터과학과 카메룬 무스코 연구원은 이 원인을 알아냈어요. 무스코 연구원은 개미들의 행동을 수학적으로 분석했는데, 개미들은 한 장소에 어느 정도 모인 뒤에 집단으로 이동한다고 밝혔어요.정말로 ... ...
- PART 1. 연구비보다 '연구 자유'가 중요했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연구자가 원하는 주제를 연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연구비’다. 한국연구재단의 ‘이공학 개인 기초연구 지원사업’ 등 한국의 기초연구비 지원사업 일부가 성격상 그랜트에 속한다.반면 콘트랙트는 ‘국가가 연구 주제와 목표, 방법 등을 기획한 뒤 이를 수행할 연구자들을 모집해 지원하는 ... ...
- [Knowledge] 동물 잡는 밀렵꾼 잡는 동물 로봇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로봇은 아직까지 주로 미국이 개발하고 있지만, 한국도 잠재성이 높다. 이진이 KAIST 기계공학과 연구원(박사과정)은 “고래 보호에는 수중음향기술이, 드론을 이용한 동물 생태 파악에는 영상처리, 드론 제어 기술이 필수”라며 “동물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는 경우는 아직 많지 않지만, ... ...
- PART 2. 로봇의 도전, 가장 사람다운 표정 만들기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만들기 위해서는 이처럼 거부감이라는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1970년대 일본의 로봇공학자 모리 마사히로 박사는 “로봇이 사람과 닮을수록 호감도는 증가하지만, 어느 수준을넘으면 갑자기 강한 거부감으로 바뀐다”는 ‘불쾌한 골짜기’ 이론을 내놨다. 그는 “하지만 사람과 구별할수 없을 ... ...
- [Tech & Fun] 무한한 손짓을 흉내 내기 위하여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이 연재는 미래의 우리 몸에 대해 다룬다. 특히 원래의 신체를 대체하거나, 손상된 몸이 갖는 한계를 이겨낸 기계 몸을 소개한다. 첫 번째 에피소드는 스 ... 진전이 있었지만, 아직 ‘스타워즈 2’에 나온 바이오닉 손은 등장하지 않았다. 이런 손은 전자공학의 발달과 함께 태어날 차례였다 ... ...
- [Tech & Fun] 하버드 비스 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10호
- 1억2500만 달러(약 1406억 8750만 원)를 기부하면서 설립됐습니다. ‘생물학에서 영감을 얻은 공학 연구’에 써달라는 부탁과 함께였는데요. 하버드 역사상 최고액이었다고 합니다(비스는 3년 전에 같은 금액을 또 한 번 기부했습니다 +_+).덕분에 하버드 비스 연구소의 연구 환경은 세계 최고를 ... ...
- [Career] 유전자 진단 기술계의 '구글'을 꿈꾸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년 전 어느 봄날이었다. 김민수 DGIST 정보통신융합공학전공 교수는 편안한 마음으로 학교에서 매주 개최하는 융합세미나에 참석했다. 다른 전공 교수가 자신의 연구를 소개하는 세미나여서 부담 없는 시간이었다(게다가 점심까지 해결할 수 있었다!). 이날 주제는 ‘후각수용체와 그 활용’. 구재형 ... ...
- [Career] 일상의 난제를 해결하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진로를 네이버, 구글, 카카오와 같은 IT 전문기업만을 떠올리는 경우가 많은데, 컴퓨터공학 전공생들의 진로는 무궁무진합니다. 저만 해도 삼성전자에서 반도체를 만드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제조 과정의 복잡성을 줄이고 오류를 최소화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죠. 저는 대학을 ... ...
이전1911921931941951961971981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