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학"(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12월의 비밀 조직, S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성탄절을 앞둔 캐나다의 몬트리올 국제공항, 눈에 띄게 빨간 양복을 입은 두 남자가 비행기 탑승구 앞에 줄을 서 있습니다. 비밀 조직 ‘S’의 요원으로 추정되는 사람들입니다. S의 정체를 새해 특종으로 내보내기 위해 저들을 따라가 보겠습니다. 제 모습은 철저히 숨긴 채 말이지요!▼관련기사를 ... ...
- Part 2. 수학동아, 조직 S의 비밀을 파헤치다!수학동아 l2016년 12호
- 페르미 추정법으로 본 조직 규모조직 S는 우리나라 어린이 몇 명에게 선물을 배달 할까요? 적어도 산타가 있다고 믿는 어린이 모두에게 선물을 전해야 산타 역할을 하는 조직으로서 의미가 있을 겁니다. 기초 정보로 대략적인 규모를 추정하는 ‘페르미 추정법’으로 근사치를 구해 봅시다.미국의 ... ...
- Part 5. 비행기가 활주로를 뜨지 못하는 이유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두 요원은 우여곡절 끝에 비행기에 올라탔습니다. 저도 비행기 꼬리 쪽에 자리를 잡았고요. 이제 비행기가 뜨기를 기다립니다. 안전벨트를 매고 창밖을 바라본 지 5분, 10분…. 비행기는 천천히 활주로 위를 달릴 뿐입니다. 비행기에 무슨 문제라도 생긴 걸까요?2009년 기준으로 약 20억 명이 매년 공항 ... ...
- Part 2. 위상적인 미래를 엿보다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최적화된 이미지는 균형이 맞는 아름다운 상태라 생각한 것이다. 김 교수는 “예술에 공학 기술과 ‘음양의 조화’라는 동양의 철학을 넣어 변분미술을 만들었다” 고 설명했다.미래에는?김 교수는 “우리나라에서도 지금까지 세상에 없던 새로운 예술 장르를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걸 보여주고 ... ...
- [인터뷰] “수학적인 사고가 제 삶의 밑천이에요!”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되면서 대학 진학을 앞두고 부모님과 갈등을 겪었어요.부모님 뜻대로 서강대 컴퓨터공학과에 진학했지만, 고등학생 때와 비슷한 삶이 반복되면서 답답했어요. 그래서 학교를 그만 두고 조금 더 준비해서 미국 펜실베니아주립대에 지원했어요. 사실 음악에 대한 꿈을 접을 수가 없어 뮤지션이 ... ...
- [News & Issue] 최순실 PC, 어디까지 알아낼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최근 박근혜 대통령의 비선실세 최순실 씨가 각종 국정에 개입했다는 ‘최순실 게이트’로 대한민국이 떠들썩하다. 지난 10월 24일 JTBC가 최초로 공개한 최 씨의 태블릿 PC는 박 대통령이 취임한 2013년 신년사부터 대북원칙이 담긴 2014년 독일 드레스덴 공대 연설문 등 외교 및 안보에 중요한 자료가 ... ...
- [News & Issue] 대통령 담화문에서 배우는 올바른 사과 비법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더랩에이치 대표는 커뮤니케이션 전문가로, KAIST 문화기술대학원에서 정재승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의 지도로 공개사과와 인지적 영향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는 최근 실험참가자 40명의 뇌를 fMRI(기능적자 기공명영상)로 촬영하면서 책임을 인정하거나 부정하는 공개 사과문을 읽게 ... ...
- [Knowledge] 최고를 향해 달리는 기술, 슈퍼카 사이언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부르며, 2000년대 들어서는 일반 자동차에도 널리 쓰이고 있다. 조용석 국민대 자동차공학과 교수는 “배기량이 5000cc인 자연흡기방식의 GDI(가솔린 직접 분사) 엔진과 배기량 3300cc인 터보 GDI 엔진이 내는 토크(회전력)가 거의 같다”며 “터보엔진은 항공기의 기술을 슈퍼카에 적용한 뒤 대량생산 ... ...
- [Tech & Fun] 디즈니 리서치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빅 히어로’의 주인공인 로봇 ‘베이맥스’가 대표적입니다. 디즈니 리서치의 로봇공학자들은 베이맥스의 뼈대와 말랑말랑한 피부, 관절까지 실제로 제작하고 있습니다. 요즘 유행하는 소프트 로봇 기술입니다. 지난 10월에는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전선 없이 다리 하나로 팔짝 팔짝 뛰는 ... ...
- [Career] 나노물질과 인체의 ‘궁합’ 봅니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이들 재료가 인체에 무해한지 확인하는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인수일 DGIST 에너지시스템공학 전공 교수와 김은주 나노에너지융합연구부 책임연구원, 김정희 연구원팀의 공동연구는 이런 문제의식에서 시작됐다.“인 교수님과는 다른 연구를 위한 미팅에서 처음 만났어요. 그 자리에서 ... ...
이전1851861871881891901911921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