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다속
강바닥
물밑
여울
뉴스
"
해저
"(으)로 총 439건 검색되었습니다.
부산 앞 대륙붕서 최대 깊이의 온전한
해저
지질 샘플 확보
동아사이언스
l
2021.10.12
않은 상황”이라며 “이번 시추의 성공으로
해저
단층의 발생 시기는 물론 향후
해저
지진 발생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연구 자료를 확보했다”고 말했다 ... ...
[과학게시판] KAIST-포스텍, 제2회 사이버 이공계 학생교류전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9.25
KAIST 제공 ■KAIST는 24~25일 포스텍과 함께 ‘제2회 사이버 이공계 학생교류전’ 개최한다고 24일 밝혔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 ... 남극장보고과학기지와 동시에 성층권 오존 농도를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 동시베리아해
해저
퇴적물로부터 메탄가스가 흘러나오는 모습도 포착했다 ... ...
배터리 원료 부족, 심해 5000m
해저
채굴로 해결할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9.17
ISA는 조만간
해저
채굴에 대한 규약을 정해 발표할 예정이다. 메탈스컴퍼니는 드론과
해저
센서를 활용해 단괴 채취를 실시간 관찰해 얻은 데이터를 ISA 등 규제지관에 전달한다는 방침이다. 세스키 CFO는 “생물체에 예상치 못한 영향이 발생하면 계획을 변경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당신의 이야기에 집중하면 심장이 반응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17
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4종류의 실험을 연속으로 진행했다. 먼저 실험 참가자에게 ‘
해저
2만리’를 오디오북으로 들려주고 심전도를 측정한 결과 이야기에서 일어난 사건에 따라 심박수가 동기화됐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감정 변화가 크지 않은 짧은 교육용 비디오를 보여준 뒤 재차 보여주면서 ... ...
IAEA “후쿠시마 오염수 조사 국제조사단 11명에 한국, 중국 전문가 포함”
동아사이언스
l
2021.09.10
일본을 방문해 국제조사단의 조사 결과를 발표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일본 정부는
해저
배관을 통해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를 흘려보낸 뒤 해안가에서 1km 떨어진 바다에 방류할 방침이다. 후쿠시마 원전 운영사인 도쿄전력은 내년 연말이면 오염수 저장 탱크가 포화상태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 ...
허베이스피릿호 사고가 준 교훈…시시각각 바뀌는 한반도 바다 환경 예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10
정보는 가국간 공유가 활발한 반면 해양 정보는 그렇지 않은 편이다. 예측에 필요한
해저
지형도와 같은 정보 가운데 상당수가 국가기밀로 관리되기 때문이다. 미국만 해도 미 해군이 미국해양대기청(NOAA)보다 자료가 더 많고 예측 능력도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해양예측시스템도 현재 ... ...
일 후쿠시마 오염수 연안방류 대신 원전서 1㎞ 떨어진 원거리 방류 선택
동아사이언스
l
2021.08.25
6호기 배수구를 이용해 방출하는 방식이다. 원거리 방류는 5호기 앞바다의 암반을 뚫어
해저
터널을 건설한 후 해변에서 1km 떨어진 지점에서 방출하는 방식이다.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도쿄전력은 먼바다에 방출하는 쪽이 희석한 오염수의 확산을 촉진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 ...
공룡 대멸종 때 동식물 75% 사라졌지만 상어는 큰 피해 안 봐
연합뉴스
l
2021.08.11
연구팀은 지난 6월 상어 피부의 미세한 돌기인 '비늘' 미(微) 화석이 쌓인 태평양 심
해저
의 퇴적물 분석을 통해 같은 맥락의 연구결과를 '사이언스'(Science)를 통해 발표했다. 연구팀은 상어가 지금보다 10배 이상 많았지만 약 1천900만년 전 70%가 급감한 것으로 분석하면서, 공룡대멸종 때의 두 배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비너스의 꽃바구니'로 불리는 해면 이야기
2021.08.03
꽃바구니 골격의 그물망이 유속의 변동을 억제하고 항력을 줄였다. 비너스의 꽃바구니가
해저
에서 물의 흐름에 휩쓸려 넘어지지 않고 버티는 이유다. 한편 나선을 그리는 돌출물을 더하자 원통 내부 공간에 천천히 흐르는 와류(소용돌이)가 생겨났다. 그 결과 부유물 섭식이 쉬워졌고 번식도 ... ...
"토성 위성 엔켈라두스서 메탄 다량 분출…미생물 존재 가능성"
연합뉴스
l
2021.07.07
다른 과정들과 잘 일치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지구에서 열수 활동은 차가운 바닷물이
해저
로 스며들어 땅속 마그마 가까이 지나면서 가열돼 열수구로 분출될 때 일어난다. 메탄은 주로 수소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미생물이 이산화탄소를 빨아들여 메탄으로 바꾸는 과정에서 만들어진다.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