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1973년 허버트 보이어 교수의 제한효소를 이용한 재조합DNA 실험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인간 인슐린이다. 올해는 생명공학(BT) 기술이 본격적으로 상업화 된 지 30주년이 되는
셈
이다.휴물린 개발의 역사는 10여 년을 거슬러 올라가는데 이 기간 동안 줄곧 관여해 온 과학자가 바로 미국 UC샌프란시스코의 허버트 보이어 교수다. 1973년 그의 연구팀과 미국 스탠퍼드대의 스탠리 코언 ... ...
학교생활기록부를 100배 더 알차게!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외 활동, 받은 장학금도 기록한다. 학생을 관찰한 3명의 담임교사가 쓴 추천서인
셈
이다. 다른 영역에 들어가지 못한 부분이 있다면 종합의견란을 최대한 활용해 넣자. 자료를 만들어 담임교사에게 제공한다. 특히 참가한 활동은 참가동기·활동내용·성과를 본인의 역할을 중심으로 작성하자. ... ...
[시사] 수학으로 보글보글~! 꽃미남 라면가게
수학동아
l
2012년 01호
붙이면 면발의 총 길이는 약 50m나 된다고. 너를 27명 붙여놓은 것보다 라면 한 개가 더 긴
셈
이지. 우리나라 사람들이 1년동안 먹은 라면을 모두 이어 붙이면 1억 7000만 km 정도니, 라면으로 지구 4000바퀴는 너끈히 감는다니까! 차치수의 '라면 정복하기' 프로젝트❷라면을 분석하라! 라면이 ... ...
Part 2. 시간 1000명에서 70억으로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명이 이 병 하나로 사망했다. 당시 인구가 약 20억 명이었으므로 지구 인구가 최대 5% 준
셈
이다(기존 연구 결과는 1%에 해당하는 2100만 명). 1348년부터 1420년 사이에 유럽에서 일어난 흑사병(페스트)은 유럽의 인구를 25~30%나 줄게 했다. 미국 인구조사국은 이 시기 전세계 인구는 4억 4300만 명에서 3억 500 ... ...
Part2. 2085 화성일보 '화성을 만드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화성인은 식물에서 대부분의 식량을 얻는다. 일부러는 아니지만 사실상 채식주의자가 된
셈
이다. 식량위기를 겪지 않고 지금까지 살 수 있었던 데는 식물학자와 생명공학자들의 공이 컸다. 정착 초기에는 수경재배로 안정적으로 식량을 공급해 줬고, 그 뒤에는 화성의 환경에 적합하게 식물을 ... ...
발 없는 트위터가 천 리 가는 이유
수학동아
l
2012년 01호
이외수가 리트윗 한다면, 겹치는 사람을 제외하더라도 적어도 150만 명에게 전달되는
셈
이다. 이런 방식으로 맺어진 관계는 주변에서 만날 수 없었던 사람들까지 연결시켜 줘 빠르게 정보가 전달되는 데 큰 역할을 한다.미국 노트르담대의 앨버트 라슬로 바라바시가 만든 수학적 모델에 따르면, ... ...
Part 4. 미래 100억 지구의 적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가까스로 100억을 넘을 예정이다.10년 사이에 인구에 대한 예측이 조금은 희망적으로 바뀐
셈
이다. 인구 증가 추세가 언제 그칠까.국제인구과학연구연맹 자문위원인 카트린 롤레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 연구원은 세계의 인구 동향을 다룬 저서 ‘세계의 인구’에서 “최근 인구학의 화두는 인구 ... ...
신의 입자 힉스, 눈 앞에 다가오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예측대로 완성된다. 오랜 세월 동안 수 많은 지성이 함께 다듬어 온 지식의 승리인
셈
이다. 입자 물리학 용어만 들어도 어려워하는 일반인들에게는 과학자들이 우리가 사는 세상을 올바르게 설명하고 있다고 신뢰할 수 있는 증거가 된다.마지막 퍼즐을 찾아 표준모형을 완성해도 숙제는 남는다. ... ...
세상에서 가장 둥근 게 뭐지?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9×1017kg/m3 정도로 원자핵의 밀도인 3×1017kg/m3와 비슷하다. 즉 중성자별은 거대한 원자핵인
셈
이다.중성자별 표면의 중력은 지구에 비해 무려 2000억 배나 높다. 이렇게 강력한 중력은 조금이라도 튀어나오거나 들어간 곳을 가만 놔두지 못한다. 중성자별에서 가장 높은 산이라고 해봐야 높이가 고작 ... ...
물고기, 뚜벅뚜벅 걷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네 다리로 땅에 첫 발을 딛기 전에 물고기는 이미 육지에서 살 수 있는 과정을 끝낸
셈
이다. 연구 결과는 지난해 12월 12일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됐다 ... ...
이전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