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질서┃우주의 미래···우리는 어디로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천체들은 이렇게 끝이 있기 마련인데, 과연 우주도 그 끝이 있을까. 우주는 빅뱅 이후 계속 팽창했다. 팽창하는 속도는 오르내렸지만 지속적으로 팽창했다는 건 자명한 사실이다. 이에 따라 우주의 온도는 빅뱅 직후 1032K에서 현재 2.7K까지 떨어졌다. 게다가 현재 우주는 팽창하는 속도가 점점 ... ...
- 탐험┃태양계 탐험이야기··· 달 VS 화성과학동아 l2019년 07호
- 것이라는 가설이 가장 유력하다. 초기 달이 형성될 당시에는 마그마 대양이 존재했고, 이후 마그마가 식으면서 약 1억 년 전 결정화 작용이 일어나 지금의 달 표면이 만들어졌다. 현재 달 표면은 먼지와 흙 등으로 이뤄진 회색빛의 레골리스와 밀도가 낮은 바위들로 뒤덮여 있다.1959년 1월 옛 소련의 ... ...
- [매스미디어] 스파이더맨 : 파 프롬 홈수학동아 l2019년 07호
- 아니라면, 더욱 가져선 안 돼”라는 스타크가 한 말의 의미를 조금씩 깨닫게 됐어. 그 이후로는 능력만 믿고 나서기보다는 마음가짐과 목표에 집중하면서 진정한 영웅으로 성장할 수 있었어. 참, 수학에서도 나와 스타크의 관계처럼 멘토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생각한 수학자가 있었대. 바로 ... ...
- 탐험┃미국, 더 멀리, 더 많은 것을 보내기 위해과학동아 l2019년 07호
- 화성 남부의 고지대 아레스 발라스에 무인 탐사 로봇(로버) 소저너를 최초로 착륙시켰다. 이후 미국은 2004년 오퍼튜니티와 스피릿, 2012년 큐리오시티를 각각 화성에 보내는 데 성공했다. 현재 화성 표면에는 적도 남쪽 게일 분화구에서 큐리오시티가 돌아다니며 생명체의 지표 물질로 알려진 메탄의 ... ...
- 탐험┃ 수성 & 금성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지구처럼 자기장이 있고, 표면은 달과 유사한 크레이터가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이후 NASA는 2004년 8월 3일 탐사선 메신저를 발사했고, 2011년 3월 18일 수성 궤도에 진입하는 데 성공했다. 수성 궤도에 안착한 뒤에는 2015년 4월 30일 연료를 다 쓰고 수성 표면에 충돌하기 전까지 지구에 각종 데이터를 ... ...
- 영감┃어서오세요, 우주 레스토랑입니다.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우주계획인 ‘머큐리 계획’에서는 튜브형 음식과 건조시킨 스낵 등을 주로 먹었다. 이후 수분을 없애면서도 색깔과 맛, 모양 등을 유지하는 기술이 개발되면서 오렌지 주스, 시나몬 토스트, 초콜릿, 치킨 수프, 비프 스튜 등 다양한 우주 식품이 등장했다. 최초의 우주인 유리 가가린을 위해 우주 ... ...
- 어린이과학동아 과학가족 모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되셨을 거래요. 어머니도 과학자가 꿈이셨는데, 저희 아버지가 망원경 속 토성을 보여준 이후로 천문에 푹 빠지셨대요. 아직도 그때 처음 본 토성이 준 감동을 잊을 수 없다고 하셨어요. 우리 동네 천문대가 무엇인가요?우리 동네 천문대는 아버지께서 별을 볼 수 있는 날에만 급하게 열었다 천천히 ... ...
- [에디터노트] 진짜 쉬운 수학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스타트업이다. 토도수학은 교육 애플리케이션(앱)에서는 인지도가 높다. 2014년 6월 출시 이후 20개국 애플 앱스토어 교육 카테고리에서 1위를 기록했고, 2016년 말에는 ‘구글 플레이스토어를 빛낸 최고의 앱’으로도 선정됐다. 현재까지 앱 누적 다운로드 수는 600만 회를 넘었다. 초등학교 입학 ... ...
- [중국유학일기] 기초과목에 집중하는 1학년 전공 역량 기르는 2학년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소프트웨어학과 학생 모두 컴퓨터학부에 소속돼 동일한 전공기초 수업을 듣는다. 이후 전공을 선택하면서 2학년 때 소프트웨어학과와 컴퓨터공학과로 나뉜다. 나는 얼마 전 소프트웨어학과로 전공을 선택했다. 이렇게 세부 전공을 정하는 등 중요한 결정을 할 때는 학부생 전원이 모여서 회의를 ... ...
- 불 난 노트르담 대성당, 복원될까요?수학동아 l2019년 06호
- 가장 오래된 석탑입니다. 하지만 고려시대에 벼락을 맞아서 한 차례 크게 파손됐고, 이후 계속적으로 돌이 무너지자 1915년 한반도를 식민 지배하던 일본이 시멘트를 부어서 붕괴를 막았습니다.80년 이상 흉물스런 모습으로 남아 있던 미륵사지 석탑은 구조까지 불안정하다는 진단을 받고 2001년부터 ... ...
이전1801811821831841851861871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