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다속
강바닥
물밑
여울
뉴스
"
해저
"(으)로 총 439건 검색되었습니다.
[주말N수학] 수학으로 영화 속 비밀 푼다
수학동아
l
2021.05.15
영민하다는 원래 수학에 관심 많지 않았다. 초등학생 시절 ‘삼국지(이문열 저)’, ‘
해저
2만리(쥘 베른 저)’ 등 소설을 즐겨 읽고 글 쓰는 걸 좋아한 그는 막연히 국어교육학과 진학을 생각했지만 중고등학교 때 수학의 매력에 푹 빠졌고 대학도 수학과에 진학했다. 현재 수학적 사고를 바탕으로 ... ...
“日 후쿠시마 오염수,
해저
배관으로 1km 앞바다 방류 검토”
동아사이언스
l
2021.05.11
이런 내용을 설명한 뒤
해저
시추를 통한 조사를 진행할 방침이다. 또 도쿄전력은
해저
방출 외에 다른 방안으로 후쿠시마 원전 인근 앞바다에 방류하는 안도 검토 중이라고 산케이신문은 전했다. 도쿄전력은 원전 부지 내 탱크에 저장된 방사능 오염수를 다핵종제거설비(ALPS)를 이용해 정화한 뒤 ... ...
지진보다 빠른 스마트폰 경보 네트워크 뜬다…구글 뉴질랜드·그리스에 시범도입
동아사이언스
l
2021.05.10
않은 지역에서 발생한 지진에 대한 경보 시스템을 어떻게 작동시키느냐가 관건이다. 또
해저
에서 발생하는 지진으로 인한 지진해일(쓰나미) 경보에도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도 있다. 뉴질랜드의 지진학자 캐롤린 프랑스와-홀덴(Caroline Francois-Holden)은 “모든 지진 경보시스템은 쓰나미 경보를 염두에 ... ...
상어도 바다거북처럼 지구 자기장 'GPS'로 활용해 장거리 이동
연합뉴스
l
2021.05.07
가든 GPS를 활용하는 세계에서 이런 능력은 정말로 놀랍다"고 했다. 연구팀은 앞으로
해저
케이블 등과 같은 인공물에서 나오는 자기장이 상어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장거리 이동이 아닌 일상적 이동에서도 자기장 신호를 활용하는지를 규명하는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 ...
'남해 동물플랑크톤 얼마나 사나'…연구선 활용과제 14건 선정
연합뉴스
l
2021.05.02
│ │4 │동해 울릉분지
해저
퇴적물 유용 점토광물│동해│ 6일(온누리호)│ │ │ │자원의 분포 및 산업활용 가능성 조사연 │ │ │ │ │ │구(부산대 양기호) │ │ │ │ ├─┼───────────────────┼──┼───────┤ │ │5 │북동 태평양 심해 퇴적환경 변동성 ... ...
2024년 한국형 양자컴퓨터 첫 선…대덕특구 '또다른 50년' 청사진 그린다
2021.04.30
현장수요 연계형 공통활용기술을 개발하고 인력을 양성하는 등 지원을 체계화한다.
해저
자원광물 조사 및 탐사는 물리탐사연구선을 2023년까지 구축하고 공동활용 방안을 마련한다. 신규폐자원 재활용 분야도 부처 연계와 협업이 강화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 범부처 이어달리기 6개 ... ...
남극 바다 수심 2000m
해저
에서 발견된 대형 화살벌레
동아사이언스
l
2021.04.21
크기는 2cm 정도로 작다. 극지연 제공 박 책임연구원은 “거미 불가사리의 경우에도 보통
해저
면 퇴적물에 사는 생물인데, 이번 경우 현무암이 직접 노출된 심해 해령에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매우 흥미로운 현상”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여러 대의 고프로가 달린 심해 영상 촬영 ... ...
미일 정부는 오염수 방류 옹호했지만…미일 과학자들 "해양 오염" 경고
동아사이언스
l
2021.04.14
제기는 일본 과학계에서도 나온다. 오토사카 시게요시 도쿄대 대기해양연구소 교수 역시
해저
퇴적물에 방사성 물질이 축적되면 해양 생물들이 이를 섭취할 수 있다고 염려하면서 일본 정부가 오염수에서 방사성 물질을 제거하는 시설인 다핵종제거설비(ALPS)의 효과를 의심했다. 오토사카 교수는 ... ...
다이아몬드 속 철 동위원소가 밝혀준 700㎞ 밑 맨틀의 비밀
연합뉴스
l
2021.04.01
수도 있다는 점을 나타내는 것이다. 다이아몬드 내포물의 철 동위원소 비율은 대신
해저
지각판의 감람석이 사문석으로 바뀔 때 형성되는 철이 풍부한 광물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나, 사문석이 다이아몬드가 결정화하는 수백킬로미터 지하의 맨틀 전이대까지 섭입된 것으로 분석됐다. 논문 공동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제2의 미토콘드리아 찾았나
2021.03.23
맡은 역할이 무산소 호흡일까. 미토콘드리아의 퇴화 산소가 희박한
해저
에서 질산염 호흡을 하는 유공충을 보고한 2018년 논문에서 제안한 메커니즘이다. 운반단백질(Nrt)을 통해 들어온 질산염이온(NO3-)은 액포(V)를 거쳐 미토콘드리아(MT)로 들어가 일련의 효소 작용으로 고에너지 전자를 받으며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