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인간"(으)로 총 1,987건 검색되었습니다.
- 쌀 한 톨만한 컴퓨터 개발… 세포이식 가능한 ‘스마트더스트’ 나온다2015.04.12
- 스마트먼지 ㎥의 모습 - 미시건대 제공 쌀 한 톨 만한 컴퓨터를 미국 연구진이 개발했다. 피부 밑에 삽입하면 각종 생체정보 분석이 가능하고 각 ... 것”이라며 “컴퓨터 크기를 수 백 마이크로미터(μm·1μm는 100만 분의 1m)까지 줄이면 인간의 세포 속에 삽입 할 날이 올 것”이라고 말했다. ... ...
- 방사선 공포를 극복하는 128개의 눈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4.08
- 신화’의 창조자로 잘 알려진 SF 작가, 하워드 필립스 러브크래프트의 말이다. 공포심은 인간을 포함한 동물이 지닌 가장 원초적인 감정 중 하나다. 진화론으로 볼 때 공포심은 위협적인 요소로부터 피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개체의 생존에 유리하게 작용했으며, 이 때문에 공포심을 기본적인 감정으로 ... ...
- 권달관 전국원자력관련학과 교수연합회 회장 인터뷰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4.08
- 사실 전공보다 중요한 것은 카운슬러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마음가짐입니다. 바로 인간의 생명을 존중하고 타인의 심리를 이해하며 공감하는 것이지요. 관련 학회 설립은 현재 어느 정도 진행중인지요? 그리고 향후 학회의 활동에 대해서도 소개 부탁드립니다. 학회설립에 앞서 ... ...
- 공감 능력이 없는 반사회성 인격장애, 어떻게 봐야 할까?KISTI l2015.03.31
- 대한 조기 개입과 관련해 많은 논쟁이 있을 수 있다. 중요한 사실은 과거의 통념과 달리 인간의 뇌는 플라스틱처럼 변형이 가능한 가소성(plasticity)을 지니고 있는 점이다. 사회적 지지와 적절한 도움을 통해 환경을 바꾸면 이들의 기질 역시 변화할 수 있다. 일상생활에서는 잔인한 범죄자 ... ...
- 막스 플랑크 연구소 출신 3인방, 식물에서 새로운 꿈 키운다IBS l2015.03.30
- 유전체 상의 특정 유전자 염기서열만을 인식해서 DNA를 절단하는 인공 효소로서 인간 및 동식물 세포에서 특정 유전자에 돌연변이를 일으키거나 이미 존재하는 돌연변이를 교정하는데 사용된다. 식물팀은 양배추, 토마토, 야생 담배 등을 기르고 이 식물들의 유전체 염기서열을 유전자가위를 이용해 ... ...
- 화학결합의 처음과 끝을 봤다IBS l2015.03.27
- 중요성을 강조했다. “기초과학은 인류의 지적 경계선을 넓히는 도구입니다. 더구나 인간의 제한된 상상력으로, 지금 하는 기초 연구가 어디에 활용될지를 예단하면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현재 많이 쓰이는 핵자기공명(NMR), 자기공명영상(MRI)은 그 원리를 탐구했던 과학자들이 처음부터 ... ...
- 운동호르몬 ‘이리신’, 과학인가 신화인가?2015.03.23
- 이리신에서 ‘손을 뗐다’고 한다. 무지개의 여신 이리스는 신의 뜻을 인간에게 알리는 전령이다. 이리스에서 이름을 딴 호르몬 이리신이 신화로 전락할 위기에 몰렸다. 프랑스 화가 피에르나르시스 게랭의 1811년 작품 ‘모르페우스와 이리스’. - Hermitage Museum 제공 2012년 당시 스피겔먼 ... ...
- 사물과 사물이 소통한다, 사물인터넷! KISTI l2015.03.17
- 커피 메이커를 작동시키고, 자동차가 서로를 피한다 앞서 설명한 대로 사물 인터넷은 인간의 개입과 조작을 최소화한다는 게 핵심이다. 사물끼리 알아서 서로를 인식하고 상황에 맞는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많은 가전 업체들이 이와 같은 기능을 염두하고 사물 인터넷에 기반한 ... ...
- 쌍둥이에 관한 오해와 진실KISTI l2015.03.10
- 쌍둥이의 차이보다 더 클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그렇다면 일란성 쌍둥이가 복제 인간보다 유전적으로 더 똑같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 일란성 쌍둥이도 DNA가 다를 수 있다? 그 동안 우리는 일란성 쌍둥이의 DNA는 완전히 똑같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태어나는 순간의 염기서열이 100% 일치한다고 ... ...
- DNA 복구 과정 밝혀 암과 노화 수수께끼 푼다IBS l2015.02.26
- 15일 IBS '유전체 보전 연구단'의 단장으로 선정됐다. 명 단장은 2002년 미국 국립보건원(NIH) 인간유전체연구소(NHGRI) 연구원으로 들어가 2009년부터 종신연구원으로 활동해 왔다. DNA 복구(repair)와 게놈 안정성 연구 분야의 석학으로 알려져 있는 명 단장을 UNIST 내 IBS 연구단에서 만나 그동안의 연구이력과 ... ...
이전1771781791801811821831841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