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d라이브러리
"
인간
"(으)로 총 6,007건 검색되었습니다.
sos! 고래는 지금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8
고래를 제대로 알려면 고래가
인간
과 어떤 관계인지도 알아야 하지 않을까? 그래서 내가
인간
과 오랫동안 친하게 지냈던 고래 이야기를 들려 주려고 해.고래는 거대한 몸에서 쉽게 많은 원료를 얻을 수 있어서 오랜 옛날부터 요긴하게 쓰였단다. 사람들은 고래 기름으로 불을 밝히고 고래수염으로 ... ...
올림픽 기록 끌어올리는 스피도 'LZR 수영복'
과학동아
l
200807
바시트라신의 구성성분으로 함유되어 있으며 아스파라긴의 가수분해로 얻을 수 있다
인간
에게는 비필수아미노산이다 혈액 속에 들어 있는 산과 염기 중 산이 증가한 상태 혈액의 산성 · 알칼리성은 탄산에 의한 산성과 중탄산에 의한 알칼리성의 상대적인 농도 비율에 의해 좌우된다 따라서 ... ...
물 먹은 바오밥나무에서 해수욕 즐기는 펭귄까지
과학동아
l
200807
생활하기 때문에 열기와 난류가 흐르는 적도 부근을 넘을 수는 없기 때문이다. 만약
인간
의 힘으로 펭귄들을 북극으로 옮겨 놓는다면? 전문가들은 기후와 먹이가 펭귄에게 적합하기 때문에 얼마든지 잘 살아갈 수 있다고 예측한다. 사막에 웬 홍수?나미비아는 남아프리카공화국 바로 위에 붙어 ... ...
영혼을 잃고 헤매는 가엾은 육체의 광시곡 바디
과학동아
l
200807
걸어 무의식적인 기억을 되살려냈다는 소문을 듣는다. 무의식적인 기억이 가능할까.
인간
의 대뇌는 이성과 논리적 판단을 하는 전두엽, 감정과 기억에 관계된 측두엽, 운동과 감각 피질이 많은 두정엽, 시각피질이 밀집한 후두엽으로 나뉜다. 현재까지 알려진 연구결과에 따르면 기억은 뇌의 ... ...
1. 내 몸 지키는 식욕 호르몬
과학동아
l
200807
극복의 파트너그렐린은 식욕을 자극하는 ‘몹쓸’ 호르몬으로 오해하기 쉽지만 사실
인간
을 보호하는 ‘착한’ 호르몬이다. 몸은 체중이 늘어 에너지가 넘친다고 판단하면 그렐린의 분비를 줄여 음식 먹는 양을 줄인다. 반면 식욕이 없거나 체중이 줄 땐 혈중 그렐린 농도를 보통 때 보다 2배나 높여 ... ...
유방 흔들림 잡아줘 쿠퍼 인대 보호
과학동아
l
200807
생겼는지는 여전히 미스터리다. 다른 포유류는 새끼에게 젖을 먹일 때만 유방이 불지만,
인간
여성은 몸통에서 돌출된 반구형 모양을 항상 유지한다. 여성의 유방은 몸집이 훨씬 큰 고릴라나 오랑우탄의 젖가슴보다 크다.유방은 흉벽 위에 있는 대흉근과 소흉근이라는 근육 위에 붙어 있다. ... ...
여름방학과 여름휴가를 수학책과 함께
과학동아
l
200807
이해할 수 있게 안내한다. 컴퓨터 과학자로 인공지능 연구자이기도 한 저자는 이 책에서
인간
의 사고를 모방하는 컴퓨터와 인공지능의 미래도 전망하고 있다.★ 수학 걸유키 히로시 지음 | 김정환 옮김 | 동아일보사 | 1만 2000원“수학은 심장을 두근거리게 만드는 가슴 벅찬 게임”이라고 주장하는 ... ...
우리 집 뒷강에 물귀신이 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7
수압의 변화는 물론 미세한 소리의 진동을 느낀답니다. 이 두 기관으로 물고기는
인간
보다 더 미세한 음파를 들을 수 있어요.”닥터고글의 설명에 나소심 군은 물귀신을 만났을 때보다 더 놀랄 지경이다.“그럼 동자개 말고 다른 물고기들도 소리를 내고 소리를 느낄 수 있는 건가요?”“그럼요. ... ...
놀랄 때 눈 동그랗게 뜨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07
땐 코를 찡그릴까. 캐나다 토론토대 심리학과 아담 앤더슨 교수팀은 얼굴 표정이
인간
이나 동물이 살아남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가설을 ‘네이처 뉴로사이언스’ 6월 15일자에 발표했다.앤더스 교수팀은 컴퓨터를 이용해 공포, 메스꺼움, 행복, 슬픔과 같은 감정을 잘 드러낸 얼굴 표정(사진)을 ... ...
머리가 크다고 똑똑하진 않아
과학동아
l
200807
머리 크기는 상관없다는 사실이 밝혀졌다.영국 킬대 세스 그란트 교수팀은
인간
이 진화하면서 지능이 높아진 이유는 뇌가 커졌기 때문이 아니라 뇌의 신경세포 간 연결이 복잡해졌기 때문이라는 연구결과를 6월 10일 ‘네이처 뉴로사이언스’에 발표했다.연구팀은 단세포 생물인 효모, 곤충인 ... ...
이전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