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스페셜
"
인간
"(으)로 총 1,987건 검색되었습니다.
경쟁은 생명체의 숙명인가
2014.12.08
팍팍 받는 사람들은 (경제 측면에서) 삶의 질은 좀 떨어지겠지만 과감하게 벗어나
인간
의 존엄성을 지키며 살아가는 길을 모색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문득 든다. 남들이 어떻게 평가하든 난 소중하니까. ... ...
[기술이 바꾼 미래] 병든 도시를 건강한 도시로 바꾼 수세식 변기
KOITA
l
2014.12.08
브라마 수세식 변기’이다. 학자들은 그의 변기를 최초의 실용적인 화장실로 인정한다.
인간
의 주거 공간을 보다 쾌적하게 만들어 진정한 의미의 건강과 복지를 가져다준 사람이 브라마라는 것이다. 다른 많은 발명품의 경우처럼 브라마 역시 맨 처음 밸브식 변기의 아이디어를 낸 사람은 ... ...
뇌는 정말 신체적 고통과 정신적 고통을 구별하지 못할까?
2014.12.01
이해하는 데는 문제가 없다. 설사 거울뉴런이 언어활동에 관여하더라도 일부분일 뿐
인간
의 언어가 거울뉴런 덕분에 진화한 건 아니라는 말이다. 필자가 게을러 지난 9월 책을 사놓고 팽개쳐뒀다가 이번 에세이를 준비하며 부랴부랴 좀 읽은 게 전부라 제대로 평가할 수는 없지만, 학술지 ... ...
[기술이 바꾼 미래] 윌리엄 톰슨-대륙을 단일 공간으로 묶은 해저 케이블
동아사이언스
l
2014.11.24
달했다.톰슨의 재능은 이뿐만이 아니었다. 파스퇴르가 식품의 저온 살균법을 개발하여
인간
의 식음료 부분에서 획기적인 발전을 이룬 것처럼 톰슨은 고체 식품의 냉장 및 냉동처리법을 발견하여 실생활에 적용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이밖에도 특수 나침반, 밀물썰물 예보장치, 여러 도량형 ... ...
태양보다 150배 더 무거운 별이 있을까?
2014.11.17
기대한 건 아니지만 그래도 인터스텔라(intersteller), 즉 성간 공간의 그 막막한 느낌(
인간
의 지각으로는 사실한 무한의 공간)을 스크린으로나마 느껴볼 수 있겠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러나 영화에서는 지구를 떠난 우주선이 어느새 토성 부근에 도착하고 이곳에 있는 ‘웜홀’을 통해 다른 은하로 ... ...
세계에서 활약하는 한국의 과학기술자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1.05
공채를 통해 정교수가 되었다. 신경의학 분야에서는 김광수 미국 하버드대 교수가
인간
역분화 줄기세포를 이용한 해법으로 파킨슨병 등 퇴행성 질환 치료의 기틀을 마련했다. 조광욱 교수는 2011년 영국 왕립협회로부터 동양인 최초로 울프슨 연구업적상(Wolfson Research Merit Award)을 받았으며 현재 영국 ... ...
이제는 로봇도 '소셜' 기능 탑재하는 시대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0.29
대량생산용 제작로봇으로 거듭났던 로봇이 이제는 인공지능과 소셜 기능 덕분에 한층 더
인간
에 가까운 모습과 능력을 갖추게 되었다. 머지않아 영화 '그녀(Her)'에서처럼 로봇과 대화를 나누다 사랑에 빠지는 사람들이 등장할지도 모르겠다. ... ...
녹색 2.0의 미션은 한국 녹색기술의 세계화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0.29
녹색기술센터 소장 - 녹색기술센터 제공
인간
의 삶의 질이 높아지면서 이제는 단순히 먹고사는 고민에서 벗어나 무엇을 어떻게 먹고 사는가에 대한 고민으로 넘어가게 됐다. 사람들은 좀 더 건강한 삶을 영위하고자 많은 고민을 하고 그러면서 그동안 고속 성장에만 몰두했던 것을 잠시 멈추고 ... ...
요즘 아이들은 왜 이렇게 클까?
2014.10.27
책의 부제는 ‘왜 항생제는 모든 현대병의 근원인가?’이다. 최근 번역출간된 책 ‘
인간
은 왜 세균과 공존해야 하는가’에서 미국 뉴욕대 마틴 블레이저 교수는 지난 수십 년 사이 인류에게 나타난 현상인 급속한 키 증가 추세를 영양상태 개선만으로 설명하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 처음북스 ... ...
스튜어디스 직업병은 유방암?
2014.10.20
논문과 함께 읽어보면 도움이 될 거라며 자신이 쓴 서평도 보내줬다. 지난해 출간된 ‘
인간
유방암과 전립선암의 새로운 위험인자로서의 빛공해(Light Pollution as a New Risk Factor for Human Breast and Prostate Cancers)’라는 제목의 책에 대한 서평이다. 전립선암이면 남성도 일주리듬 교란에서 자유롭지 않다는 ... ...
이전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