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스페셜
"
인간
"(으)로 총 1,987건 검색되었습니다.
암 발생의 ‘불운’ 가설 반박하는 논문 나와
2016.01.11
89%는 자외선 때문이라고 본다. 한편 감염이 암 발생에 미치는 영향도 간과할 수 없다.
인간
유두종바이러스는 자궁경부암 발생원인의 90%를 차지할 뿐 아니라 항문암의 90%, 구강인두암의 70%를 차지한다. 여성만 조심할 일이 아니라는 말이다. 간염바이러스(B형과 C형)는 간암 발병원인의 80%를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20)개처럼 벌어서 정승처럼 살다간 석유갑부 ‘모리스 스트롱’
2016.01.10
UN환경계획(UNEP)의 초대 사무국장에 취임한 스트롱은 특유의 협상력을 발휘해 1972년
인간
환경회의를 성사시켰다. 그리고 20년 뒤인 1992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지구정상회의의 사무총장을 맡아 기후변화협약과 생명다양성협약을 이끌었다. 한편 2003년 북한 문제 담당 유엔 사무총장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9)생명윤리 정책에 영향을 준 역사학자 ‘리사 자딘’
2016.01.09
런던대(UCL)의 르네상스연구 교수로 있던 자딘은 2008년부터 2014년까지 영국 보건국 산하
인간
생식배아관리국(HFEA) 국장으로도 일했다. 이 기간 동안 수많은 공청회를 거쳐 여러 민감한 사안들이 검토됐는데, 대표적인 사례가 ‘부모 셋 아이’ 합법화와 관련된 논의다(2015년 영국에서 세계 최초로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6)16세에 논문을 발표한 ‘에릭 데이비슨’
2016.01.06
규명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많은 생물 가운데 성게를 택한 건 무척추동물이면서도
인간
처럼 후구동물이기 때문이다. 1990년대 후반 데이비슨은 성게게놈서열분석컨소시엄을 만드는데 구심점 역할을 했고 학술지 ‘사이언스’ 2006년 11월 10일자에 성게게놈해독 결과가 25쪽에 걸쳐 특집으로 실리며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5)의학계의 계관시인 ‘올리버 색스’
2016.01.05
특이한 환자들을 보게 된다. 1920년대 유행한 수면병(기면성뇌염)에 걸려 수십 년 째 식물
인간
상태로 입원해 있는 환자들로, 색스는 이들에게 L-도파라는 파킨슨병 치료제를 투여했고 놀랍게도 이들은 수십년 만에 깨어났다. 이때의 경험을 쓴 책이 ‘깨어남’(1973년)이다. 러시아의 저명한 ... ...
일자리는 만드는 것만 중요한 것이 아니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01.04
창의적 R&D를 위한 환경 조성도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기술은
인간
을 이해하고
인간
의 욕망을 충족하기 위한 도구임을 인식해야 한다"는 것이 정 원장의 철학이다. 무엇보다 소비자가 원하는 기술과 제품을 개발해야 시장에서 선택을 받을 수 있다는 뜻이다. 그래서 기능적 R&D를 지양하고,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9)게임이론으로 노벨상 받은 수학자 존 내쉬
2015.12.30
총체적 갈등상황인 2인 제로섬 게임은 잘 설명했지만 경쟁과 협력이 혼재하는
인간
행동의 복잡한 측면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했다. 1949년 스물한 살의 내쉬는 폰 노이만의 한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게임이론 연구에 착수했고 이듬해 ‘미국립과학원회보’에 ‘n명 게임에서 평형점’이라는 제목의 ... ...
“난 쓸모있는
인간
”이라 말하고 싶다면, 당장 OO해라!
2015.12.29
듯한 느낌은 사회적 동물이 가장 갈망하는 욕구 중 하나이다. 스스로가 얼마나 가치 있는
인간
인지에 대한 자존감도 타인의 평가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울 수 없는데, 봉사를 통해 이 부분이 크게 채워지는 것이다. 기부 역시 그런 뿌듯함을 줄 수 있겠다. 물론 그 이전에 사회적 동물에게 있어 ... ...
마인드마이닝(mind mining)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5.12.29
성공사례에도 불구하고 아직 콘텐츠 분야에 적용하기는 무리가 있어 보인다. 데이터는
인간
들의 집단적 움직임과 생각, 기호를 엿볼 수 있는 중요한 팩트다. 사람들이 무슨 브랜드를 좋아하는지 어떤 것을 즐겨 먹는지 엿볼 수 있다. 혹은 어떤 때 외로워하거나 힘들어하는지도 알 수 있고 그럴 때 ... ...
옴니채널, 경험을 바꾸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5.12.29
의해 가려지게 된다. 예를 들어 모바일을 통한 SNS 커뮤니케이션의 증가로 인해 실제
인간
관계가 소홀해진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지하철 같은 대중교통을 이용 중이거나 모임에 나온 사람들이 전부 스마트폰만을 들여다보는 풍경은 어렵지 않게 목격할 수 있다. 이런 스마트폰의 단점은 SNS 기능을 ... ...
이전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