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앞"(으)로 총 2,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그건 정말 나쁜 일일까? 2017.04.22
- 건 우리의 해석 여부에도 어느 정도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비슷한 흥분 상태일 때 앞에 매력적인 이성이 서있으면 ‘반했다’라고 해석하지만 무례한 사람이 있을 경우 ‘화났다’가 된다. 긴장의 경우도 ‘혹시 조금 신난건가?’라고 물어보는 것 만으로 살짝 신난 듯이 느껴지는 효과가 있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왜 어떤 사람들은 오이를 싫어할까?2017.04.18
- 회 나오기 전에 사람 수 대로 굴이 나오는데 필자가 양보하면 “이 좋은 걸 왜...”라며 앞사람이 넙죽 집어가곤 한다. 아마 많은 사람들이 이처럼 꺼리는 음식이 한두 가지는 있을 것이다. 그냥 맛이 없어 안 먹는 수준에서 오싫모의 어떤 사람들처럼 억지로 먹었다가 토하기도 하는 수준까지 폭은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살면서 가장 크게 후회하는 것은?2017.04.16
- 대한 생각을 많이 합니다. 결국 내가 인생을 통틀어서 가장 후회하는 순간들은 바로 내 앞에서 힘들어하고 있는 사람이 있을 때 충분히 따듯한 말을 건내주지 못했을 때, 친절에 실패했을 때입니다(failures of kindness).” 실제로 사람들이 어떨 때 후회를 하는지에 대한 연구를 한 학자들이 있다. 후회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수록 잠의 질이 떨어지는 이유2017.04.11
- 을 줘 서파의 비율을 높일 경우 숙면의 효과를 낸다는 연구결과를 소개하는 수준이다. 앞으로는 지금까지 기초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나이든 사람의 잠의 질을 높여주는 연구가 본격적으로 진행되기를 기대해본다. ‘잃어버린 밤에 대하여’에서는 ‘첫잠’과 ‘두 번째 잠’이라는 용어가 나온다. ... ...
- '랩온어디스크'로 질병 진단의 기초 세운다동아사이언스 l2017.04.05
- 박사(오른쪽)와 함께 엑소디스크를 개발했다. 조 그룹리더는 관심분야를 나열해 앞 글자를 딴 'FRUITS' 연구실을 운영 중이다. - UNIST 제공 MIT, 하버드대보다 가고 싶은 곳 만들고파 유학 생활을 마친 뒤 국내로 돌아와 삼성종합기술원 연구원으로 근무하며 조 그룹리더는 두 차례의 상용화 경험을 했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소발생 광합성 역사 불과 25억 년?2017.04.04
- 이번에 41종의 게놈을 분석한 결과 시아노박테리아 진화의 진면목이 밝혀진 것이다. 먼저 앞의 두 그룹에 속하지 않는 종들이 여럿 확인되면서 세리사이토크로마티아(sericytochromatia)라는 새로운 그룹이 더해졌다. 한편 세리사이토크로마티아에도 광합성관련 유전자가 없다. 그리고 세 그룹의 계통을 ... ...
- [표지로 읽는 과학] 지구가 뜨거워지면, 땅속탄소 배출량 늘어나동아사이언스 l2017.04.02
- ‘땅속 탄소 배출량’을 무시해서는 안된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힉스 프라이스는 “앞으로 토양의 온도에 따라 달라지는 식물의 생태 변화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DOI: 10.1126/science.aal131 ... ...
- 스스로를 비난하는 사람들, 어떻게 될까?2017.04.01
- 너그러울 줄 아는 경향을 보인다는 발견들이 있었다. 나를 파괴하지 않기 위해서,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 또 주변 사람들을 위해서라도 자신을 용서할 줄 아는 사람이 되어 보자. ※ 참고문헌 Abramson, L. Y., & Sackheim, H. A. (1977). A paradox in depression: Uncontrollability and self-blame. Psychological Bulletin, 84, 838-851.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또 다른 식욕억제호르몬 찾았다!2017.03.21
- 이어진다는 것이다. 한마디로 몸이 찬 사람은 살찔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다. 우리딘은 앞에 소개한 리포칼린2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너무나 잘 알려진 분자다. RNA의 네 염기 가운데 하나인 우라실(uracil)에 오탄당인 리보오스가 붙은 게 바로 우리딘이다(이런 구조를 뉴클레오시드(nucleoside)라고 ... ...
- 30대, 50대가 외로움을 더 느끼는 이유는 이것 때문!2017.03.19
- 젊었을 때는 괜찮은데 나이가 들면서 모든 게 안 좋아질 것이라던가 20대를 지나면 앞으로의 삶은 계속 아래로만 꺾이게 된다는 통념들에 대해 꼭 그렇지만은 않다는 발견은 흥미로워 보인다. (물론 모두에게 이런 패턴이 나타나는 건 아니겠지만) 개인적으로는 40대가 되면 더 정서적으로 안정될지도 ... ...
이전1811821831841851861871881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