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질서┃우주수축과학동아 l2019년 07호
- 만약 암흑에너지의 힘이 척력에서 중력으로 바뀐다면, 그 뒤의 상황은 단순하다. 빅뱅 이후 진행된 것들이 되감겨 돌아간다고 생각하면 된다. 먼저 우주 공간이 줄어들면서 은하들도 다시 가까워지고, 공간 내에 물질의 밀도가 높아지면 우주 온도가 다시 올라간다.수백만 년마다 우주의 크기가 ... ...
- 탐험┃러시아, 혼자서 할 수 없다, 협력하라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약 23t을, 지구 상공 약 3만6000km인 정지궤도에는 6t을 실어 나를 수 있다. 러시아는 2000년대 이후 유럽과 공동으로 화성 탐사를 진행하고 있다. 2020년에는 함께 개발한 탐사 로봇 엑소마스 2020으로 또 한 번 화성의 문을 두드린다 ... ...
- 탐험┃ 수성 & 금성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지구처럼 자기장이 있고, 표면은 달과 유사한 크레이터가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이후 NASA는 2004년 8월 3일 탐사선 메신저를 발사했고, 2011년 3월 18일 수성 궤도에 진입하는 데 성공했다. 수성 궤도에 안착한 뒤에는 2015년 4월 30일 연료를 다 쓰고 수성 표면에 충돌하기 전까지 지구에 각종 데이터를 ... ...
- 영감┃우주로 가는 탑승권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연결할 예정이다. 향후 모듈을 계속 보강해, 2024년 국제우주정거장이 퇴역한 이후에는 액시엄 스테이션을 독립된 우주정거장으로 사용한다는 계획이다. 완성되면 최대 16명이 머물 수 있는 액시엄 스테이션은 바깥 풍경을 볼 수 있는 창문형 스크린, 고속 무선 인터넷 등 각종 편의 서비스를 갖추고 ... ...
- [맛있는 수학] 마틴 가드너가 사랑한 원숭이와 코코넛 문제수학동아 l2019년 07호
- 전보를 쳤습니다. “세상에, 대체 코코넛이 몇 개인 거요? 여긴 지금 지옥이란 말이오!”이후로도 윌리엄스는 20년 넘게 이 문제의 정답을 묻는 편지를 받아야 했답니다. 원숭이와 코코넛 문제가 뭐길래 몇천 명을 괴롭히고 가드너의 ‘최애’ 문제로 꼽힌 걸까요? 여러분께도 그 특급 문제를 ... ...
- 로봇과 마음을 주고받아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왜 서비스를 종료한 걸까요?지보는 사람과 교감하는 ‘소셜 로봇’이에요. 1990년대 이후, 인공지능 기술의 발달로 로봇과 사람의 소통이 가능해지면서 사람을 보살필 수 있는 다양한 소셜 로봇이 개발되고 있지요. 지보는 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학교 신시아 브리질 교수가 개발한 로봇이에요. ... ...
- [실전! 반려동물] 안절부절못하는 고양이, 때가 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7호
- 될 수 있지요. 중성화 이후 3개월 동안은 사료양이 1/3~1/2컵 정도가 적당하답니다. 중성화 이후 고양이는 조금 게을러지긴 하지만 성격이 변하진 않아요. 단, 주인에게 더 많은 애정을 표현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행동이니 걱정하지 마세요. ... ...
- 신비┃우주의 빈자리는 무엇으로 차있는가과학동아 l2019년 07호
- 모습은 암흑물질이 적당히 뭉치고, 암흑에너지가 적당히 퍼뜨린 결과물인 셈이다. 빅뱅 이후 우주가 어떻게 진화했는지, 앞으로 어떻게 변해갈지 밝히기 위해서는 암흑물질, 암흑에너지가 중요한 열쇠다. 그렇다면 보이지도 않는 암흑물질이 어디에 존재하는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천문학자들은 ... ...
- 질서┃우주의 태초···우리는 어디서 왔는가과학동아 l2019년 07호
- 과학자들은 현재의 우주에서 시간을 단계적으로 되돌려 우주의 과거를 재현해왔다. 빅뱅 이후 우주가 팽창하면서 온도가 지속적으로 떨어졌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온도를 기준으로 입자와 원자핵, 별, 은하의 종류에 따라 시간대별로 분류한다.그럼에도 여전히 빅뱅의 바로 그 순간만큼은 ... ...
- 질서┃마침내 별 등장과학동아 l2019년 07호
- 헬륨원자가 모여 기체구름을 형성하면서 최초의 별로 진화할 준비를 마쳤다.빅뱅 이후 약 2억 년이 흐른 시점, 마침내 최초의 별이 탄생했다. 별이 완성되기 위해서는 수소와 헬륨의 밀도와 온도가 중요한 기준이 된다. 대략 1cm3의 부피에 원자의 수가 5만 개 이하인 저밀도 구름이 수백K까지 식으면 ... ...
이전179180181182183184185186187 다음