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어린이과학동아
"
표면
"(으)로 총 504건 검색되었습니다.
눈의 대한 정보
기사
l
20220120
눈의 대한 궁금증 Q눈은 어떻게 만들어 질까요? 낮은 온도에서도 얼지 않는 과냉 ... ...
(뜰팁X쿠키런) 휴먼쿠키 10화: 용감한 쿠키, 김유한
포스팅
l
20220115
35022 "용감한 쿠키!!! 김유하안!!! 흐으으..." 명량한 쿠키가 오열을 하며 그의 이름을 불러 보았다. 그녀 아래에 쓰러진 휴대폰의
표면
에는 이슬이 투툭 떨어졌다. - "..." 블루파이맛 쿠키도 그 소식에 충격적인 것은 별반 다를 것이 없었다. 그녀는 딸기맛 쿠키의 휴대폰 매시지를 받고 짧은 답장이라도 하지 못 한 채, 휴대 ...
엄마 뭐라고요? 콜라 마시고 양치하면 안돼요??
기사
l
20220114
마시고 바로 양치를 하면 안돼는 이유는 바로 탄산음료를 마시면 치아
표면
이 약해지기 때문입니다!! 바로 양치를 하면 치아
표면
이 약햐진 상태라 치아가 상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 음료를 마신 30분 후에 양치를 하셔야 합니다! (출처: 바이엘라 블로그) 혹시 그래도 너무나 걱정되어 양치가 하고싶다!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은 이렇게 하시 ...
충치는 왜 생길까?
기사
l
20220111
충치균이 살고 있는데, 단 음식이 입안으로 들어오면 충치균은 당분을 분해해 젖산을 만들어냅니다. 산성 물질인 젖산은 단단
표면
인 법랑질을 녹여 충치가 생기게 됩니다. 충치가 상아질과 신경까지 퍼지면 시린 통증을 느끼게 되지요. 충치를 한 번이라도 겪어보신 분들은 아실 겁니다. 충치의 예방을 위해서는 하루 3번 식후 3분 이내, 3분 이상 양 ...
(뜰팁X쿠키런) 휴먼쿠키 09화: 난파
포스팅
l
20220108
"용감한 쿠키!!! 김유하안!!! 흐으으..." 명량한 쿠키가 오열을 하며 그의 이름을 불러 보았다. 그녀 아래에 쓰러진 휴대폰의
표면
에는 이슬이 투툭 떨어졌다. ======= 행복햇살(하까): 흐어어ㅓ어어ㅓ어어ㅓ엉어ㅓ어어ㅓ어어ㅓㅇ어어어어어어어ㅓ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용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
코로나19 백신에도 두가지 종류가 있다고?!
기사
l
20220102
바이러스와 싸우기 위해 하는 일 입니다. 이 험난한 과정이 끝나면, 우리 몸은 나중에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들어왔을때 바이러스
표면
의 단백질을 인식 하고 우리 몸을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겁니다. 백신 접종 후 몇 일간 아프고 힘든 이유는 위의 그 험난한 과정을 치르고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 과정이 끝나면 우리 몸을 보호하는 방법을 ...
과천과학관 과학탐구관 사전 체험기 (28일 재개관!)
기사
l
20211228
외에도 여러가지 재미있는 전시 체험물들이 많으니까 과천 과학관에 방학 동안 놀러오면 좋을 것 같습니다. 1) 소용돌이:
표면
장력 2) 서서 도는 바퀴: 돌림힘 3) 무지개 다리: 아치, 힘의 분산 4) 굴절률 5) 중력 가속도 ... ...
한가온 기자와 했던 삼행시와 좋아하는 과목 투표 결과
포스팅
l
20211228
수학은... 어... 0표일 줄 알았는데 과학보다 인기가 많았습니다!! 사회는 취향마다 다르겠지만 3표를 받았네요!! 과학은... 수학이 1
표면
과학은 1,2표는 나올 줄 알았는데 아니었네용... 음악은 1표! 저도 요즘 칼림바를 리코더 대체용으로 써서(코로나!!! 때문에) 음악도 재미있는데.. 1표네요!! 역시 체육은 5표나 받 ...
오미크론 변이가 나타났다!!
기사
l
20211129
코로나 바이러스는
표면
의 뾰족한 형태의 스파이크 단백질을 통해 체내에 침투하게 됩니다. 그런데 코로나 바이러스 새 변이의
표면
은 스파이크 단백질 돌연변이를 32개 갖고 있습니다. 즉 확산력이 높은 기존 델타 변의 의 16개 보다 두 배나 많은 겁니다. 스파이크 단백질은 바이러스가 사람 세포로 침입할 때 사용되는데 스파이크 단백질 ...
날달걀을 먹으면 목소리가 좋아질까?
기사
l
20211126
보관 기관이 짧아지고 신선도가 떨어지기 떄문에 대부분 1차 저온 살균과 간단한 세척만 거친 다음 유통되죠. 따라서 날달걀의 껍질
표면
에는 박테리아 세균이 살아 있을 가능성이 높답니다. 달걀에 붙어 있는 대표적인 세균은 살모넬라균인데 닭 등의 분변에서 주로 배출되어 실온에서 길게는 수년 영하 60~100도에서는 사나흘 생존해 식중독을 불러 일으키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