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래
d라이브러리
"
이후
"(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학구파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밝혀졌죠. 저는 이 과정에서 확률이 중요한 개념이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그래서 그
이후
로 ‘과학의 대상은 확률로 묘사해야 한다’라는 확률론을 제시했습니다. 그 덕분에 저를 현대 수리통계학의 창시자 중 한 명으로 꼽지요 ... ...
[인터뷰] 박형주 아주대 총장 - 연결’로 문제를 해결하는 폴리매스형 인재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수학에 재능을 보였던 나이팅게일은 대학 수준의 수학을 독학한 뒤 간호사가 됩니다.
이후
80만 명 이상이 사망한 크림 전쟁에 참전합니다. 나이팅게일은 사망자 데이터를 모아 분석한 끝에 많은 젊은이가 사망한 주요 원인이 취약한 병원 위생환경 때문이라는 것을 증명합니다. 그 결과 사망률을 ... ...
우리는 UST 퍼스트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고전압을 빠르고 세게 발생시킬 때 필요하다. 장 교수는 “석사과정에 입학한
이후
지금까지 줄곧 펄스 파워 전원 연구에 매진해왔다”며 “펄스 파워 전원은 1990년대부터 한국전기연구원이 기술을 개발해왔는데, UST에 입학한 덕분에 그 기술을 빠르게 흡수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 ...
설문조사│모기박멸, 해야 할까요?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생태계가 어떻게 변할지 예측한 자료를 갖고 있지 않다”며 “과학 연구를 통해서도
이후
를 예측하는 건 불가능에 가깝다”고 말했다. 뚜렷한 과학적 결론이 없는 만큼 GM 모기 방사가 지역 사회의 가치 판단에 맡겨질 여지가 크다. 지역 주민에 GM 모기 정확히 알려야7월 1일 아프리카 ... ...
[SF에 묻는다] 지마 블루 vs. 카운트 제로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인간이 아니었습니다. 최초의 지마는 수영장 벽을 청소하는 단순한 로봇이었습니다.
이후
여러 번의 개조를 거치면서 지능이 높아지다가 마침내 자의식을 획득했던 것입니다. 지마는 스스로 고차원적인 사고 능력을 버리고 자신의 첫 모습으로 돌아가 수명이 다할 때까지 타일을 청소합니다 ... ...
[미국유학일기] 화학 연구에 확신 심어준 여름 연구 펠로우십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수월하게 처리했다. ‘짬’에서 나오는 노하우가 중요하다는 점을 뼈저리게 느꼈다.
이후
1년 이상 연구를 하면서 나도 차츰 시간 관리 요령을 익혔다. 덕분에 2학년 여름방학부터는 동시에 여러 실험을 관리할 수 있게 됐다. 여름 연구 펠로우십에서 얻은 가장 값진 교훈은 수업에서 배우는 화학과 ... ...
포항 지진, 왜 다시 주목받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정부에 피해 보상을 청구할 수 있을 테니까요. 하지만 정부조사연구단의 발표
이후
에도 피해 배상 방법이 확정되지 않아 혼란은 계속되고 있어요. 청와대 국민청원 페이지에 ‘피해 배상 및 지역 재건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는 청원에 3만 8000여 명이 참여하는가 하면, 포항 지진 범시민대책본부, ... ...
포항이 본래 불안정했다고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8호
교수는 이 두 지진이 포항 지진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분석했어요. 먼저 동일본대지진
이후
한국 지각이 어느 정도 움직였는지 분석했지요. 계산 결과, 지진이 일어난 뒤 한국의 동해안은 4cm 정도, 서해안은 2cm 정도 일본쪽으로 당겨졌지요. 그런데 이렇게 움직이는 거리에 차이가 생기면서 한반도 ... ...
[JOB터뷰]유쾌한 지구 생각 십년후연구소 조윤석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8호
후원 받아 옥탑방이 있는 옥상을 칠하기 시작했어요. 옥탑방이 여름에 진짜 덥거든요.
이후
언론에 알려지며 쿨루프 프로젝트가 많이 커졌어요. 작년에는 서울 도봉구 창3동에서 어린이집 20개, 주택 50여개를 칠했지요. 올해는 영국 공익재단 ‘네스타’가 여는 ‘밀리언 쿨루프 챌린지’에 ... ...
[맛있는수학] 피보나치도 울고 갈 파인애플 볶음밥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결과는 식물학만으로 설명하기 어려웠던 식물의 배열을 새로운 관점에서 바라보게 했고
이후
로도 오랫동안 ‘두아디와 쿠더 방정식’은 식물 생장 연구의 모형으로 쓰였습니다. 한 걸음 나아간 방정식 찾다그런데 최근 두아디와 쿠더의 방정식을 보완한 새로운 방정식이 등장했습니다. 2019년 ... ...
이전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