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스페셜
"
인간
"(으)로 총 1,987건 검색되었습니다.
1941년 하이젠베르크는 왜 보어를 방문했을까
2016.07.19
프레인의 ‘코펜하겐’이 화제가 되면서 연극을 본 사람들 다수에서 하이젠베르크를 ‘
인간
적으로’ 이해하는 쪽으로(필자처럼) 분위기가 흐르자 2002년 보어의 자손들은 소장하고 있던 보어의 미공개 편지를 공개했다. 편지는 1957년 쓴 것으로 1941년 하이젠베르크 방문에 대한 보어의 기억이 ... ...
요거트의 상징 메치니코프 타계 100주기: 선천면역에서 프로바이오틱스까지
2016.07.12
된다. 이 과정에서 50대로 접어들던 메치니코프도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커졌고 결국 ‘
인간
은 왜 늙을까?’라는 근본적인 의문을 품게 된다. 훗날 메치니코프는 ‘노인학(gerontology)’라는 용어를 만들기도 했다. 본격적으로 노화연구에 뛰어든 메치니코프는 흥미로운 사실을 깨닫는다. 동물의 ... ...
‘도덕적이니까’라는 믿음의 무서움
2016.06.14
있지만 반대로 소수자를 자신의 기준으로 쉽게 판단하고 배척해 버릴 수 있는 우리
인간
들에게 던지는 경계의 메시지로도 받아들여졌다. 관련해서 “도덕적으로 옳다/그르다”의 기준으로 생각하면 “개인적으로 좋아한다/아니다”의 기준으로 생각할 때에 비해 더 즉각적으로 더 극단적인 판단을 ... ...
“참으면 더 좋은 걸 주지~” 마쉬멜로우 실험의 다른 이야기
2016.06.07
또 빈익빈부익부를 만드는 한 요소로 작용하지 않겠냐는 시사점을 주기도 했다. 우리
인간
의 행동은 ‘맥락’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이 점을 기억하고 다양한 맥락에서 생존을 위해 어떤 행동들이 나타나며, 그것들의 장단점이 무엇인지, 그것들을 보완하기 위해서 어떤 개인적 또는 사회적 단위의 ... ...
다윈의 나방 유전자 마침내 규명
2016.06.06
즉 케틀웰의 실험이 장소면에서도 큰 문제는 없다는 말이다. 여담이지만 ‘나방과
인간
’이라는 후퍼의 책 제목과 ‘시큼한 분노의 포도’라는 서평의 제목 모두 미국 작가 존 스타인벡의 소설 제목을 패러디한 것이다. 즉 ‘나방과
인간
(Of Moths and Men)’은 ‘생쥐와
인간
(Of Mice and Men)’을, ... ...
인간
보다 더
인간
적인 복제
인간
과 로봇의 이야기, 영화 더 문(2009)
IBS
l
2016.06.03
IBS 제공 IBS 제공 IBS 제공 IBS 제공 IBS 제공 IBS 제공 IBS 제공 IBS 제공 IBS 제공 IBS 제공 * 본 콘텐츠는 기초과학연구원의 온라인 뉴스레터 IBS 뉴스레터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기초과학연구원(IBS) 뉴스레터 구독신청 ...
‘나는 페미니스트다’ 선언이 성차별 대응에 도움된다
2016.05.24
각종 은근한 차별에 개입하고 있는 게 된다. ● 차별로부터 온전히 자유로울 수 있는
인간
이란 없다 또한 차별은 사회문화 곳곳에 스며들어 사람들에게 의식적으로든 비의식적으로든 영향을 미치는 ‘공기’와 같은 것이다. 따라서 그 사회에 만연한 차별을 개인이 ‘완전히’ 벗어날 수 있는 ... ...
양자역학 문제, 게임으로 푼다
2016.05.10
접했다. 과학분야 가운데 가장 반직관적(counterintuitive)이라는 양자역학 연구에
인간
의 직관, 심지어 양자역학을 전혀 모르는 사람들의 직관도 큰 도움이 됐다는 내용이다. 대학 때 양자역학 수업을 들어 그 반직관성이 무슨 의미인지 대충 알고 있는 필자로서는 도무지 그림이 그려지지 않는 ‘모순 ... ...
다른 사람은 나에 대해 얼마나 신경쓰고 있을까?
2016.05.03
것인가 아닌가는 내가 ‘선택’할 수 있는 문제이기도 하다. 타인도 우리와 같은 ‘
인간
’이기 때문에 그의 나에대한 의견 역시 ‘주관적’이며 절대적이지 않다. 그의 목적에 따라 나의 단점만을 부풀려서 공격하려드는 경우일 수도 있다. 따라서 타인의 의견을 취사선택해서 걸러 듣는 것도 ... ...
인류는 언제부터 전쟁을 했을까?
2016.05.02
불평등한 사회구조를 얘기할 때 ‘성골 진골’이라고 말했다. 필자 같은 사람은 동등한
인간
으로 보지도 않았을 사람들이 묻힌 고분을 보면서 감상에 젖는다는 게 좀 어색해졌다. 박물관을 나설 즈음에는 경주에 대한 열정이 꽤 식어있었다. 1996년 독일 북동부 톨렌제강에서 한 아마추어 ... ...
이전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