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d라이브러리
"
인간
"(으)로 총 6,007건 검색되었습니다.
천년이 지나도 변치않는 마야블루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04
비의 신 ‘챠크’(Chaak)를 불렀다. 제단과 제물에 칠해진 파란색은 챠크를 상징하는 색.
인간
들의 정성에 감복한 챠크는 어김없이 비를 내렸다. 즉 우기가 시작된 것이다.1904년 고고학자들은 유카탄반도에 위치한 마야문명의 대유적지인 치첸이차(Chichen Itza)의 거대한 우물, 즉 ‘신성한 세노테’의 ... ...
NASA, 달 탐사용 로봇 차 2종 공개
과학동아
l
200804
뒤집힐 수 있기 때문이다.‘달 자원활용 프로젝트’의 책임자 빌 라르손은 “달에서
인간
이 살기 위해 필요한 물질을 지구에서 모두 가져가기엔 비용이 너무 많이 든다”며 “이번에 공개한 로봇 차량은 달의 자원을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는 첫 걸음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일본 최초 우주실험실 '키보'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804
성질에는 우리의 감각과는 무관하게 사물이 본래 지니고 있는 것(중량, 굳기 등)과
인간
의 감각에 기인하는 것이 있음을 지적했다 방위 분포가 혼란한 동종 미세결정 집합체에 의한 단색 X선의 회절상 데바이고리, 데바이 헐고리라고도 한다강한 전해질 용액에 관해 1923년에 P 데바이와 E 휘켈이 ... ...
part 3 천하무적 팔과 다리
과학동아
l
200804
키운 운동선수들이 ‘입는 로봇’이나 보철시술을 받고 경쟁하지 않을까. 강해지려는
인간
의 욕망이 있는 한 말이다.손끝 감(感) 살아나는 인조피부인조손인 ‘덱스트라’(Dextra)를 만든 미국 럿거스대 윌리엄 크라엘리우스 교수는 “피아노를 자유자재로 연주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 ...
PART2 장내 미생물, 받은 만큼 돌려준다
과학동아
l
200804
장내세균은 장이 소화시키지 못하는 영양분을 소화시킬 수 있는 물질로 전환시킴으로써
인간
의 장항상성 유지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작용들이 비만이나 당뇨병과 같은 질병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명확하고 구체적인 증거를 제시하지는 못했다.비만의 숨은 공범 ... ...
감금증후군에 걸린 남자
과학동아
l
200804
주인공이 앓는 감금증후군은 대뇌와 소뇌는 정상이고 뇌간의 일부가 손상된 상태로 식물
인간
과 정상인의 중간이라고 보면 된다.한 가지 옥에 티를 지적하자면 주인공의 치료법이다. 영화 중반 물리치료사가 수영장에서 보비를 안고 있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는 장애환자의 재활을 돕는 수중치료다. ... ...
투명 물고기 '캐스퍼' 탄생
과학동아
l
200803
제브라피시(사진)를 만들어 생명과학분야 국제저널인 ‘셀 스템셀’ 2월호에 발표했다.
인간
의 질병을 연구하는 데는 사람 대신 실험동물을 주로 사용한다. 보통 실험동물을 일부러 병에 걸리게 한 뒤 사체를 연구하는데, 암의 경우에는 암이 몸 속에서 어떻게 퍼져나가는지 관찰하는 일이 중요하다. ... ...
'경칩'에 움츠러든 개구리
과학동아
l
200803
반응하는 생물군으로 환경지표종으로도 취급되는 생물군이다. 건강한 생태계를 유지해
인간
을 포함한 모든 생명체가 유기적으로 살아가는 지구를 가꾸는 일은 우리 모두의 의무다 ... ...
PART2 플라스틱 공화국의 재활용 비법
과학동아
l
200803
Homo plasticus)로 플라스틱에 둘러싸여 끊임없이 플라스틱을 소비하며 사는
인간
을 뜻한다. 지난 2005년을 기준으로 전세계 플라스틱 생산량은 2억 3000만 톤을 돌파했고 오는 2010년에는 3억 400만 톤에 이를 전망이다.세계 4위의 플라스틱 생산국인 우리나라에서 한 해 동안 발생하는 플라스틱 쓰레기는 40 ... ...
분자를 '성형수술'합니다
과학동아
l
200803
같은 일반 금속 원자를 금(Au)으로 바꾸려 했다. 결국 실패로 끝났지만 신물질을 만들려는
인간
의 욕망은 사그라지지 않았다. KAIST 화학과 이희윤 교수는 “중세에 연금술사가 있었다면 현대는 유기합성과학자가 있다”며 “물질의 원자나 분자구조를 바꿔 새로운 물질로 바꾸는 연구가 활발하다”고 ... ...
이전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