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손실"(으)로 총 813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다윈의 특별한 어려움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수 있다고 주장했다. 어떤 일개미가 번식을 포기한 채 군락을 지키다 장렬히 전사하는 손실을 본다 해도, 가까운 피붙이들이 덕분에 안전하게 번식한다는 크나큰 이득으로 덮을 수 있다. 먹이를 물어 오는 일개미, 새끼를 돌보는 일개미도 마찬가지다. 한마디로, 식구들 간에 업무 분담이 전혀 돼 ... ...
- Part 4. 그들은 더 완벽한 우주이론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충돌한 에너지와 같아야 한다. 그런데 만약 반복되는 충돌에서 계속 일정한 에너지 손실이 나타난다면? 이는 검출기가 포착할 수 없는 입자가 생성됐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암흑물질일 수 있는 것이다.LHC의 검출기 중 하나인 시엠에스(CMS)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한국 연구팀 대표인 ... ...
- ‘지옥의 실험실’ 피할 방법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있지 않다. 보고서는 “정보부족은 학생들에게 불만족과 불필요한 경제적․시간적 손실을 일으킨다”면서 “대학이라는 학문 공동체와 사회에도 문제가 되므로 시급히 개선돼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현재 일부 대학과 일부 학과에서 실시하고 있는 랩 로테이션(연구실을 돌아가며 체험하는 제도 ... ...
- PART 3. 생리의학상 자연에서 찾은 기생충 특효약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회선사상충 때문에 사람들이 강가를 피해 황무지로 이주하며 큰 경제적 손실을 입기도 했다.오무라 교수가 아버멕틴을 처음 발견한 것도 1970년대였다. 토양 미생물에서 항균성분을 찾던 오무라 교수는 특히 ‘스트렙토미세스 속(Streptomyces)’에 관심이 많았다. 스트렙토미세스 속은 ... ...
- [Hot Issue] 화성에 WI-FI만 터졌더라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보관한다. 다음 위성까지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그제야 내보낸다. 중간에 정보 손실이 생겨도 지구에서부터 다시 정보를 보낼 필요가 없다. 바로 직전 위성에서 재전송하면 된다.지연허용망은 원래 히말라야나 아마존, 알프스 산 맥 같은 지구의 오지에서 사용할 목적으로 연구하던 방법이다. ... ...
- [Hot Issue] 풍력발전기에 날개가 사라졌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풀리면 다시 전기를 이용해 모터를 감는다. 이 때 연이 풀린 경로 그대로 감으면 에너지 손실 때문에 생산량 이상의 전기가 필요하다. 카이트젠사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냈다. 연의 한쪽 끈은 풀고 한쪽 끈을 당겨 연을 바람과 수평한 방향으로 돌리는 것이다. 훨씬 적은 전기로 연을 하강시킬 수 있다. ... ...
- [Hot Issue] 떠오르는 사물인터넷?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보안이 뚫리면 어떤 일이 일어나기에 18조 원에 달하는 경제적 손실을 전망하는 걸까. 사물인터넷이 해킹 당한 사례를 가상으로 상상해봤다. 놀랍게도 둘 중 하나는 실제로 일어났던 일이다. 한번 맞춰보자.미국 텍사스주에서는 2009년, 2012년 두 차례나 교통표시판의 센서가 해킹을 당했던 사례가 ... ...
- [Life & Tech] 무선으로 충전하는 ‘와이파워 시대’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이 자기장이 수신코일에 전류를 일으키는 원리다. 이 방식은 전력 손실이 적어 전송효율이 90%(이론적)에 이르는 반면, 전송거리가 1cm 내외로 매우 짧다는 단점이 있다.이 단점을 극복한 것이 자기공명방식이다. 자기공명방식은 2007년 미국 MIT 마린 솔랴사치 교수팀이 고안한 ... ...
- 청개구리가 비만 오면 노래하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저장할 수 있는 수분의 양이 적어요. 즉, 비올 때만 노래하는 것은 조금이라도 수분 손실을 줄이기 위한 청개구리의 생존 방식인 셈이에요.사실 동물이 노래하는 것은 에너지만 놓고 보면 굉장히 비효율적인 행동이에요. 소리를 만들 때 쓰는 운동 에너지가 소리 에너지로 전환되는 비율은 3%도 안 ... ...
- 마지막 한 방울의 케첩까지 쏙~!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교수는 “이번 연구가 풀, 케첩에 그치지 않고 석유 탱크나 배관에도 활용된다면 손실을 많이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답니다.*모세관 현상 : 아주 가는 관이 있을 때, 액체-액체가 달라붙는 힘과 액체-관이 달라붙는 힘 때문에 액체가 가는 관으로 빨려 들어가는 현상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