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쪽"(으)로 총 6,767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간과 바이러스 ‘공존’가능할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퍼져 나갑니다. 게릴라처럼요. 그런데 드물게, 바이러스가 세포에 오래 머무는 쪽으로 유전자 발현을 바꿀 때가 있습니다. 재미있는 사실은 이때 숙주세포도 물질대사와 관련된 유전자 발현을 바꾼다는 점이죠. 전 이걸 ‘세포와 바이러스의 협상’이라고 부릅니다.”숙주세포와 바이러스는 유전자 ... ...
- 폐허 위에서 품은 희망 네팔 지진 현장을 가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목격한 다라하라 타워는 가장 아랫부분만 남은 채로 비닐에 덮인 처참한 모습이었다(왼쪽 사진). 다라하라 타워에서 차로 10분 정도 떨어진 하누만도카 더르바르 광장에 있는 궁전 역시 마찬가지였다. 11세기에 건축된 뒤 약 1000년의 세월 동안 네팔 역사의 중심에 서 있었던 이 궁전도 곳곳이 무너져 ... ...
- 빛을 멈추게 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번 더 응용한다. EIT에 사용되는 루비듐은 에너지 준위가 세 개인 3준위 원자계 물질이다(87쪽 3 참조). 3준위 원자계는 두 개의 바닥 준위와 한 개의 들뜬 준위가 있다. 일반적인 루비듐은 780nm 파장의 빛에 광자를 흡수하고, 이때 얻은 에너지로 전자가 1번 준위에서 2번 준위로 이동한 뒤 다시 1번 ... ...
- [Knowledge] 꿈틀대는 강속구의 비밀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좌우로도 공이 움직이게 된다. 오른손 투수가 오른손 타자를 상대로 싱커를 던졌을 때 몸쪽으로 날카롭게 파고드는 장면을 떠올리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만약 언더핸드나 사이드암 투수가 직구를 던진다면 어떻게 될까. 이들은 우완 정통파 투수처럼 직구를 던지더라도 팔의 방향 때문에 회전축이 ... ...
- 내가 칩인가, 칩이 나인가 휴먼 온어 칩(Human on a chip)!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콜라겐이나 해조류에 들어 있는 알기네이트로 하이드로젤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한쪽에서는 뇌 신경세포와 같이, 연결부위가 엄청나게 복잡한 장기를 칩 위에 구현하려는 시도도 하고 있다. ‘브레인(뇌) 온어 칩’이 많은 사람들이 두려워하는 알츠하이머의 치료제 개발을 앞당길 수 있기 ... ...
- 인류의 시작부터 함께 한 학문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마지막으로 에너지자원공학과에 잘 맞을 것 같은 학생은 어떤 학생인가요?정은혜 이쪽 분야에 있다 보면 해외에 나갈 일이 많아요. 우리나라가 자원이 풍부한 나라는 아니니까, 이곳 저곳 나갈 기회가 많아요. 이런 점을 잘 인내할 수 있는 사람이 유리합니다. 또 자원공학이라는 게 불투명한 ... ...
- 호모 에렉투스, 요리의 비밀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20년 경력의 요리사 양지훈 셰프야. 그런데…, 한쪽은 요리의 과학적인 접근을, 다른 한쪽은 요리하는 사람의 마음을 강조하더군. 맛있는 요리 비결은 뭘까?요리하는 실험실, 모더니스트 퀴진모더니스트 퀴진은 미국 워싱턴에 있는 요리 연구소예요. 일명 ‘요리하는 실험실’이라고 불리지요. ... ...
- [지식] 헤이그 특사 이상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세상에 드러나게 된 것이다.우리나라 근대 수학의 선구자이상설이 쓴 는 총 130여 쪽으로 이뤄져 있다. 대부분 한자로 쓰여 있지만 비례, 방정, 기하원본 등 근대 수학의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책의 전반부는 당시 청나라에서 들어온 서양 수학을 집대성한 을, 후반부는 초보적인 ... ...
- [생활] 백제의 흔적을 찾아 나선 수학데이트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둘러싼 복도의 형태가 정사각형이 아닌 북쪽이 넓은 사다리꼴 모양의 평면입니다. 북쪽이 넓은 사다리꼴 모양인 이유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어서 조금 안타깝군요. 또 기존 백제 사찰의 목탑이 금당 앞 공간을 1/12 만큼 넓게 차지한 것과 비교해, 정림사는 석탑이 금당 앞공간을 1/100 만큼만 ... ...
- [지식 유레카의 순간] 전구 속 그을음에서 탄 생한 진공관수학동아 l2015년 10호
- 흐르지만, 금속판은 전자를 다시 내보낼 만큼 뜨겁지 않기 때문에 다시 필라멘트 쪽으로 전자를 흐르게 할 수 없었다. 에디슨 효과가 항상 직류만 만들어 낸 것도 이 때문이었다. 마침내 그는 1904년 진공관이라 부르는 새로운 발명품을 탄생시켰다.플레밍이 만든 진공관은 두 가지 획기적인 기능을 ... ...
이전184185186187188189190191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