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물고기, 뚜벅뚜벅 걷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네 다리로 땅에 첫 발을 딛기 전에 물고기는 이미 육지에서 살 수 있는 과정을 끝낸
셈
이다. 연구 결과는 지난해 12월 12일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됐다 ... ...
신의 입자 힉스, 눈 앞에 다가오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예측대로 완성된다. 오랜 세월 동안 수 많은 지성이 함께 다듬어 온 지식의 승리인
셈
이다. 입자 물리학 용어만 들어도 어려워하는 일반인들에게는 과학자들이 우리가 사는 세상을 올바르게 설명하고 있다고 신뢰할 수 있는 증거가 된다.마지막 퍼즐을 찾아 표준모형을 완성해도 숙제는 남는다. ... ...
“지금 안 막으면 사방이 가시박 천지가 됩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종자를 받아왔다. 채집을 간 날이 총 3880일에 이른다. 1년에 평균 139일을 산과 들을 누빈
셈
이다.“1989년 경기도 포천의 한 숲에서 가시박을 처음 발견했습니다. 이듬해 가 보니 더 많이 보이더군요. 처음 본 식물이라 씨앗을 받았죠.”[우리나라 생태계를 파괴하고 있는 대표적인 덩굴식물인 가시박 ... ...
며느리도 모르는 장맛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복원한 거예요.”와~, 곰팡이 덕분에 격동의 세월을 지나 50년 만에 전통을 부활시킨
셈
이네요. 곰팡이만 잘 보관해도 우리 전통과 맛을 보존할 수 있다는 얘기군요!“네, 메주를 집에서 빚어 장을 담그던 세대가 사라지기 전에 메주곰팡이들을 모두 찾아 우리 장맛을 지키고 싶어요. 옛날에는 ... ...
1973년 허버트 보이어 교수의 제한효소를 이용한 재조합DNA 실험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인간 인슐린이다. 올해는 생명공학(BT) 기술이 본격적으로 상업화 된 지 30주년이 되는
셈
이다.휴물린 개발의 역사는 10여 년을 거슬러 올라가는데 이 기간 동안 줄곧 관여해 온 과학자가 바로 미국 UC샌프란시스코의 허버트 보이어 교수다. 1973년 그의 연구팀과 미국 스탠퍼드대의 스탠리 코언 ... ...
발 없는 트위터가 천 리 가는 이유
수학동아
l
2012년 01호
이외수가 리트윗 한다면, 겹치는 사람을 제외하더라도 적어도 150만 명에게 전달되는
셈
이다. 이런 방식으로 맺어진 관계는 주변에서 만날 수 없었던 사람들까지 연결시켜 줘 빠르게 정보가 전달되는 데 큰 역할을 한다.미국 노트르담대의 앨버트 라슬로 바라바시가 만든 수학적 모델에 따르면, ... ...
당구치는 법만 알면 빈집도 턴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열쇠는 8개가 된다. 핀의 수가 늘어날수록 그 자물쇠를 열 수 있는 열쇠가 많아지는
셈
이다. 마스터 열쇠는 자물쇠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쉬어 라인에 맞춘 열쇠다. 자물쇠마다 수십 가지의 쉬어 라인을 갖고 있으니 그 중 공통적으로 가진 라인 하나를 찾는 것은 어렵지 않다. 실제 호텔에서는 ... ...
[시사] 수학으로 보글보글~! 꽃미남 라면가게
수학동아
l
2012년 01호
붙이면 면발의 총 길이는 약 50m나 된다고. 너를 27명 붙여놓은 것보다 라면 한 개가 더 긴
셈
이지. 우리나라 사람들이 1년동안 먹은 라면을 모두 이어 붙이면 1억 7000만 km 정도니, 라면으로 지구 4000바퀴는 너끈히 감는다니까! 차치수의 '라면 정복하기' 프로젝트❷라면을 분석하라! 라면이 ... ...
Part 4. 미래 100억 지구의 적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가까스로 100억을 넘을 예정이다.10년 사이에 인구에 대한 예측이 조금은 희망적으로 바뀐
셈
이다. 인구 증가 추세가 언제 그칠까.국제인구과학연구연맹 자문위원인 카트린 롤레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 연구원은 세계의 인구 동향을 다룬 저서 ‘세계의 인구’에서 “최근 인구학의 화두는 인구 ... ...
Part2. 2085 화성일보 '화성을 만드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화성인은 식물에서 대부분의 식량을 얻는다. 일부러는 아니지만 사실상 채식주의자가 된
셈
이다. 식량위기를 겪지 않고 지금까지 살 수 있었던 데는 식물학자와 생명공학자들의 공이 컸다. 정착 초기에는 수경재배로 안정적으로 식량을 공급해 줬고, 그 뒤에는 화성의 환경에 적합하게 식물을 ... ...
이전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