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인간"(으)로 총 1,987건 검색되었습니다.
- 호모 하빌리스, 당신은 누구인가?동아사이언스 l2014.04.14
- 하빌리스가 호모 에렉투스의 직계 조상이 되기에는 너무 닮지 않았다”며 “이들을 인간 진화로 이어지는 계보에 위치시키는 건 너무 단순한 선형 모형”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손을 쓰는 사람’은 오스트랄로피테쿠스도 호모도 아닌 별도의 속을 부여해야 할 것 같다고 덧붙였다. 우드는 201 ... ...
- 태양계에서 고리를 지닌 다섯 번째 천체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14.04.08
- 사라지면 태양계에서 고리를 지닌 천체는 다시 넷이 된다. 물론 100년도 못사는 인간이 아직 최소한 수백만 년의 삶이 남은 커리클로의 운명을 안타까워한다는 것은 한참 주제넘은 짓이지만. 항성 엄폐 데이터를 바탕으로 그린 커리클로와 두 고리. 뒤의 점선들은 망원경에 따라 배경 별이 지나간 ... ...
- [Keyword로 읽는 과학] 좀비가전, 냉장고 문이 저절로 스르륵?!KISTI l2014.03.19
- 만든다. 그저 영화 속에서만 있는 일이라고 안심할 수 없다. 온갖 사물이 서로 연결되어 인간의 의지와 상관없이 작동하게 될 때 엘리베이터는 언제든 생명을 위협할 테니까. 보안을 위해 설치한 디지털 도어록이나 CCTV가 도리어 도둑에게 제 발로 문을 열어주고 증거를 지워버릴 수 있다. 사물 ... ...
- [MATH] 트로이 전쟁과 원주율 KISTI l2014.03.19
- 담판을 벌인다. 그들이 타고 있는 전차는 바퀴가 두 개 달린 것이었다. 여기서 잠깐, 인간은 언제부터 바퀴가 달린 것을 탔을까? 지금부터 바퀴와 관련된 내용을 알아보자. 지금부터 약 6천 년 전에 고대 메소포타미아 사람들이 처음으로 바퀴라는 대단한 것을 발명했다. 처음에 이것은 딱딱한 ... ...
- [만화] 곤충이 미래의 식량?!KISTI l2014.03.14
- 여기는 횟집이지 번데기집이 아니라고! 너는 도대체 왜 이리로 친환경적이며 미래적 인간이란 말이냐.” “홍홍. 뭔지는 몰라도 엄청 좋은 얘기로 들려요~. 제가 쫌 미래 지향적이고 세련된 미모이긴 해요. 근데 번데기 먹다가 웬 폭풍 칭찬이실까?” “곤충을 먹는 게 미래 트렌드가 될 테니, ... ...
- 박테리아가 유출된 기름을 분해한다?KISTI l2014.03.11
- 하잘것없이 보이는 미생물들이 깨끗이 정화시켜 되돌려 주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우리 인간들이 간과한 자연에 대한 경외감과 겸손함을 다시금 깨닫게 하는 정신적 효과도 있는 셈이다. 1)1989년 3월 24일, 미국 알래스카 주 프린스 윌리엄사운드 일대에서 일어난 해상 원유 유출 사고로, 약 4천만 ... ...
- 새로운 시작이 두렵다! 어른은 월요병, 아이는 새학기증후군KISTI l2014.03.04
- 32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했더니 새 학기 증후군을 겪는 원인의 70% 이상이 “새로운 인간관계에 대한 부담 때문”인 것으로 드러났다. 직장인은 월요병을 통해 학생들은 새 학기 증후군을 통해 급격한 변화에 대한 스트레스를 호소하는 셈이다. 환자 스스로가 느끼는 주관적 통증이나 증세를 ... ...
- 해면의 진실동아사이언스 l2014.02.25
- 약 8억 년 전에 등장한 것으로 나왔다. 가장 단순한 동물인 해면이 가장 복잡한 동물인 인간에게 심오한 수수께끼를 던진 셈이다. 문득 물리학자 존 아치볼드 휠러의 말이 떠오른다. “지식이라는 섬이 조금씩 커질수록, 무지라는 해안선은 따라서 늘어난다 ... ...
- [keyword로 읽는 과학] 소시오패스, 누구냐 넌? KISTI l2014.02.14
- 의 회색질이 14.2% 감소한 반면에 백질은 22.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 연구 결과가 있다. 인간의 두뇌에서 회색질은 신경 세포들이 밀집돼 있는 겉 부분이고, 백질은 신경세포를 서로 연결하는 신경 섬유망이 깔려 있는 속 부분이다. 신경과학적으로 보면 소시오패스는 옳고 그름을 구분하는 ... ...
- 악몽과 개꿈의 과학동아사이언스 l2014.02.04
- 6.7%였다. 남녀 사이에도 차이가 있었는데, 남자는 천재지변의 비율이 높은 반면 여자는 인간관계의 비중이 두 배 이상 더 높았다. 즉 남성은 돌아다니다 위기를 겪는 꿈을 더 자주 꾸는 반면 여성은 타인과의 갈등이라는 심리적인 문제에 더 격렬히 반응한다는 말이다. 그런데 왜 우리는 악몽을 꾸는 ... ...
이전184185186187188189190191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