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셈"(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 수학으로 보글보글~! 꽃미남 라면가게수학동아 l2012년 01호
- 붙이면 면발의 총 길이는 약 50m나 된다고. 너를 27명 붙여놓은 것보다 라면 한 개가 더 긴 셈이지. 우리나라 사람들이 1년동안 먹은 라면을 모두 이어 붙이면 1억 7000만 km 정도니, 라면으로 지구 4000바퀴는 너끈히 감는다니까! 차치수의 '라면 정복하기' 프로젝트❷라면을 분석하라! 라면이 ... ...
- 산타수송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4호
- 얼마 못 들어갈 것 같죠? 표면적이 넓어 생각보다 많이 들어간답니다. 날개가 연료탱크인 셈이죠. 이 곳 외에도 동체와 꼬리날개 여유 공간에도 연료탱크가 있어요. 비행기에 따라 연료가 8곳에나 나눠 들어가기도 해요.벼락 맞으면 추락하는 거 아냐?비행기는 정전기 방전장치가 있어 벼락(번개)을 ... ...
- 화학에 만화를 더하면 펑! 박동곤 교수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3호
- 짜 맞추어 갖가지 물건들을 만드는 것과 같아요. 이때 작은 레고 조각들은 원자인 셈이죠. 길죽한 레고, 동그란 레고처럼 서로 다른 다양한 레고 조각들이 결합해 다양한 모양을 만드는 거예요. 예를 들어 플라스틱은 탄소와 수소라는 원자들을 서로 길게 고리처럼 연결해 만들어요. 우리 몸도 탄소, ... ...
- 비상 ! 우주 쓰레기가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2호
- 우주 쓰레기까지는 추적하기 어렵기 때문에 실제 우주에 떠도는 쓰레기는 어마어마한 셈이다.우주 쓰레기는 어떻게 움직일까?우주 공간에는 수많은 우주 쓰레기가 있지만 모두 땅으로 떨어지는 것은 아니다. 각각의 쓰레기는 고유 궤도를 가지고 지구 주변을 돌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오랜 ... ...
- 법도 좋아 ! 만화는 더 좋아! 이영욱 변호사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1호
- 판단하는 일을 막고 논리적으로 생각할 수 있게 해 주죠. 생각의 기준을 만들어 주는 셈이에요. 그래서 법은 꼭 알아 둬야 한답니다. 하지만 굉장히 어려운 건 사실이에요. 혹시 법전이나 판결문을 본 적 있나요? 아마 용어부터 이해하기 어려울 거예요. 그래서 법과 만화는 찰떡궁합이에요. 꼭 알아야 ... ...
- 천 년의 기술, 인쇄로 푼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1호
- 만들 때 16년 동안 나무 1만 그루를 썼다면, 현재 그 100배가 넘는 나무를 매년 없애는 셈이다.이렇게 많은 나무들을 베지 않을 방법은 없을까? 단순히 폐지를 재활용한다고 되는 일이 아니다. 최근 나무 대신 종이를 만들 수 있는 다양한 대체 재료가 주목되고 있다. 과일에서 과즙을 짜고 남은 ... ...
- 내 아기는 소중하니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8호
- 죽을 확률이 40%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어요. 제 분비물이 우리 아가들에겐 훌륭한 약인 셈이지요.정말? 분비물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얘기해 줘.제 분비물 속에는 효소가 들어 있어요. 그 중에서도 동물들의 면역 체계에 흔히 존재하는 항생제 성분인 라이소자임이 풍부하지요. 라이소자임은 ... ...
- 알쏭달쏭, 달의 뒷면이 궁금해!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8호
- 결론이 나왔어요. 깊이 1m, 지름 10㎞의 범위로 치면 무려 38억ℓ에 달하는 물이 있는 셈이지요. 과학자들은 이 물이 달의 표면 아래에서 얼음 형태로 존재하고 있다고 추측하고 있어요. 정답 : X셋, 달의 크기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미국 스미스소니언 항공우주박물관의 토머스 워터스 박사는 달의 ... ...
- 장마 뒤에 물폭탄? 날씨가 수상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6호
- 것에 비해 남부 지역은 대부분 20㎜ 이상이었다. 강남지역에 훨씬 많은 양의 비가 내린 셈이다. 이것은 강북보다 강남의 대기가 더 불안정했기 때문이다. 대기가 불안정하면 두껍고 큰 구름이 만들어져 많은 양의 비가 내린다.폭우가 부른 산사태하층 제트기류 때문에 발생한 폭우는 서울 우면산과 ... ...
- 무더위는 가라! 한여름에 즐기는 스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5호
- 약 140톤의 얼음을 갈아서 뿌린다고 하니, 어마어마하지? 실내 스키장은 거대한 빙수인 셈이야. 넘어지는 기술부터 먼저!스키장에 왔으니 이젠 스키를 타 봐야겠지? 그런데 스키를 타는 방법보다 넘어지는 방법을 먼저 배워야 한다지 뭐야? 도대체 왜 넘어지는 방법부터 배워야 하는 걸까? 또 어떻게 ... ...
이전1871881891901911921931941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