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d라이브러리
"
인간
"(으)로 총 6,007건 검색되었습니다.
국가별 이산화탄소 배출량
과학동아
l
200805
올린 P L 카피차와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수상했다 현재의 컴퓨터를 발전시켜 궁극적으로
인간
과 같은 기능을 가진 기계를 만들려는 학문 로봇학이라고도 한다 사방정계(斜方晶系)에 속하는 광물이다 사각주상(四角柱狀) 또는 탁상(卓狀) 결정을 이루며 장석과 흡사하지만 광택이 강하고 기름기가 ... ...
3. 고품질 바이오석유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805
석유에서 발견되는 발암물질인 벤젠류의 화학물질과 유황이 없는 청정연료다.
인간
게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끌어서 유명해졌던 미국 크레이그 벤터 연구소(CVI)의 대표인 크레이그 벤터 회장도 미국 매릴랜드주 락랜드에 ‘신세틱 게노믹스’(Synthetic Genomics) 사를 창업하고 바이오연료를 ... ...
적신호 켜진 허리 건강
과학동아
l
200804
살아있을 땐 등뼈가 곧은 모양이지만 살을 다 발라내고 나면 등뼈가 흐물흐물해지듯이
인간
의 척추도 근육이 없으면 흐물흐물해진다. 이는 곧 근육이 강할수록 척추의 지지기능도 향상된다는 뜻이다. 하루에 15번씩 허리근육 운동을 꾸준히 따라하면 척추건강에 청신호가 켜질 것이다.1. 차렷 ... ...
part 1 못 볼 곳 없는 천리안
과학동아
l
200804
볼 수 없는
인간
시각의 한계는 군사용으로 사용되는 야간 투시경으로 극복할 수 있다.
인간
의 눈은 가시광선 영역의 파장만 볼 수 있어 가시광선이 적은 밤에는 앞을 잘 볼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적외선을 감지하는 카메라를 안경형 디스플레이에 장착하면 적외선을 볼 수 있다. 야간 투시경을 ... ...
epilogue 신체능력격차시대 올까
과학동아
l
200804
동안 과학은
인간
의 삶의 질을 높였다”며 “미래 50년은 과학이 더 빠른 속도로 발전해
인간
을 신체능력의 한계로부터 벗어나게 할지도 모른다”고 예측했다.2030년 바이오닉맨이 활보할 사회는 철이 모자처럼 굳이 안드로메다로 떠나지 않아도 지구에서 불로장생의 꿈을 이루는 일이 가능하지 ... ...
PART1 영원한 적도 동지도 없다
과학동아
l
200804
에이즈바이러스를 같이 넣자 에이즈바이러스가 제대로 증식하지 못했다.
인간
세포라는 삶의 터전을 두고 헤르페스바이러스가 에이즈바이러스와 경쟁을 해 우위를 점한 결과다.헤르페스바이러스는 박테리아 감염에서 숙주를 지켜준다는 연구결과도 나왔다. 리스테리아 같은 병원성 박테리아를 ... ...
별을 그대 가슴에 안겨주는 천문학 에세이
과학동아
l
200804
질문에 무척 당황한 적이 있었다. 아무리 생각해봐도 3 · 1정신, 새마을정신, 홍익
인간
정신, 충무정신, 어느 것 하나 나의 가슴을 진정으로 채우고 있지 않다는 사실에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하지만 나는 이제 자신 있게 대답한다. 우리는 하늘의 자손, 즉 ‘천손’이고 공통된 민족정신은 우주와 ... ...
part 4 암기에서 해방시켜주는 인공해마
과학동아
l
200804
예방할 수 있다.
인간
의 모든 행동과 사고를 담당하는 뇌를 업그레이드시키는 일은
인간
의 삶을 업그레이드시키는 것과 맞닿는 셈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2030 바이오닉맨 part 1 못 볼 곳 없는 천리안 part 2 원하는 소리만 골라 듣는 '소머즈'귀 part 3 천하무적 팔과 다리 part 4 암기에서 ... ...
밤하늘에서 한국 최초 우주인과 마주보다
과학동아
l
200804
수도 있다. 하지만 운이 더 좋으면 아주 천천히 하늘을 가로지르는 별을 볼 수 있다. 바로
인간
이 만든 별, 인공위성이다.지구 둘레에는 수없이 많은 인공위성이 있지만 맨눈으로 볼 수 있을 만큼 밝은 인공위성은 많지 않다. 하지만 인공위성 가운데 가장 큰 국제우주정거장(ISS)은 겉보기 밝기가 ... ...
세포 반란 잠재울 단백질 구조학
과학동아
l
200804
잠재울 수 있을 것이다. Interview 조윤제 단장단백질 설계도 그리는 과학계 ‘다빈치’
인간
의 17번 염색체에 위치한 p53 유전자는 종양억제유전자로 잘 알려져 있다. p53 유전자가 만드는 단백질과 아미노산의 합성물질은 DNA에 직접 결합할 수 있다. 이들은 세포의 생사여탈권도 쥐고 있어 건강하지 ... ...
이전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